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투약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례 분석
2.1. 서울 중랑구 N병원 - 수혈오류 사고
2.2. 천안 C병원 - 수술 부위 오류사고
2.3. 안동 S병원 - 투약오류사고
2.4. 광주 G병원 - 뇌출혈 환자 낙상사고
2.5. 전남 J요양병원 - 화재사고
3. 개선방안
3.1. 2-2-2 안전수혈 캠페인
3.2. TIME OUT 제도 도입
3.3. 다빈도 약품 매뉴얼 제작
3.4. 낙상 예방 및 대처 교육
3.5. 화재 대응 매뉴얼 제작
4. 별첨 자료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관리학 Team Project 보고서는 간호사의 법적 의무/권리/책임에 대한 사례분석과 개선방안을 다룬다.
본 레포트는 수혈오류, 수술부위 오류, 투약오류, 낙상사고, 화재사고 등의 의료사고 사례를 통해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책임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간호사의 주의의무, 확인의무 위반으로 인한 법적 책임 등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약 안전, 수술 안전, 낙상 예방, 화재 대응 등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나아가 간호 실무에서의 윤리적 책임과 환자의 권리 보호 등을 아우르며, 간호사의 법적 지위와 역할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궁극적으로 환자 중심의 안전한 의료 환경 조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2. 사례 분석
2.1. 서울 중랑구 N병원 - 수혈오류 사고
서울 중랑구 N병원에서 발생한 수혈오류 사고는 적십자 혈액원과 병원의 실수로 인해 혈액형이 B형인 환자에게 A형의 혈액이 수혈되는 사고이다. 이는 혈액형 불일치로 인한 용혈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사고이다.
사고의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 혈액은행에서 수령해온 혈액에 대한 확인 절차가 미흡했다. 의료인 2인이 직접 적십자 혈액원 스티커와 병원 혈액부착 스티커의 내용을 확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소홀히 하여 혈액형을 잘못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사가 차트와 준비한 혈액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절차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셋째, 수혈 전 마지막 확인 단계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참여를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도 생략되었다.
이러한 절차 미흡으로 인해 결국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는 혈액이 환자에게 투여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를 예방하고자 "2-2-2 안전수혈 캠페인"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혈액은행, 간호사, 환자 및 보호자가 모두 참여하여 수혈 전 각 단계마다 정확한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 혈액은행에서 수령한 혈액에 대한 확인, ② 간호사의 차트 및 혈액 확인, ③ 환자와 의료진의 최종 확인 등 총 3단계에 걸쳐 2명의 의료진과 환자(또는 보호자)가 참여하여 5가지 항목(환자 정보, 혈액제제, 혈액고유번호, 혈액형, 교차 검사 결과)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혈액형 불일치로 인한 수혈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기적인 수혈요법 시뮬레이션 실시를 통해 수혈 절차에 대한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천안 C병원 - 수술 부위 오류사고
연골파열로 인해 오른쪽 무릎을 수술해야 하는 환자에게 수술실에서 수술 부위 판단 오류로 왼쪽 무릎을 수술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례에서는 수술팀원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인해 정확한 환자, 수술부위, 수술과정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술 부위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TIME OUT' 제도를 도입하였다"" 'TIME OUT'은 수술실에서 수술팀원 모두가 모여 환자, 수술명, 수술부위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수술팀원인 수술의사, 마취의사, 수술간호사, 수술환자로 구성되며, 마취의사가 진행을 이끌어간다"" 환자확인, 팀원동의, 본인확인, 환자동의 총 6단계로 이루어져 수술 전 정확한 확인을 실시한다""
또한 수술 전 병동에서부터 정확한 대상자 확인을 위해 수술 일정표를 사용하였다"" 병동간호사가 EMR을 확인하여 수술 스케줄을 확인하고, 수술 대상자에게 직접 찾아가 이름, 수술명, 수술부위를 개방형 질문으로 확인한다"" ...
참고 자료
김영미 (2013). 법적 관점의 간호기록 작성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임상간호연구, 19(3), 369-382.
박윤미, 장정란, 구희정, 서미라 (2009). 신규 간호사의 투약오류를 줄이기 위한 개선활동. 가을학술대회, 2009(3), 267-269.
염영희, 고명숙, 김기경, 김보열, 민순, 신미자, . . . 황지인 (2017). 간호관리학 (6th ed.). 파주: 수문사.
홍은정 (2006). 내과계 간호사의 투약간호교육과 실무표준화. 가을학술대회, 2005(2), 125-126.
황정해, 김은경, 김창엽, 오병희 (1998).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 간호학 논문집, 12(1), 133-150.
인천지방법원 2016. 6. 17. 선고 2015고단7560 판결.
민법 부칙 제390조.
민법 부칙 제750조.
민법 부칙 제731조.
소비자기본법 부칙 제28조.
소비자기본법 부칙 제31조.
소비자기본법 부칙 제55조.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부칙 제 27조.
소비자기본법 부칙 제60조.
민사조정법 부칙 제2조.
형사소송법 부칙 제223조.
형사소송법 부칙 제225조.
의료법 부칙 제22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5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9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11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12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13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14조.
환자안전법 부칙 제16조.
대한간호협회 [웹사이트]. (2014. 2. 19). Retrieved from https://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웹사이트]. (n.d.). Retrieved from http://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567&ccfNo=5&cciNo=2&cnpClsNo=1
김요나 채영희 외 81명 저. 개정 5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