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연구와 문헌검색
1.1. 간호연구 문헌검색의 필요성
근거기반실무를 위해서는 간호연구 문헌 검색이 필수적이다. 간호사는 간호실무를 수행하면서 생긴 의문이나 해결해야 할 문제를 구체적인 임상질문으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임상질문을 통해 방대한 정보 속에서 제한된 시간 안에 근거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사는 막연한 의문이나 알고 싶은 내용을 PICO나 PICO-S 기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임상질문으로 만들어야 한다. "P(대상)에서 I(중재)를 C(비교)와 비교하였을 때 O(결과)는 어떠한가?"와 같은 형태로 질문을 만들면 검색어 선정과 데이터베이스 선택이 용이해진다.
근거기반실무는 "임상질문 만들기-문헌 검색-문헌의 질 평가-실무 적용 및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 문헌 검색은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다. 문헌 검색을 통해 그동안 축적된 연구 결과를 확인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사는 임상실무에서 생긴 의문을 체계적인 문헌검색을 통해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국내외 문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RISS, KISS, 간호학연구정보센터 등이 핵심 데이터베이스이고, 국외의 경우 MEDLINE, CINAHL, Cochrane Library, ProQuest Nursing and Allied Health Source, PubMed 등이 주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처럼 간호연구 문헌검색은 근거기반실무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며, 간호사는 구체적인 임상질문 만들기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활용법을 숙지해야 한다."
1.2. 간호연구 문헌검색 전략
1.2.1. PICO 및 PICO-S 기법
PICO 및 PICO-S 기법은 근거기반 실무를 위한 체계적인 문헌검색 전략이다. PICO는 연구문제 구체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 환자(population/problem), 중재(intervention), 비교중재(comparison), 결과(outcome)를 나타낸다. PICO-S에서는 연구설계(study design)까지 포함한다.
PICO 방법은 연구문제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문헌을 검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먼저 P에서는 관심 대상자나 문제에 대해 기술한다. I에서는 새로운 중재나 관심 있는 주제, 진단 검사, 예후 요인 등을 정의한다. C에서는 관심있는 중재와 비교할 중재를 명시한다. O에서는 결과변수를 구체화한다. 이를 통해 연구문제에 가장 부합하는 핵심어를 선정할 수 있다.
PICO-S는 여기에 연구설계(S)까지 포함하여 문헌 검색의 범위를 더욱 구체화한다. 체계적 문헌고찰이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와 같은 특정 연구 설계를 명시하여 검색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또한 PICO-S 기법은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 필터링 옵션 이용에 활용된다.
PICO 및 PICO-S 기법은 간호연구를 위한 문헌검색 전략에서 필수적이다. 연구 질문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관련 근거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 또한 연구 설계까지 고려하여 문헌의 질을 평가하고 근거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실무에 가장 적합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1.2.2. 주요어(Key word) 선정
주요어(Key word) 선정은 간호연구에서 문헌검색 전략의 핵심 단계이다. 적절한 주요어 선정은 효과적인 문헌검색을 가능하게 하며, 최신 연구동향 파악과 근거기반 실무 수행에 필수적이다.
간호연구 문헌검색을 위한 주요어 선정 시 PICO 기법을 활용한다. PICO는 연구대상(Population), 중재(Intervention), 비교대상(Comparison), 결과(Outcome)를 의미하며, 구체적이고 명확한 임상질문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관심을 가지는 대상자나 문제, 새로운 중재나 주제, 비교 중재, 기대되는 결과 등을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율동적 동작 훈련이 관절염 환자의 안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의 연구문제에서 P는 "관절염 환자", I는 "율동적 동작 훈련", C는 없음, O는 "안녕"이 된다. 따라서 이 연구문제에 가장 타당한 주요어(Key word)는 "젊은 여성, 율동적 동작 훈련, 안녕"이 된다.
PICO 외에도 PICO-S 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연구설계(Study design)가 추가로 포함된다. 연구설계 유형을 명확히 하면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 보다 정확한 문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요어 선정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와 가장 적합한 주요어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주요어는 가능한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셋째, 주요어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 활용할 수 있는 용어여야 한다. 넷째, 주요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 협의하여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섯째, 주요어 선정 후에도 검색 결과를 확인하며 필요에 따라 주요어를 추가하거나 수정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적절한 주요어 선정은 간호연구 문헌검색의 핵심 전략이며, 이를 통해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근거기반 실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1.3. 간호연구 문헌검색을 위한 핵심 데이터베이스
1.3.1. 국내 문헌 데이터베이스
국내 문헌 데이터베이스는 간호연구에 필요한 문헌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주요한 자원이다.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국내 학술지 논문, 석·박사 학위논문과 전국 대학의 소장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KISS(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는 한국학술정보(KISS)에서 제공하는 국내 1,357개 발행기관의 학회지 3,311종에 대한 원문을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간호학연구정보센터(NRIC)는 의학, 간호학, 치의학 관련 분야의 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