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개요
1.1. aT소개
aT는 농수산식품의 가격안정, 수출증대, 유통개선 및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1967년 12월 1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국제 곡물조달 등 신규 사업이 추가되어 2012년 1월 26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aT라고도 불리운다.
설립의 목적은 농수산식품의 가격안정 및 유통개선사업을 통하여 수급을 안정시키고, 식품산업을 육성하여 농어업인의 소득 증진과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하는 것이다. 농수산물의 저장, 처리, 가공, 판매가 주요 활동이며 화훼공판장 또한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는 나주에 있는 본사와 10개 지사가 있으며, 해외에는 9개국에 15개 지사가 있다.
1.2. CI(Corporate Identity) 소개
aT 워드마크는 소문자 a와 대문자 T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agriculture comes with Trust의 약자로 소문자 a는 싹이 움트는 느낌으로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커가는 농식품산업의 발전적이며 생산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함께 보이는 숟가락 형상은 대한민국 먹거리를 책임지는 공사의 역할을 상징한다. 대문자 T는 타워이미지를 상징화하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글로벌 농수산식품산업 육성 전문 공기업"의 비전을 표현하고 있다.
1.3. 연혁
연혁은 다음과 같다. aT는 1967년 12월 1일 농수산식품의 가격안정, 수출증대, 유통개선 및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1986년 12월 농수산물유통공사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12년 1월 26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었다. 설립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국내에는 나주에 본사와 10개 지사가, 해외에는 9개국에 15개 지사를 두게 되었다.
1.4. 조직구조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조직구조는 다음과 같다.
aT는 나주에 위치한 본사와 10개의 국내 지사, 그리고 9개국에 15개의 해외 지사로 구성되어 있다. aT의 조직은 크게 농수산식품의 수급 안정과 유통 개선, 수출 진흥,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부문과 경영관리 부문으로 구성된다.
사업부문은 다시 농산물수급안정부, 유통혁신부, 수출진흥부, 식품산업진흥부 등으로 나뉘어 있다. 경영관리 부문은 기획조정본부, 경영지원본부, 감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서와 지사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상호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수산식품의 수급과 유통, 수출, 식품산업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관리와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1.5. 인재상
'aT 인재상'에 따르면 aT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끊임없이 학습하고 창의적인 업무수행으로 성과를 창출하는 '전문인', 긍정적인 사고와 열정적인 자세로 목표를 완수하고 새로운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도전인', 사내·외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최선의 배려와 협력을 통해 고객감동을 실현하는 '소통인'을 인재상으로 삼고 있다"
2.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비전 및 전략목표
2.1. 미션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미션은 "농수산식품산업 진흥을 통해 국민의 안정적인 먹거리 확보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aT는 농수산식품의 가격안정, 수출증대, 유통개선 및 식품산업 육성을 통해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즉, 국민의 안정적인 먹거리 공급과 식품산업 발전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aT의 핵심 미션이라고 볼 수 있다.
aT는 농수산물의 저장, 처리, 가공, 판매 등의 활동을 통해 농수산식품산업을 진흥시킴으로써 농어업인의 소득 증진과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농수산식품의 수급 안정, 유통 개선, 수출 진흥, 식품산업 육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aT의 미션은 국민의 먹거리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농수산식품 산업 진흥을 선도하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2.2. 비전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비전은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산업을 이끄는 힘, aT!'이다. aT는 국민에게 신뢰받는 글로벌 농수산식품산업 육성 전문 공기업으로서 농수산식품산업을 이끌어갈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포부를 갖고 있다."
2.3. 핵심가치
aT의 핵심가치는 "농업가치(Worthy), 혁신주도(Innovation), 국민참여(Together), 사람중심(Human)"의 4가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aT(agriculture comes with Trust)"에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가치가 잘 드러나 있다"이다.
첫째, "농업가치(Worthy)" 는 농업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이다. aT는 농수산식품 산업을 진흥시켜 국민의 먹거리 안정과 농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둘째, "혁신주도(Innovation)" 는 새로운 시대와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가치이다. aT는 농수산식품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여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셋째, "국민참여(Together)" 는 국민과 함께 하는 경영을 지향하는 가치이다. aT는 농수산식품 산업의 진흥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며, 이를 위해 국민 참여와 소통을 중시한다.
넷째, "사람중심(Human)" 은 구성원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바탕으로 한 가치이다. aT는 전문성과 열정, 소통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며, 구성원의 성장과 발전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처럼 aT는 농업가치 실현, 혁신적 변화 주도, 국민 참여 유도, 구성원에 대한 관심 등 4가지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국민의 안정적 먹거리 확보와 농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4. 전략목표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비전 및 전략목표에서 '2.4. 전략목표'는 다음과 같다.
aT는 농수산식품산업 진흥을 통해 국민의 안정적인 먹거리 확보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미션 아래 5가지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첫째, 지속가능한 경영 추구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둘째, 국산농산물 자립기반 확보를 통한 수급안정, 셋째, 우리농산물 안정 공급체계 구축을 통한 유통개선, 넷째, 농어업인 소득제고를 위한 수출진흥, 다섯째, 국산원료 사용 증대를 통한 식품산업 육성이 그것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가치 목표는 공익적 가치창출, 경영혁신 기반 구축, 참여와 소통 경영으로 국민신뢰 강화,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환경 조성 등을 포함한다. 수급안정 목표는 선제적 수급관리 기능 강화, 국산 농산물 자급 환경 조성, 농산물 안전관리 선진화 등을 포함한다. 유통개선 목표는 농산물 신유통 선도, 산지유통 경쟁력 제고, 우리농산물 유통기반 구축 등을 포함한다. 수출진흥 목표는 국산원료 수출품목 경쟁력 강화, 신규 수출시장 및 유통채널 개척, 농가와 중소 수출업체 경쟁력 강화 등을 포함한다. 식품산업 육성 목표는 식품기업 국산원료 소비 활성화, 중소식품기업 경영개선과 판로개척 지원, 정보제공 강화를 통한 식품산업 기반조성 등을 포함한다.
이처럼 aT는 농수산식품산업 전반의 진흥을 위해 다양한 전략목표와 과제를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국민에게 안정적인 먹거리를 제공하고 농어업인의 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2.5. 전략목표에 따른 전략과제
전략목표 전략과제
사회적 가치 ? 공익적 가치창출 경영혁신 기반 구축 ? 참여, 소통 경영통한 국민신뢰 강화 ? 지속가능 경영위한 환경 조성
수급안정 ? 선제적 수급관리 기능 강화 ? 국산 농산물 자급 환경 조성 ? 농산물 안전관리 선진화
유통개선 ? 농산물 신유통 선도 ? 산지유통 경쟁력 제고 ? 우리농산물 유통기반 구축
수출진흥 ? 국산원료 수출품목 경쟁력 강화 ⑪ 신규 수출시장 및 유통채널 개척 ⑫ 농가, 중소 수출업체 경쟁력 강화
식품산업 육성 ⑬ 식품기업 국산원료 소비 활성화 ⑭ 중소식품기업 경영개선 판로개척 ⑮ 정보제공 강화 통한 식품산업 기반조성
aT는 '공익적 가치창출', '참여·소통 경영을 통한 국민신뢰 강화',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환경 조성' 등의 전략과제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고자 한다. 이는 aT가 국민의 신뢰를 받으며,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선제적 수급관리 기능 강화', '국산 농산물 자급 환경 조성', '농산물 안전관리 선진화'와 같은 전략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수급 불안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산 농산물 자급률을 제고하며, 안전한 농산물 공급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유통개선을 위해서는 '농산물 신유통 선도', '산지유통 경쟁력 제고', '우리농산물 유통기반 구축'과 같은 전략과제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농산물 유통구조를 선진화하고, 산지유통을 강화하며, 안정적인 우리농산물 공급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