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반응열 측정과 Hess의 법칙
1.1. 반응열의 정의와 종류
1.2. 반응열의 측정 방법
1.3. 열량계의 종류
1.4. 반응열의 계산
1.5. Hess의 법칙
1.6. 열역학 기본 개념
1.7. 비열과 열용량
2. 니트로화 반응: Methyl-3-nitrobenzoate 제조
2.1. 생성물의 FT-IR 분석
2.2. 생성되는 물질의 종류
2.3. 재결정의 필요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반응열 측정과 Hess의 법칙
1.1. 반응열의 정의와 종류
반응열이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반응열은 주로 1몰의 물질이 반응할 때 출입하는 에너지로 표현되며, J/mol이나 kJ/mol과 같은 단위를 사용한다. 반응열에는 생성열, 연소열, 중화열, 용해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생성열은 1몰의 화합물이 그 성분 원소의 순수한 물질에서 생길 때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연소열은 물질 1몰이 완전히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나타낸다. 중화열은 산과 염기가 각각 1g 당량씩 반응하여 1몰의 물을 생성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말한다. 용해열은 물질 1몰이 다량의 물에 녹을 때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반응열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화학반응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1.2. 반응열의 측정 방법
반응열의 측정 방법은 특별하게 제작된 열량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반응열은 외부계와의 에너지 교환이 차단된 환경에서 측정되어야 하므로, 열량계는 이를 위해 설계된다.
열량계의 종류에는 크게 간이 열량계(일정 압력 열량계)와 통 열령계(일정 부피 통열량계)가 있다. 간이 열량계는 주로 액체를 이용한 반응에서 사용되며, 조작이 용이하고 고립계로 전환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통 열량계는 기체 반응, 특히 연소 반응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액체 반응의 경우 간이 열량계를 사용하면, 반응물의 상태와 반응 시작 시점, 그리고 조작의 용이성 등의 요인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실험보다 더 정확한 반응열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1.3. 열량계의 종류
열량계의 종류에는 간이 열량계(일정 압력 열량계)와 통 열령계(일정 부피 통열량계)가 있다. 간이 열량계는 반응 물질을 용기에 넣고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반응열을 구하는 방식이다. 주로 액체와 고체 반응에 사용되며, 조작이 간편하고 단시간에 반응열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통 열량계는 반응 용기를 물로 둘러싸인 단열 용기에 넣고 반응 후 물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반응열을 구하는 방식이다. 주로 기체 반응에 사용되며, 정확도가 높지만 조작이 복잡하고 반응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 실험에서는 주로 액체(물)를 이용한 반응이...
참고 자료
동국대학교화공생물공학과,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동국대학교화공생물공학과, 2023, pp.38-40
일반화학실험, 동국대학교 화학과 화학실험실, 녹문당, 2020, p57~59
김교범, 임종주, 강택진, 한정인,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동국대학교화공생물공학과, 2023, pp.4-6
Paula Yurkanis Bruice, “공업유기화학”, 자유아카데미, 2021, pp.660-669
MERCK, IR Spectrum Table & Chart
안전보건공단, MSDS
동국대학교화공생물공학과,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동국대학교화공생물공학과, 2023, pp.38-40
안전보건공단, MSDS
Peter Atkins and Juli de Paula, 물리화학, 교보문고, 2015, pp.22-118
한국물리학회, 물리학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