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아제의 지식 유형 비교와 예시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피아제의 지식의 유형
2.1. 물리적 지식
2.2. 논리수학적 지식
2.3. 사회적 지식
2.4. 피아제의 물리적 지식, 논리수학적 지식, 사회적 지식 비교
3. 피아제의 지식의 유형에 따른 지식 습득
3.1. 물리적 지식 습득
3.2. 논리수학적 지식 습득
3.3. 사회적 지식 습득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발달에 관해 가장 포괄적이고 독창적인 이론을 정립한 학자로, 그는 유아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축한다고 하면서 인간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인지구조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하였다. 피아제는 아동을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환경을 탐색하면서 지적인 발달을 스스로 이루어나가는 능동적인 학습자로 보았다. 피아제의 주장에 따르면 아동의 사고방식은 성인과 다르며 각 발달단계에 따라 고유한 사고를 한다고 하였다. 피아제는 그의 인지적 구성주의 이론을 통해 아동이 세상에 관한 지식을 어떻게 구축해 나가는지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현대 유아수학교육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에 본 레포트에서는 피아제의 물리적 지식, 논리수학적 지식, 사회적 지식을 비교하여 정리하고 각각의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2. 피아제의 지식의 유형
2.1. 물리적 지식
물리적 지식은 사물의 고유한 속성과 관한 지식으로, 영유아가 직접 사물을 관찰하고 조작하며 그 경험을 통해 물리적 지식을 형성한다. 쉽게 말하면 자연현상의 인과관계와 사물의 특성을 직접 경험하거나 구체적으로 관찰하여 얻는 지식이라 볼 수 있다.
물체, 즉 사물 그 자체가 가진 외적인 특성에 근원을 두는 것으로, 사물과 사물의 특성에 대해 학습하는 지식이다. 여기서 물체의 외적특성이란 "공은 둥글게 생긴 모양이다."와 같은 외관상에 나타난 물체의 특징을 말한다. 이를 통해 "공이 굴러가게 되는 것이다." 또는 "공이 물에 뜨게 되는 것이다."와 같은 자연현상의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찰이나 경험을 통해 물리적 지식이 습득되는데 이것을 "경험적 추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동의 세계관 형성에 물리적 지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으며, 추상적 개념 형성에 아동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발견하는 경험들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모든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주변 사물에 대해 관심이 많으며, 그것을 실험해보거나 탐색하려고 한다. 물리적 지식은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적 추상에 의해서 구성되는데, 경험적 추상이란 서로 사물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적으로 경험하거나 자연현상의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관찰하여 얻어지...
참고 자료
피아제, 지안, “인간의 인지 발달” 학지사, 1995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2003
정희영, “피아제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8
한국심리학회, “심리용어사전” 학지사, 2009
이대식 외 6인, “아동 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유윤영, “Piaget의 개념 연구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논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0
유재수 “피아제 발생심리학 이론과 실제” 경문사, 2015
한유미, “유아수학교육” (개정) 창지사, 2015
이찬승, 김정민 외 3명 저, 아동수학지도, 파워북, 2022
오정희 저, 영유아 수학교육, 공동체, 2022
서현아 저, 아동수학지도, 창지사, 2021
서소정, 문혁준, 김정희 외 1명 저, 아동수학지도, 창지사, 2020
박혜경 저, 영유아 수학교육, 교육아카데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