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근이슈가 되고있는 사회문제를 선택하여 문제점및해결방안을 제시해 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인문제의 쟁점
2.1. 노인 인구 증가와 노인 가구 증가
2.2. 노동시장에서의 노인 배제
3. 노인문제 해결방안
3.1. 노인에 대한 인식 개선
3.2. 노인 복지 정책 개선
3.2.1. 노인 연금 제도 개선
3.2.2. 사회복지 서비스 확대
3.3. 노인 독거 문제 해결
3.3.1. 노인 독거 지원 프로그램 강화
3.3.2. 노인 독거자들의 사회 참여 촉진
3.4. 노인 건강 문제 대응
3.4.1. 예방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
3.4.2. 의료 서비스 개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노인문제는 노인층에 관련된 사회문제를 말한다. 과거에는 노인문제가 노인의 신체나 빈곤 같은 단순한 문제에 불과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노인문제는 사회문제로 발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인구의 고령화는 인류가 처음 경험하는 사태로서 이제는 사회가 노인의 가치에 관한 깊은 성찰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사회는 노동력이 저하된 노인에게 부정적 인식과 그들에게 불리한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사회로 오면서 핵가족을 비롯하여 가족기능 변화는 노인을 가정 내에서 무가치한 존재로 만들었고 노인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노인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가와 마찬가지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여 노인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노인문제에 관한 대처 방안이 시급하다.
2. 노인문제의 쟁점
2.1. 노인 인구 증가와 노인 가구 증가
노인 인구 증가와 노인 가구 증가는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노인 가구(가구주 연령이65세 이상)는 385만 2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20.6%를 차지하였으며, 2035년에는 40.5%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2015년 현재 가구주가 65세 이상이면서 혼자 사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7.4%이나, 20년 후인 2035년에는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점점 노인 가구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노인 독거 가구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가족 구조의 변화와 고령화 현상이 맞물리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노인들의 고립과 소외를 야기하여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는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 인구와 노인 가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2.2. 노동시장에서의 노인 배제
노동시장에서의 노인 배제는 노인들이 근로활동에서 제외되거나 배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노년기에 접어든 노인들이 신체적, 지적 기능의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인해 발생한다.
국내 연구에 따르면 75세 미만 노인 중 88.4%가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있으며, 75세 이상 노인의 83.7%가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88.0%가 배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별로도 차이를 보여, 초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 집단에서 89.2%가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이처럼 노인은 연령, 성별, 학력과 관계없이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 인력의 활용이 무시되거나 기피되는 풍조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것은 노...
참고 자료
정수일, 김보기. 2016. 사회문제 측면에서 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Industry Promotion Research
안재효. 2014. 고령사회 진입대비 독거노인 고독방지를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방안 : 독거노인 고독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국내석사 논문
김호식, 정미녀, 손경숙. 2005.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제1호
김영선, 이종찬. (2020). 한국 노인의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복지 정책: 연금수급자와 비수급자의 비교. 한국노년학, 40(4), 6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