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식품의 산도와 알칼리도 실험
1.1. 실험목적 및 원리
이 실험에서는 작열 회화된 쌀눈가루와 건포도의 식품의 산도와 알칼리도를 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식품은 그 자체의 pH와 관계없이 동물이 섭취한 후 최종적으로 남는 무기질의 성분과 양에 따라 체액을 산성 또는 알칼리성으로 만든다."
즉, K, Ca, Na, Mg 등은 물에 녹아 Ca(OH)2, NaOH, KOH, Mg(OH)2와 같은 알칼리성 수산화물을 형성하지만, P, S, Cl 등을 함유하는 것은 H2SO4, H3PO4, HCl과 같은 산성물질을 형성한다."
따라서 산도, 알칼리도는 이들 원소의 상대적인 양(전체 비율 계산)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식품의 산-알칼리 평형을 측정하는 기초가 된다."
1.2. 산성식품과 알칼리성 식품의 종류 및 특징
산성식품과 알칼리성 식품의 종류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산성식품은 음식을 섭취한 후 체내에서 연소될 때 산을 형성하는 물질이 많이 생기는 식품이다. 식품의 무기질 중에서 인, 황, 염소와 같이 물과 결합하여 산성을 주는 원소가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이 물과 결합하여 알칼리성을 제공하는 원소보다 몰비에서 많은 식품이 산성식품에 해당한다. 즉, 모든 단백질은 시스테인, 시스틴, 메싸이오닌 같은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단백질이 인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면 체내에서 황산과 인산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단백질은 체내에 에너지가 부족할 때 질소 부분을 제외한 비질소 부분이 연소되어 에너지가 발생하며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형성된다. 따라서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달걀, 콩 등으로 만든 음식은 산성식품이다. 또한 밥, 국수, 빵, 떡, 과자, 사탕 등 탄수화물이 함유된 음식과 모든 종류의 기름도 체내에서 연소하여 주로 에너지를 발생시키므로 산성식품에 해당한다.
반면 알칼리성 식품은 무기질 조성이 알칼리성 원소를 많이 가진 식품을 의미한다. 식품 자체가 신맛이 있는지 없는지와 관계없으며, 식품을 태운 후 생긴 무기물 중에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성 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밀감류에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수소칼륨이 많이 들어 있어 신맛이 강하고 산성을 띠나 인체 내에서 완전히 산화되면 이산화탄소가 된 다음 알칼리성을 띠는 탄산칼륨을 남기므로 알칼리성 식품에 속한다. 채소, 과일, 우유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고기를 사용한 요리에는 반드시 채소를 곁들이는 것이 좋다. 그러나 채소 중에서 파, 쇠귀나물, 아스파라거스는 산성 식품이다. 다시마, 미역, 김 등 해조류와 무, 배추 등도 알칼리성 식품이다.
1.3. 알칼리성 식품이 건강에 더 좋은 이유
알칼리성 식품이 건강에 더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특히 pH에 매우 민감하며, 우리 혈액의 pH는 7.4 정도가 되어야만 건강이 유지된다. 만약 혈액의 pH가 6.8에서 7.8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몸속의 모든 화학 반응이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된다. 다행히도 우리 혈액은 매우 안정된 완충 용액이어서, 이론적으로는 혈액과 같은 양의 물을 pH 2.0으로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염산(HCl)을 혈액 속에 넣어도 혈액의 pH는 7.4에서 7.2 정도밖에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산성 식품과 알칼리성 식품 둘 중 무엇을 먹어도 우리의 혈액은 pH를 유지하게 되어 건강에는 큰 영향이 없다. 그렇지만 한쪽으로 크게 기운 식사를 계속하게 되면 완충 작용의 한계를 넘어 인체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건강을 해치게 된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산성 식품은 몸에 나쁘고 알칼리성 식품은 몸에 좋다는 사실은 사람들이 산성 식품만 너무 많이 먹고 알칼리성 식품은 잘 먹지 않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우리 몸은 원래 약한 알칼리성이며, 산성 식품만 계속 먹게 되면 균형이 깨지며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산성 식품이 나쁜 것이 아니라 산성 식품만 먹는 습관이 산성 식품은 나쁜 것이고 알칼리성 식품은 몸에 좋은 것으로 만든 이유이다.
1.4. 과산화수소의 역할과 boiling의 이유
과산화수소는 촉매역할을 하고 다량의 산소를 생성시키며 안타는 물질이 탈 수 있도록 하는 회화촉진제 역할을 한다"이다. 과산화수소는 금속 콜로이드, 금속 산화물 외에 알칼리, 조잡한 고체 표면, 진애 등이 촉매가 되어 격렬하게 폭발한다. 수용액도 또한 불안정하고, 상기 촉매 외에 중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