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과 대학병원 면접 기본대비서
1.1. 실무면접에 도움되는 기본의학용어
실무면접에 도움되는 기본의학용어는 다음과 같다.
at. -에는 ""@""로 약칭되며, 위치나 장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t the bedside""는 "침상곁에""라는 의미이다.
a 는 before의 약칭으로, 이는 "전(前)""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c."는 "식전(食前)""을 뜻한다.
aa는 of each(ana)의 약자로, "각각""을 나타낸다.
abd.는 abdomen의 약자로, "복부""를 의미한다.
ABGA는 arterial blood gases analysis의 약자로, "동맥혈 가스 분석""을 뜻한다.
A.B.R.은 absolute bed rest의 약어로, "절대 침상 안정""을 나타낸다.
a.c.는 before meals(ante cibum)의 약어로, "식전""을 의미한다.
ad.lib.은 as desired, at pleasure의 약자로 "자유로""를 뜻한다.
adm.은 admission의 약어로, "입원""을 나타낸다.
A.F.B.는 acid-fast-bacillus의 약자로, "항산성 간균, 항산균""을 뜻한다.
AFP는 alpha-Fetoprotein의 약어로, "a-페토단백질,a-태아성 단백질""을 의미한다.
A.K.는 above knee의 약자로, "무릎 위""를 나타낸다.
A.M.은 morning(ante meridiem)의 약어로, "오전""을 뜻한다.
amb.는 ambulatory의 약어로, "걸어서""를 의미한다.
amp.는 ampoule(ampule)의 약자로, "앰플""을 나타낸다.
amt.는 amount의 약어로, "양""을 뜻한다.
ant.는 anterior의 약자로, "옆""을 의미한다.
A&P는 ascultation & percussion의 약어로, "청진과 타진""을 뜻한다.
aq.는 water(aqua)의 약어로, "물""을 나타낸다.
1.2. 면접 예상질문 카테고리
면접 예상질문 카테고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 간호법과 관련된 질문들이다. 간호법은 간호사의 전문직 수행과 관련된 법률이므로, 면접 시 이와 관련된 질문이 나올 수 있다.
둘째, PA(Physician Assistant) 제도에 관한 질문들이다. PA 제도는 의사와 간호사의 역할을 중간에서 수행하는 제도로, 이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셋째, 전문간호사의 종류에 대한 질문들이다. 전문간호사는 특정 분야에 전문화된 간호사로, 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넷째, 흉곽수술 환자에게 morphine을 투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질문이 있다. morphine은 호흡을 억제할 수 있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을 제한한다.
다섯째, 욕창 4단계와 호발부위, 간호 방법에 관한 질문이 있다. 욕창 예방과 관리는 간호사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므로 이와 관련된 지식이 필요하다.
여섯째, 당뇨병 합병증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당뇨병은 만성질환으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곱째,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에 대한 질문이 있다. 이는 간호 이론과 관련된 내용으로,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지식이다.
여덟째, 감염관리를 위한 손씻기 5가지 방법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감염관리는 간호사의 필수적인 업무 중 하나이므로 관련 지식이 중요하다.
아홉째, 임신성 고혈압의 특징에 대한 질문이 있다. 고위험 산모 관리는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므로 관련 질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열째, 신생아 예방접종에 대한 질문이 제시되어 있다. 신생아 간호는 간호사의 핵심 업무 중 하나이므로 관련 지식이 필요하다.
이처럼 면접 예상질문 카테고리에는 간호사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법적, 윤리적, 전문적 지식과 술기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1.3. 면접에서 고득점 요령 10개
면접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지원 기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자기 자신을 겸허히 판단하여 자신의 성향, 강점, 약점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이며, 나만의 특별한 능력은 무엇인지 명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자신감 있게 답변할 수 있다.
또한 지원한 회사나 기관에 대한 이해도 100%가 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지원 분야와 업무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견해를 정리해 두어야 하며, 면접관의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한 단답형 응답보다는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