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수련시설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운영위원회의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수련시설과 청소년운영위원회
2.1.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과 특징
2.2.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과 배경
3.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운영 현황
3.1. 청소년운영위원회의 목적과 기능
3.2.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
4. 청소년수련시설 내 청소년운영위원회 사례 분석
4.1. 대덕구청소년수련관 청소년운영위원회
4.2. 검단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운영위원회 '유통기한'
4.3. 기타 우수 청소년운영위원회 사례
5. 청소년자치활동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운영위원회 평가
5.1. 청소년 구성원 합의와 권리 실천
5.2.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참여와 권리 자각
5.3. 청소년 인권신장
6. 결론
6.1.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의의와 과제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청소년은 미래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가게 될 주역이다. 그렇기에 청소년들은 지금의 '스펀지'같은 시기에 리더십과 창의성, 시민의식 등을 비롯한 모험심과 어려움을 개척하고자 하는 정신을 갖춰야 한다. 현대 사회는 단순 정보화 사회를 넘어선 4차산업혁명의 시대이다. 정보가 곧 지식이 되고, 지식이 곧 강함이 되는 것이다. 하여 우리 미래의 주축이 될 청소년들이 정보를 얼마나 알고, 이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는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청소년기는 극심한 감정기복에 시달리게 되고, 스스로의 공간을 추구하며, 성인에게서의 독립을 꿈꾸는 등 성인기로 접어들기 위해 거치는 과도기 상태이다. 이 시기에는 단순히 정신적인 성숙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2차성징과 같은 신체적 성숙도 같이 일어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하여 현대사회에서는 청소년들을 올바른 사상과 가치관을 가진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제도나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
2. 청소년수련시설과 청소년운영위원회
2.1.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과 특징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들이 일상 생활을 살아가면서 다양한 여가활동과 더불어 문화체험과 봉사활동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몸과 마음을 단련하고 덕, 체, 지를 성장시켜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길러내는 것을 돕는 수련활동을 시행할 수 있는 시설이나 장소를 말한다. 청소년수련시설은 수련활동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시설이나 자원, 수련거리 등을 갖추고 적합한 자격을 가진 청소년지도자의 지도하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진행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청소년활동진흥법에는 청소년이 이용 가능한 국립청소년수련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게끔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는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을 비롯한 평창, 김제, 고흥, 영덕, 부산, 봉화 등의 국립시설이 개원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각 국립 수련원은 각자의 테마를 갖고 특색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2.2.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과 배경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과 배경은 다음과 같다.
현대 국가에서는 인권의식 및 자율성의 신장과 의사결정방식의 다양화, 정보화에 따른 정보공유 확대 등으로 청소년들의 인격 및 권익, 자율성, 역할존중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정책참여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미국 및 유럽 등의 선진 국가에서는 1990년대 초에 주로 지방 정부에서부터 청소년들의 정책참여 활동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청소년 위원회가 설치?운영되었고, 현재에는 위원회 운영을 위한 재정적 지원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청소년정책의 주체로서 청소년의 권익과 자율참여를 강조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청소년의 권리와 참여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는 1998년도 청소년 '자율?참여'를 기조로 하는 청소년 정책 변화로 청소년 단체?시설에서의 운영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2000년부터는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지침사항으로 시행되었고, 2003~2004년 시범적 청소년운영위원회 지원 및 평가가 시행되었으며, 2003년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라 각 시설에서의 운영을 권고하였다.
3.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운영 현황
3.1. 청소년운영위원회의 목적과 기능
청소년운영위원회의 목적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설치 목적은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의 의견과 욕구를 반영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이 청소년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
참고 자료
http://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2
김인규,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인식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한도희, 청소년 참여의 반석 청소년운영위원회로의 전진, 한국소년청소년학회, 2016.
임선정, 청소년 자치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박수영, 청소년 자치활동과 정치의식 간의 관계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청소년운영위원회 자료 수집 사이트 : http://youthnet.or.kr/?page_id=594 -수집일시: 2020.03.17. 16:00 [2019 청소년운영위원회 인천 지역 우수 사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임선정(2015) “청소년 자치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정건희(2009) “청소년자치활동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법과인권교육연구. 학술저널
김위정(2016) “한국청소년연구 - 제27권 제1호 : 학생자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김난영(2002) “학생자치활동과 학생권리 실현”. 가톨릭대학교. 학위논문
김영인, 김민(2017). 청소년지도방법론.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청소년활동진흥법 http://www.law.go.kr
백성은(2011),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청소년 참여활동이 리더십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윤동협(2010), 중앙대학교 대학원 – 청소년참여 경험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수집일시 : 2020 04-03
http://www.mwyouth.org/
http://1388.ulsannamgu.go.kr/cmm/main/mainPage794u.do
http://portal.icbp.go.kr/bpy/
https://didim.gmyouth.org/
https://www.snyouth.or.kr/uth/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