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이배변훈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아에게 있어 놀이중심 배변훈련의 교육적 의미
1.1. 영아의 배설과 배변훈련
1.2. 영아에게 있어 놀이중심 배변훈련의 교육적 의미
2. 영아의 배변훈련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
2.1. 영아의 배변훈련(기저귀 떼기)을 어린이집 교사가 책임지고 수행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
2.2. 근거
3.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배변훈련
3.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3.2. 1-3세 시기의 발달 과업과 배변훈련
3.3. 배변훈련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준비사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아에게 있어 놀이중심 배변훈련의 교육적 의미
1.1. 영아의 배설과 배변훈련
영아의 배설과 배변훈련은 영아기 발달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6~7개월의 영아들은 대소변을 통제하는 근육과 신경은 발달하지만 뇌의 통제 능력이 낮아 배설에 관해 스스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후 대변은 13~15개월경, 소변은 20개월 정도부터 가리기 시작할 수 있다.
영아의 배변훈련은 영아가 스스로 항문근육을 조절하는 법을 훈련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최초의 과정이다. 이는 자아의식 발전의 첫 번째 단계이므로 소아발달의 지표로서도 의미 있는 과정이다. 배변훈련의 시작은 대변훈련으로, 영아가 혼자서 일어서기, 앉기, 걷기, 말 알아듣기 등이 가능해질 때 시작해야 하며, 영아가 배변도중 얼굴의 표정이 바뀌거나 자신이 배변을 할 때가 되었음을 알린다면 시작할 수 있다.
배변훈련을 어려워할 경우 만 2~3세경이 되어 부모나 보육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주로 야간 대변 훈련 후 주간 대변을 차례로 습득할 수 있으며, 이후 주간소변 및 야간소변의 순서로 훈련될 수 있다. 소변훈련의 경우 영아의 기저귀가 적는 시간이 2시간 이상이 되면 방광에 소변을 모아둘 수 있는 능력이 생길 수 있으므로, 관찰을 통해 소변 간격이 규칙적이면 훈련을 시작할 수 있다.
이처럼 배변훈련은 영아의 자율적인 조절능력 뿐만 아니라 배변훈련을 하면서 부모의 지시에 따르게 되므로 지적인 발달에도 중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영아의 신체적, 심리적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배변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영아에게 있어 놀이중심 배변훈련의 교육적 의미
전문가들은 영아에게 배변훈련을 긍정적으...
참고 자료
케이스터디 영유아발달 강의교안
주은자, 만 1세 영아반에서 놀이중심 배변학습의 교육적 의미 탐색, 배재대학교 학위논문, 2012
노희연, 영아의 배변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의 의미 탐색,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 8, Vol. 15, No. 4, pp.23-52
영유아발달 (개정판), 저자 김상림, 양성은 외 3명, 출판 파워북, 2024.03.05.
김수정, 장수미 외 1명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3
한유미 저, 영유아발달, 창지사, 2022
이영미, 아원주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23
정옥분 저, 영아발달, 학지사, 2016
노명숙, 김혜진 저, 영아발달, 양서원, 2015
황희숙 저, 아동발달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18
문혁준 저, 영유아발달, 창지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