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아 OOO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
1.1. 기본생활습관
1.1.1. 식습관
영아 OOO의 식습관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린이집에서 식사할 때 혼자 수저와 포크를 사용하여 먹으려 하며, 밥과 국을 잘 먹는 편이다."
OOO는 아직 편식이 있어 일부 채소 반찬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지만, 교사와 부모의 지도를 통해 점차 골고루 음식을 먹으려 노력하고 있다. 가정에서는 부모가 OOO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주먹밥을 만들어 먹이기도 하고, 어린이집에서도 교사가 OOO가 좋아하는 음식이나 익숙한 음식으로 구성된 식단을 제공하여 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식사 중에 더 이상 일어나다니거나 뛰어다니지 않고, 자리에 앉아서 끝까지 집중하여 먹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규칙적인 식사 지도를 통해 기본생활습관이 점차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OOO의 식습관은 아직 연령에 걸맞지 않은 일부 편식 행동이 관찰되지만, 교사와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으로 점차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배변습관
배변습관에 대해서는 대체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영아 OOO는 하루에 1-2회 정도 배변을 하고 있으며, 화장실에 가자고 하는 표현도 가끔 한다고 한다. 다만 아직 스스로 배변하는 습관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교사들은 기저귀를 갈아주는 과정에서 "OO야, 기저귀 갈자"라고 말하며 기저귀를 보여주고, 아이를 눕혀 기저귀를 갈아주고 있다. 그리고 기저귀 갈이가 끝나면 옷을 입혀주고 일어서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처럼 배변 관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들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부모님들도 아이의 배변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낮잠 시간이나 간식 시간에도 자주 화장실에 보내어 배변을 도와주고 있다. 배변 후에는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알아차리고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배변 습관 형성을 돕고 있다.
다만 아직 완전한 배변 자립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교사와 부모가 협력하여 지속적인 배변 관찰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모님께서도 가정에서 아이의 배변 습관을 잘 파악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교사와 연계하여 지도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1.1.3. 수면습관
영아 OOO의 수면습관은 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