•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바리공주를 읽고 느낀점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바리공주를 읽고 느낀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바리데기 신화
2.1. 요약
2.2. 비평

3. 달래강 전설
3.1. 요약
3.2. 비평

4. 사람이 되고픈 여우 민담
4.1. 요약
4.2. 비평

5. 여자 신화: 우리 신화 vs 만주족 신화

6. 신화에 인간이 개입하는 것이 맞을까?

7. 신이 되기 위한 조건

8. 두 나라 신화와 비슷한 점

9. 비극적인 사랑 - 지눠족의 바스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본 과제물은 한국의 신화와 전설 그리고 민담 가운데 각 한 편씩을 골라서, 그것에 대한 요약 및 분석, 종합, 평가를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인은 구비문학을 학습하게 되면서, 더욱 더 깊고 또한 체계적인 논의를 진전시키길 원했다. 따라서 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을 읽고, 구비문학에서 학습한 내용을 직접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과제물은 그 신화, 전설, 민담을 단순하게 요약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과제물 제출자의 비평을 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하겠다.


2. 바리데기 신화
2.1. 요약

옛날 '불라국'이라는 나라에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은 태평성대 부러울 것이 없었으나 자식이 없었다. 그들은 늦게야 자식을 갖게 되었지만, 줄곧 공주만 여섯을 낳게 되었다. 오구대왕의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길대부인은 스님의 도움을 받아 백일 기도를 드린 결과 일곱 번째 딸을 낳게 되었다. 그러나 두 부부는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 일곱 번째 공주를 버리고 말았다. 이후 오구대왕은 병이 들어 여섯 딸들에게 약수를 구해오라고 부탁했지만, 그들은 모른 척하며 거절했다. 이에 오구대왕은 오래전에 버렸던 일곱 번째 딸을 찾아 나섰고, 그녀가 남장을 하고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약수를 구하러 떠나는 것으로 신화는 끝이 난다.


2.2. 비평

옛날 '불라국'이라는 나라의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에게는 자식이 없었다. 그러나 늦게나마 자식을 두게 되었지만, 어찌 된 일인지 줄곧 공주만 여섯을 낳게 되었다. 이에 오구대왕의 수심은 날로 깊어졌고, 결국 일곱 번째 딸인 바리데기를 내다버리게 된다.

이러한 설정은 남성 중심 문화에 대한 적실한 서술이라고 볼 수 있다. 왕이라는 지위를 가진 오구대왕이 아들을 갖지 못한 것을 자신의 결점으로 여기며, 결국 자신의 딸들을 버리는 비정한 행동을 하게 된다. 근래의 사회에서도 아들을 낳지 못한 여성에 대한 차별과 낙태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을 볼 때, 바리데기 신화는 여성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이 오래전부터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바리데기가 아버지를 구원하러 길을 떠나면서 '남장'을 하게 된다는 모티프는 바리데기 신화가 여전히 남성 중심의 권력 구도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즉, 바리데기 공주는 여성중심주의적 시각과 남성중심적 시각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다. 그녀는 여성이지만 남성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아버지를 구한다는 점에서, 여성이 보편적 인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제2의 남성'이 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된다.

이처럼 바리데기 신화는 남성 중심적인 구도 속에서도 여성의 주체성을 보여주려 한다. 바리데기가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결국 신이 되는 과정은 여성이 주체적인 인간이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따라서 바리데기 신화는 여성의 주체성을 진작시키는 나름의 함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달래강 전설
3.1. 요약

달래강 전설은 오누이 사이에 성적 갈등이 내포되어 있는 이야기이다. 어느 깊은 산골에 부모도 없이 두 남매만 살고 있었다. 두 남매는 산에서 나무와 산나물을 팔아 근근이 살았다. 어느 날 장대 같은 소나기를 만나 불어난 달래강을 건너다가 동생이 누이의 드러난 몸매를 보고 순간 이상한 생각이 들게 되었다. 동생은 그 생각 때문에 괴로워하다 자신의 음경을 돌로 내리쳐 죽고 만다. 누이는 동생이 안 오자 찾아가 보다가 동생이 죽어가는 것을 보고 하염없이 울면서 그 뒤로 그 강이 달래강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전설이다.


3.2. 비평

달래강 전설의 비평은 다음과 같다.

달래강 전설은 근친상간(Incest)이라는 금기를 정면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러한 욕망에 대해 결국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중세의 윤리적...


참고 자료

『서사무가 <바리데기>에 나타난 욕망의 의미와 바리데기 신화의 현재성』, 이민희
『바리데기와 용서의 미학 -아버지의 폭력에 대한 태도』, 서명희
『<파라21> 대담 시리즈 모음』中 허영의 텍스트로서의 무조신화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르네 지라르
『해체의 설화학』, 송효섭, 2009
『서사무가)바리공주 전집.1』, 김진영,홍태한, 서울 : 민속원, 2004
『서사무가)바리공주 전집.2』, 김진영,홍태한, 서울 : 민속원, 2004
『서사무가)바리공주 전집.3』, 이경업,홍태한, 서울 : 민속원, 2004
『서사무가)바리공주 전집.4』, 홍태한, 서울 : 민속원, 2004
심우장 외(2009), 『설화 속 동물 인간을 말하다』, 서울: 책과함께.
서대석 외(2015), 『구비문학의 세계』, 서울: 한국봉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정재서(2001), 「금지된 욕망과 물의 서사 ― 홍수신화ㆍ『소나기』ㆍ『비(Rain)』」, 『중국소설논총』, 14, 한국중국소설학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