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보건의료
1.1. 정보통신기술의 정의와 발전
정보통신기술은 정보처리기술과 통신기술이 결합된 것으로, 데이터를 입력하여 가공처리한 후 정보로 출력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개념이다. 정보통신기술은 인류사회의 변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그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크게 4세대로 구분된다. 제1세대는 1837년 미국의 모스가 발명한 전신으로, 유선으로 연결된 두 지점 간 데이터를 전기적 펄스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제2세대는 1876년 벨이 발명한 전화로, 에디슨의 탄소식 전화기 원리를 이용하여 음성을 기계적 에너지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기술이다. 제3세대는 1946년 세계 최초의 전자계산기 에니악 개발로 대표되는 데이터 통신 기술이다. 제4세대는 1971년 세계 최초의 패킷 교환망 ARPANET 개발로 대표되는 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융합 시기로, 2000년대 이후 인터넷과 웹, 이동통신이 크게 발달하였다.
이동통신 기술 또한 발전 단계를 거쳐왔다. 제1세대는 음성 통신 중심의 아날로그 방식이었고, 제2세대는 디지털 방식으로 통신 용량이 크게 향상되었다. 제3세대는 유비쿼터스 이동통신 시대로 전송 속도가 크게 빨라졌으며, 제4세대인 LTE와 LTE-A 이동통신은 전송 속도가 약 50배 이상 더 빨라졌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인간 생활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으며, 특히 보건의료 분야에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1.2. 정보통신기술의 보건의료 분야 활용
정보통신기술의 보건의료 분야 활용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정보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환자 중심의 보건의료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환자와 돌봄제공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먼저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은 의료사고 예방, 의사결정지원, 업무효율성 개선, 의사소통 향상, 비용절감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처방 및 투약 오류 방지, 다양한 의사결정지원 기능, 종이기록의 문제점 해결, 협진 촉진을 통한 업무흐름과 의사소통 향상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간호정보시스템은 환자등록, 처방조회 및 수행 확인, 처치물품 및 행위수가 발생, 전과전동 및 인수인계, 전자간호기록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데이터웨어하우스와 같은 시스템은 의료기관 내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발견을 위한 데이터마이닝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수술 후 통증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중재법을 찾아낼 수 있다.
나아가 국가 수준의 전자건강기록시스템(EHR)은 의료기관을 벗어나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환자 기록을 통합하여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와 환자 간 정보 공유 및 협력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만성질환 관리 및 치료에 활용도가 높다.
이처럼 정보통신기술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접근성 제고, 비용 절감 등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 중심적이고 효율적인 보건의료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1.3. 정보기술 발전이 보건의료에 미치는 영향
정보기술 발전이 보건의료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효과적인 자원활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컴퓨터 기반 진단, 의료정보 접근의 용이성 증대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이다.
정보기술의 발전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환자 정보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이다.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도입으로 환자의 인구학적 정보, 생활습관, 진료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의료진들이 필요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이다. 또한 데이터웨어하우스와 국가 수준의 전자건강기록시스템 구축으로 보건의료 데이터를 통합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이다.
컴퓨터 기반 진단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의사들은 희귀질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진단 지원 시스템 개발로 의료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향상되고 있다"이다. 특히 태아의 모습을 초음파로 관찰하는 등 첨단 의료기기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의료서비스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이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보건의료 관련 웹사이트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생겨나면서 일반 국민들의 의료정보 접근성이 크게 높아졌다"이다. 이를 통해 환자와 의사의 관계가 일방적인 정보전달에서 상호참여로 전환되고 있으며,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에 적극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이다.
하지만 정보기술의 발전이 의사와 환자 간의 대면 접촉을 줄이면서 인간미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