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배지 만들기 (사면,고층 평판배지) & 미생물 접종하기 보고서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배지 만들기 (사면,고층 평판배지) & 미생물 접종하기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배지의 개념과 종류
1.2. 고체배지의 분류
1.3. 생균수의 개념과 측정방법

2. 배지 제조 실험
2.1. 평판배지 제조
2.2. 사면배지 및 고층배지 제조

3. 미생물 접종 실험
3.1. 평판배지 접종 (Streaking)
3.2. 사면배지 및 고층배지 접종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배지 종류에 따른 미생물 성장 특성 관찰
4.2. 순수배양의 중요성
4.3. 생균수 측정 결과와 오차 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배지의 개념과 종류

배지는 미생물의 발육을 위한 영양물질로 탄소원과 필요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배지는 물리적 성상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로 나누어진다. 액체 배지는 한천(agar)이 들어 있지 않은 액상의 배지이며, 미생물의 종류, 생화학적 검사목적 및 대사산물의 이용 시에 사용된다. 고체 배지는 액체 배지에 한천(agar)나, gelatin, egg, serum 등을 첨가 하여 응고시킨 것으로 집락의 형태를 관찰하거나, 장기 보관 시에 이용된다. 고체배지는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가 있다.

배지는 미생물의 종류, 생리적 조건, 실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진다. 일반배지는 정상상태의 미생물에 쓰이며 미생물 분리에 사용된다. 증균배지는 여러 종류의 영양소를 적당량 함유하여 fastidious microorganism의 성장을 증진시키며 미생물의 증식, 순수배양, 보존 등 일반적인 배양에 쓰인다. 선택배지는 두 종류 이상의 미생물이 혼합되어 있을 때 어떤 미생물의 증식은 저해하고 원하는 미생물만을 증식시켜 선택적으로 분리 배양하는 데 사용한다. 분별배지는 미생물의 특정한 반응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균종의 감별과 동정을 위해 사용된다. 선택&분별배지는 선택적이면서도 감별 가능하고,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미생물군을 분리하고 구별할 수 있는 배지이다. 마지막으로 운송배지는 균을 원래 상태 그대로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세균류는 다양한 영양요구성을 나타내는데, 무기물로만 구성된 배지에서 생육 할 수 있는 미생물이 있는 반면, 아미노산, 그리고 복잡한 유기화합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자랄 수 있는 종도 있다. 따라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분리, 동정 할 때 이러한 다양한 세균의 영양요구성을 고려하여 배지를 적확하게 선정하고, 배지의 멸균과 제조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1.2. 고체배지의 분류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한천(agar)이나 젤라틴, egg, serum 등을 첨가하여 응고시킨 것으로, 집락의 형태를 관찰하거나 장기 보관 시에 이용된다. 고체배지는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로 분류된다.

평판배지는 petri dish에 배지를 약 4mm 두께로 넣어 굳힌 것으로, 주로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미생물의 분리배양에 사용되고 집락의 관찰 등에 사용된다.

사면배지는 시험관에 배지를 경사지게 굳힌 것으로,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과 보존 등에 사용된다.

고층배지는 시험관을 세운 상태로 배지를 넣고 굳힌 것으로, 주로 세균의 성상 검사, 통성 혐기성, 미호기성 세균의 보존, 세균의 운동성 검사에 사용된다.

따라서 배지의 물리적 성상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로 분류되며, 고체배지인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는 각각 자신만의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생균수의 개념과 측정방법

생균수는 살아서 증식할 수 있는 세균의 수로 식품의 신선도나 보존성의 지표가 된다"". 식품 등의 ...


참고 자료

배지 (한국분석시험연구원, 조혜빈)
한국생물공학회. 생물산업 용어
생균수 (영양학사전, 1998. 3. 15., 채범석, 김을상)
생균수 측정법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한국식품과학회)
Mannitol Salt Agar(Labotoryinfo)
Mannitol Salt Agar(Technical Data, HIMEDIA)
Staphylococcus epidermidis (이우주 의학사전, 2012. 1. 20., 이우주)
네이버 지식백과. 황색포도상구균.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03477&cid=61232&categoryId=61232. Accessed Sep. 25. 2020.
네이버 지식백과. 미생물 배지.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5025&cid=61232&categoryId=61232. Accessed Sep. 25. 2020.
식품공전. 용어의 풀이.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 Accessed Sep. 28. 2020.
네이버 지식백과. 멸균.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666&cid=61232&categoryId=61232. Accessed Sep. 28. 2020.
네이버 지식백과. 살균.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8921&cid=40942&categoryId=32411. Accessed Sep. 28. 2020.
박연희, 미생물의 증식. pp.33-34. In: 미생물과 간호 2판, 포널스출판사(2018)
최호형, 생장과 조절. pp.145-146. In: 미생물학, 아카데미서적(2004)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실험 미생물학 (n.p.: 라이프사이언스, n.d.), 14.
https://slidesplayer.org/slide/15436277/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D%B4%EB%B9%84%EC%9D%B8%ED%9B%84%EA%B3%BC-%EC%9E%A5%EC%95%A0/%EA%B5%AC%EA%B0%95-%EB%B0%8F-%EC%9D%B8%ED%9B%84-%EC%9E%A5%EC%95%A0/%EC%9D%B8%ED%9B%84-%EA%B0%90%EC%97%BC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