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브루너 교육의 과정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브루너의 지식 구조와 학문중심 교육과정
1.1. 브루너 소개 및 생애
1.2. 브루너 『교육의 과정』 시대적 배경
1.3. 브루너의 지식 구조 시대적 배경
1.4. 지식의 구조와 표현 양식
1.5. 학문중심 교육과정
1.6. 나선형 교육과정
1.7. 발견학습
2. 브루너 『교육의 과정』의 한계
2.1. '지식의 구조'의 한계
2.2. 기타 교육 과정 이론의 한계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3.1. 제7차 교육과정
3.2. 지식중심 교육과정의 정의와 종류
3.3. 정신도야론의 주장
3.4.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
3.5. 나선형 교육과정
3.6.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4.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과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4.1.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핵심 개념
4.2.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유형
4.3. 아동과학지도에 적용 가능한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4.4.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핵심 개념
4.5.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유형
4.6. 아동과학지도에 적용 가능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브루너의 지식 구조와 학문중심 교육과정
1.1. 브루너 소개 및 생애
브루너(Jerome Seymour Bruner, 1915∼2016)는 주로 인지주의자,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교육과정학자로 불린다. 그는 미국 심리학 협회 회장을 맡고 하버드대에 인지연구센터를 창설하는 등 심리학 교수로서 많은 공헌을 했지만, 심리학은 그에게 있어 교육과정학에 대한 기반을 마련한 학문이었다. 그는 미국의 전체 교육과정 개편을 시도한 국립과학회 우즈홀 회의의 의장을 맡은 바 있으며 1960년에는 『Process of Education』이라는 책을 출판하였고 이는 교육과정의 고전으로 불린다. 그는 1933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듀크대학교에 들어가 심리학을 전공하였다. 1937년 학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 들어가 심리학을 공부했다. 1939년에 석사학위, 1941년에 고든 올포트(Gordon Allport)의 지도를 받아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든 올포트는 행동주의 접근이 인간행동에 대한 깊은 해석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비판하고 인간의 사회적 정치적 태도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됨을 강조한 사회심리학자이다. 그의 영향을 받은 브루너 또한 행동주의를 거부하고 피아제의 이론을 배워 인지주의적 접근을 중시했다. 전쟁이 끝난 1945년부터 하버드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가르치다가 1952년에는 정교수가 되었다. 당시의 하버드대 심리학부는 정신물리학이라고 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따르는 행동주의자들이 지배적이었다. 브루너는 '뉴룩(New Look)'이라는 새로운 인지이론을 내놓으면서 고든 올포트의 사회심리학적 학풍을 이어갔다. 뉴룩은 자극과 반응으로 학습을 설명하지 않고 해석과 선택이라는 정보처리과정을 통해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브루너는 이 이론을 통해 개인의 지각에 미치는 성격 특성, 언어, 가치관 등을 연구했고, 이후에 지식의 구조라는 이론을 만들 때에도 뉴룩의 영향을 받았다. 피아제의 영향을 받은 그는, 인지적 구조와 도식(Schema)으로 개인이 새로운 개념을 능동적으로 학습한다고 설명해왔는데 지식의 구조도 이것의 연장선에 속한다. 이와 같은 브루너의 사상은 1956년에 출판한 『A Study of Thinking』에 잘 나와 있다.
1.2. 브루너 『교육의 과정』 시대적 배경
1950년대 말에 이르러 학문발달에도 불구하고, 각 학문 분야의 진보된 지식이 학교 교육과정에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이 생겨났다. 이에 아동의 경험을 중시한 진보주의 교육은 지식의 체계가 미흡하고 학습자의 기초학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현실인식은 스푸트닉 쇼크로 상징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위기의식과 맞물려 후세대 교육의 커다란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지구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위성이 발사되기 1년 전 MIT의 제롤드 자카리아스,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 등이 사석에서 고등학교의 물리교과서와 시청각 기구들에 대한 비판을 시작으로 물리교육과정을 재편하자는 물리교육연구회 PSSC(Physical Science Study Committee)가 세워졌다. 하지만 1957년 가을, 소련은 미국보다 먼저 인공위성을 발사하였고(스푸트닉호 사건) 이는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미국은 경쟁 국가에 비해 과학기술이 뒤쳐진 원인으로 교육을 지목하였고, 그 결과 미국사회에서는 대규모 교육개혁이 시작되었다. 이처럼 스푸트니크 쇼크는 미국 사회에 기초 학문의 교육을 중요시하는 계기가 되어, 이전까지 미국 교육을 장악하고 있던 진보주의 교육의 막이 내리고 본질주의 교육이 득세하게 되었다.
문명의 발달로 모든 분야에 걸쳐 지식, 기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학습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경험중심 교육으로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의 습득이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게다가 진보주의 교육은 창의성과 흥미를 중시하여 교과에 대한 관심이 적어 새로운 학문이 발달을 담아내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질주의 교육은 교과에 대한 관심이 크고 지식의 전수를 중요시하였고 새로운 지식을 교과에 통합시키는 것을 중시했다. 또한 진보주의 교육은 지식의 외적인 기능을 중요시 했지만, 본질주의 교육은 지식의 내적인 특성을 중요시했다. 즉 진보주의에서 지식은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였고 교육은 성장이며 생활 그 자체로 내재적 목적이 있었다. 이로 인해 지식의 원리와 개념을 다루는 기초 학문은 자연스레 관심에서 멀어지게 된 것이었다.
이는 곧 학문과 학교간의 간극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나타났고, 각 분야의 학자들은 곳곳에서 교육과정 개발에 열성적으로 참가하였다. 교육과정을 새롭게 만들고자 하는 열기는 1959년 9월의 우즈홀 회의로 이어졌으며, 『교육의 과정』은 '학습에 있어서의 인지과정' 분과위원으로 참가한 브루너가 쓴 우즈홀 회의의 종합보고서이다. 스푸트니크 쇼크로 인해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의 적극적인 경제적 후원을 받아 이 연구회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3. 브루너의 지식 구조 시대적 배경
브루너의 지식 구조 시대적 배경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관련이 깊다.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발달이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브루너는 피아제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지식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브루너에 따르면 지식의 구조는 각 학문 분야의 기저를 이루는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를 의미한다. 교과를 가르칠 때는 이러한 지식의 구조를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게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즉, 브루너는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라 학생들의 사고수준이 달라진다고 보았기에, 각 발달단계에 맞는 적절한 수준으로 지식의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는 교과의 내용을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에 맞추어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교육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브루너는 이러한 관점에서 나선형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핵심개념과 원리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되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화·확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브루너의 지식 구조 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교과 내용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4. 지식의 구조와 표현 양식
브루너(Bruner)는 지식의 구조를 "각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로 정의하였다. 브루너는 교과의 지식체계가 곧 그 교과의 구조이며, 학생들이 이러한 지식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의 목표라고 보았다.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를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게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모든 지적 활동이 근본적으로 동일하며, 대학자들이 하는 일과 초등학생들이 하는 일의 차이는 단지 표현 방식의 차이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를 표현하는 세 가지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표현 양식(modes of representation)'이라 하였다. 브루너가 제안한 세 가지 표현 양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동적 표현(enactive representation)이다. 이는 실제 사물을 통해 구체적이고 물리적으로 개념을 습득하는 방식으로, 주로 감각운동기와 전조작기 아동들에게 적합하다.
둘째, 영상적 표현(iconic representation)이다. 이는 인지구조 속에 개념이 그림 형태로 남는 방식으로, 주로 구체적 조작기 아동들에게 효과적이다.
셋째, 상징적 표현(symbolic representation)이다. 이는 내면화된 이미지와 기호를 활용하여 새로운 개념을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주로 형식적 조작기 아동들에게 적합하다.
브루너는 이러한 세 가지 표현 양식이 인간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라 차례로 발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적절한 표현 양식을 활용함으로써 지식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표현 양식에 대한 이론은 학생들의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교과의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참고 자료
강현석(1998),「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 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2호. 한국교육과정학회.
김재춘·김재현(2002),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논의에 대한 탈구조주의적 비판」, 교육학논총, 제22권 제2호. 대경교육학회.
김춘경 외 4인(2016), 상담학 사전. 학지사.
박채형(2019),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 과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론적 논의」, 통합교육과정연구, 제13권 3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신종호 외 4인(2015),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심태숙(2012),「오우크쇼트와 브루너 교육이론의 상보성」,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이병기(2019), 「J. S. Bruner의 교육론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과정 설계: 지식구조의 ‘발견과 구성’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 37권 4호, 한국교육과정학회 pp.219-242.
이하영(2005), 「브루너(J. S. Bruner)의 전․후기 교육과정이론 비교」,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홍우(1998), 『Bruner 지식의 구조』, 교육과학사.
정춘자(1965), 「사회심리학자, Gordon Willard Allport」, 사회학연구 4호, 이화여자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지정민(2013), 「인재교육과 교과교육:브루너 교육과정론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제25권 3호. 한국도덕교육학회.
Schulhofer Edith, Weissman Irving. Bryan Trudy(1962), 「Jerome S. Bruner ‘Process of education’ Book review」, Social Service Review sep1.
Jerome S. Bruner(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Univ. Press.
Jerome S. Bruner(1960), 이홍우 역(2017), 『교육의 과정』, 배영사.
권재술 외(2012).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동승 외(2017).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에 의한 ‘과학탐구’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화학회지.
오광열. (2012).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활용한 형태추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46-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