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육상종목에 대하여 심리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포츠 심리학의 역사적 발전
1.1. 초기 연구 시대 (19세기 말 ~ 20세기 초)
1.2. 발전기 (1920년대 ~ 1960년대)
1.3. 성숙기 (1970년대 ~ 1990년대)
1.4. 현대와 미래 (2000년대 이후)
2. 육상종목 지도 시 고려사항
2.1. 생리학적 관점에서의 코칭
2.2. 역학적 관점에서의 코칭
2.3.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코칭
3. 마라톤선수 트레이닝 방법
3.1. 정신력 향상을 위한 마라톤선수 훈련
3.2. 지구력 향상을 위한 마라톤선수 훈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포츠 심리학의 역사적 발전
1.1. 초기 연구 시대 (19세기 말 ~ 20세기 초)
스포츠 심리학의 초기 연구 시대(19세기 말 ~ 20세기 초)는 주로 사회심리학적 실험에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운동과 스포츠 활동에서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가장 대표적인 연구는 1898년 노먼 트리플렛이 수행한 자전거 경주에서의 사회적 촉진 효과에 관한 실험이다. 트리플렛은 자전거 경주에서 다른 사람들과 경쟁할 때 혼자 달릴 때보다 더 빠른 속도로 달리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사회적 촉진 이론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발견이었으며, 스포츠 심리학의 시작을 알리는 사례였다.
이 시기의 연구는 주로 실험실에서 이루어졌으며, 간단한 실험 설계를 통해 스포츠 상황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현상을 조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자들은 심리학의 기본 원리를 스포츠 상황에 적용하여 경기력과 심리 상태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스포츠 심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시기였으며, 이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초기 연구에서는 운동이 개인의 정신 건강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는 스포츠가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게 하였다. 이러한 초기 연구는 스포츠 심리학이 단순한 경기력 향상 도구를 넘어, 보다 넓은 의미에서 인간의 복지와 관련된 학문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였다.
종합적으로 스포츠 심리학의 초기 연구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영감을 주어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1.2. 발전기 (1920년대 ~ 1960년대)
1920년대부터 스포츠 심리학은 더욱 체계화되기 시작한다. 이 시기는 스포츠 심리학이 독립된 학문 분야로 자리 잡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1925년, 독일의 스포츠 심리학자 카를 디엠은 첫 스포츠 심리학 연구소를 설립한다. 디엠의 연구소 설립은 스포츠 심리학이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이 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스포츠 심리학 연구가 수행되며,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촉진한다.
이 시기에는 연구 방법론이 발전하고, 다양한 심리 측정 도구가 개발된다. 연구자들은 스포츠 상황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현상을 보다 정교하게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다. 이는 스포츠 심리학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운동 선수들의 심리적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심리 척도와 설문지가 개발된다. 이러한 도구는 선수들의 경기력과 심리적 상태 간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스포츠 심리학은 이 시기에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다. 연구자들은 스포츠 심리학을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인정받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이는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연구자들은 스포츠 심리학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는 스포츠 심리학이 독립된 학문 분야로 자리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시기의 스포츠 심리학 연구는 주로 실험실 연구와 현장 연구로 나뉜다. 실험실 연구는 보다 정교한 실험 설계를 통해 스포츠 상황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현상을 분석한다. 이는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반면, 현장 연구는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현상을 조사한다. 이는 연구 결과의 실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두 가지 연구 방법은 스포츠 심리학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포츠 심리학의 발전기는 연구자들이 다양한 연구 방법과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스포츠 심리학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는 시기이다. ...
참고 자료
멀리뛰기와 세단뛰기 종목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 생리학적 지원. 박세정. 2009.12.31.
스포츠지도자의 코칭지식과 리더십 그리고 운동행동의 구조모형 분석. 김용규. 2011.11.30.
데이빗 A. 휫셋 외 2인 공저, 「마라톤 풀코스 16주 완주 프로그램」, 청년정신 : 서울, 2006
신현수 저, ‘마라톤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서울, 2016
이충근 저, ‘엘리트 트라이애슬론 선수들에 대한 Drill 훈련중심의 단기 훈련 프 로그램 적용과 경기 기록의 변화 : 사례 연구’, 건국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 서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