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보장 운영에 대하여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개요
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설립 배경
2.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기능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1. 주민참여 및 지역 특성 반영의 미흡
3.2. 재정 및 전문인력 부족
3.3. 조직 운영의 투명성 결여
4.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주민참여
4.1. 주민참여의 필요성
4.2.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5.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5.1. 자원봉사자의 역할
5.2.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복지는 받아야 하는 것은 인간의 권리이며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것은 국가적, 사회적인 책임이라는 가치가 내려지게 되었다. 현대 사회복지의 가치는 첫째, 인간의 존엄성에 의해서 모든 인간을 인간으로서 품위와 가치 그리고 존엄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인간의 자기결정의 원리로 모든 인간은 자신이 어떤 요구를 하며 어떻게 그것을 충족시킬 것인가를 스스로가 결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기회의 원리로 사회는 모든 인간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부여하여 모든 인간들이 차별 없이 복지 제공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사회연대의 원리로 모든 인간들은 상부상조 하는 정신에 입각하여 자기 자신과 가족 그리고 사회전체에 대해서 공동체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복지는 현재 우리사회에서 꼭 필요한 서비스이다. 그리고 좀 더 성숙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사회적인 문제라고만 생각하지 않고 각 지역의 주민들 또한 참여하는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개요
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설립 배경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설립 배경은 다음과 같다.
저출산·고령화 추세, 양극화 현상의 심화 등에 따른 다양한 지역 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기존의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 체계만으로는 대처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사회의 민·관이 협력하여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 단위 연계·협력의 전달 체계가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0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제7조)에 따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설립의 근거가 마련되었고, 2005년 7월 3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게 되었다.
2.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기능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사회복지 및 보건의료 분야의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관련 기관·단체의 대표자, 공익 단체에서 추천한 자, 그리고 공무원 등으로 대표협의체가 구성된다. 또한 각 기관·단체의 실무자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실무협의체를 둔다. 이처럼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민관 협력체계와 광범위한 참여, 다층적 구조로 조직되어 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할 지역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중요 사항과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심의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건의하는 사회복지부문 심의기능을 수행한다. 둘째, 사회복지·보건의료서비스의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관, 복지-보건 분야 간 연계와 협력을 도모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지...
참고 자료
조휘일 저,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2002
박무환 기자, ‘대구시, 자원봉사자 20만명 만든다’, 경북일보, 2014.01.24
박원진 외, 지역사회복지론, 수양재, 2018.
이창희 외, 지역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대왕사, 2006.
강원도 양양군청(https://www.yangyang.go.kr)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엄명용, 김성천 외 2명 저 | 학지사 |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