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무료충전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동차 산업 및 전기차 시장 동향
2.1. 자동차 산업의 특징
2.2. 세계 전기차 시장 동향
3. 국내 기업 - 현대자동차
3.1. 현대자동차의 발전 과정
3.2. 현대자동차의 경쟁우위
3.3. 현대자동차의 환경변화대응전략
4. 해외 기업 - 테슬라
4.1. 테슬라의 발전 과정
4.2. 테슬라의 경쟁우위
4.3. 테슬라의 환경변화대응전략
5. 자동차 산업의 변화 및 시사점
5.1. 자동차 산업의 변화
5.2. 글로벌경영론적 관점의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난 2020년은 인공지능(AI)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과 같은 첨단 지능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이 진전되는 한 해였다. '4차 산업혁명' 용어는 2016년 6월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초연결(hyperconnectivity)와 초기능(superintelligence)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 산업혁명보다 더 빠른 속도로 더 넓은 범위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과 같은 첨단 지능정보기술을 기존 산업·서비스 및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하며 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자율주행차와 가상현실(VR), 드론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산업은 모든 제품 및 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자동적·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며,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대변혁의 시대를 열고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 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와 대비의 필요성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며, 수많은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적용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기술 기반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공유경제(Sharing Economic)가 부상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IT 기업 '우버(Uber)'가 있다.
2. 자동차 산업 및 전기차 시장 동향
2.1. 자동차 산업의 특징
자동차 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산업은 세계적으로 매출액이 1조 달러가 넘는 세계 최대 제조업 중 하나로, 각국 경제 성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전세계에서 운행 중인 자동차의 총 대수가 14억 9000만 대에 달하며, 연평균 4% 성장세를 보였다.
둘째, 자동차 산업은 수많은 자재와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간투입율이 높고 전후방 연쇄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또한 시장진입에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어 진입 및 철수장벽이 매우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동차 산업으로의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생산라인 구축, 부품공급선 확보, 초기투입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에 대한 막대한 자본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자동차 산업은 신기술이 가장 빠르게 적용되는 분야이다. 철강, 기계, 소재 산업 등의 전통 연관 산업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술(IT), 바이오기술(BT), 환경기술(ET) 등의 새로운 성장 산업 기술이 끊임없이 접목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산업은 기술 혁신에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2.2. 세계 전기차 시장 동향
세계 전기차 시장 동향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 산업이 세계적으로 매출액이 1조 달러가 넘는 세계 최대 제조업 중 하나로, 자동차 산업은 각 국가의 경제 성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의 '2019년 기준 세계자동차 통계'에 따르면, 2019년 한 해에 전세계에서 운행 중인 자동차의 총 대수는 14억 9000만 대로 집계되었다. 이는 세계 자동차 시장의 연 평균 4% 성장세에 힘입어, 2009년 9억 8000만 대에서 대폭 증가한 수치이다.
그러나 2017~2019년 세계 자동차 산업은 평균 3%대 감소세를 지속한 가운데 전기차만 성장세를 보였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19년 자동차 생산은 9260만 대로 전년 대비 5% 감소했으며 2019년 자동차 판매 역시 9150만 대로 전년 대비 3.9% 감소했다. 반면 전기차의 판매는 2018년 461만 대에서 2019년 527만 대로 14.4% 증가하였으며 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각국 정부의 전기차 보급 정책으로 인해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은 2010년 이후 빠르게 성장하여 2019년 기준 전체 자동차 시장의 5.6%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참고 자료
융합금융처, 2019.5 “KOSME 산업분석 Report –자동차-”
환경부, 2015.12 “친환경 자동차”
KIAT, “글로벌기술협력기반 육성사업 심층분석 보고서 유럽의 전기자동차 정책 동향”
대한석유협회, 2017.7 “주요국가의 전기자동차 보급정책 및 정책제언”
조귀동, 2020.11.08. [바이든 시대] 전기·수소차에 보조금 지급 약속...친환경차 판매 급증할 듯,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06/2020110602424.html
정민(2016),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16.
김진백, 이남석(2017), 『기술 추격, 품질 혁신, 국제화를 통한 현대-기아차의 성장』, 『한국경영학회』 33.
박남규 외 2인(2019), 『자동차 산업 100년 역사에 도전하는 작은 거인: Tesla』, 『한국경영학회』, 20.
김경유(2017), 『자동차산업의 기초분석』, 『산업연구원』, 36.
김경유(2016),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발전전략』,『산업연구원』,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