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물 세포배양 cell cultur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포배양 실험의 이해
1.1. 세포배양의 개요
1.2. 세포의 구조와 기능
1.3. 세포 내 단백질 생성 방법
1.4. 세포의 분류
1.5. 세포 배양법
1.5.1. 기관 배양
1.5.2. 조직 배양
1.5.3. 세포 배양
1.5.4. 초대 배양
1.5.5. 세포주 배양
1.6. 세포의 생장 곡선
1.6.1. 유도기
1.6.2. 지수성장기
1.6.3. 정지기
1.6.4. 감소기
1.7. 동물 세포 배양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포배양 실험의 이해
1.1. 세포배양의 개요
세포배양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세포배양은 생물체의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배양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in vitro(생체 밖)에서 in vivo(생체 내)와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는 배양을 가리킨다. 세포들은 유리세포 집단으로 생체에 주입하여 이식하거나 분자는 통과시키지만 세포를 통과시키지 않는 막으로 덮인 소실(확산실)에 세포를 가둬 생체 속에 넣어 배양할 때는 in vivo(생체 내) 배양이라고 한다.
세포배양은 몇 번이고 다시 옮겨 배양하여 분열을 되풀이시킨 세포(대부분은 암세포), 혈액이나 림프 조직 등의 세포처럼 처음부터 유리된 세포는 그대로 배양할 수 있지만, 덩어리가 된 조직 세포는 먼저 트립신이나 콜라게나제를 사용하여 유리시킨 뒤 배양한다. 세포 융합에서 미생물과 식물의 육종에 응용되기도 한다.
동물세포를 배양하는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효소, 호르몬, 백신, 면역 조절인자, 항암제 등 여러 종류의 의료용 치료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과 이들 생산에 필요한 세포 내 신호(signal)를 연구하는 것이다. 치료용 단백질은 유전자 재조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도 있지만, 단백질에 당그룹이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구조이기 때문에 단백질을 합성 뿐만 아니라 번역 후 수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동물세포를 이용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 면에서 바람직하다. 동물세포는 세포 배양 시 부유(suspension) 상태나 부착(attachment) 상태로 생장할 수 있다.
이처럼 세포배양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의약품 개발, 줄기세포 연구, 유전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1.2.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의 구조와 기능은 모든 생명체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모든 진핵생물(동물, 식물, 균류)의 세포는 공통적으로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부분과 세포핵, 그리고 세포질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막은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경계이며, 물질 출입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핵은 DNA를 포함하고 있어 유전정보를 담고 있으며, 세포질에는 많은 물질과 세포소기관들이 있다. 세포소기관 중에서 소포체와 골지체는 단백질 합성과 운반에 관여하며,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 생산에 관여한다. 리소좀은 세포 내 노폐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진핵생물 세포에서 DNA는 핵막에 둘러싸여 있는 세포핵 내부에 존재한다. DNA는 유전정보를 가진 분자로, 긴 사슬 모양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핵막 내부에서 RNA 중합효소에 의해 DNA의 유전정보가 mRNA로 복사된다. 합성된 mRNA는 핵막을 통과하여 세포질로 이동하고, 리보솜에서 아미노산이 연결되어 단백질이 합성된다.
이처럼 세포의 구조와 기능은 생명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세포핵의 DNA에 담긴 유전정보가 단백질 합성으로 이어짐으로써 세포는 생명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3. 세포 내 단백질 생성 방법
세포 내 단백질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포에서는 DNA의 유전자 원본 정보를 복제한 mRNA라는 분자를 세포핵 안에서 만들고, mRNA를 세포핵 밖으로 가져가 단백질을 합성하는 전략을 취한다. DNA는 당, 인산,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가지를 합쳐 뉴클레오티드라고 부른다. 인산과 당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중 인산이 옆에 있는 뉴클레오티드의 당과 결합해 한 가닥의 긴 사슬 구조가 된다. 이렇게 긴 사슬이 두 개의 짝을 이루어 수소결합을 한 것이 DNA 이중나선 구조이다.
mRNA는 DNA와 비슷한 염기, 당, 인산으로 이루어진 분자이다. RNA 폴리머라아제라는 단백질...
참고 자료
서한극, 2007, 배양세포실험 핸드북, pp. 45, 68, 71-72, 105-106, 월드사이언스.
김태전 외2, 2004, 세포배양학개론, pp. 175, 202-212, 227, 241-244, 248, 251, 255-263, 고려의학.
오계헌, 2016, Brock의 미생물학, p191, 바이오사이언스출판.
Invitrogen 외1, Cell Culture Basics Handbook, pp. 41-42, Life technologies.
세포배양(하나부터 열까지 알아보기), 김승업, 자유아카데미, 2008.02.01, p.17~123
배양공학, 조문구, 유한문화사, 2004, p.223~p.257
배양세포실험 핸드북, 토시오 쿠로키 외 1명, 월드사이언스, p.36~p.78
일반생물학실험, 한국생물과학협회, 아카데미서적, 1993, pp275-289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2판, Lisa A. Urry 외 4명,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9
핵심 일반생물학 실험서, 오병운 외 5명,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8
Bio Process & Engineering, [미생물]실험에 필요한 기본 지식_배지 (medium), 김프로 scuttlebutt, 2018.12.4 07:06
https://bioprocess-life.tistory.com/16
LABGUIDE CALIBRATION, [LAB GUIDE] 배지(Medium)의 정의와 종류, 주식회사 랩가이드, 2018.10.16 16:07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abguide4574&logNo=221378743502&parentCategoryNo=&categoryNo=28&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