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받는 간호관리 실습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목적 및 필요성
1.2. 문헌고찰
2. 본론
2.1. 투약 Near-miss의 요인별 구분
2.2. 자료수집
2.2.1. 핵심지표
2.2.2. Near-miss 조사기간
2.2.3. 간호사 투약간호 및 약물에 대한 지식 정도 평가
2.3. 분석 및 해석
2.3.1. 환자요인
2.3.2. 간호요인
2.3.3. 환경요인
2.4. 개선전략
2.4.1. 투약 간호 지침서 마련 & 투약간호와 약물에 대한 교육 실시
2.4.2. 투약 Near-miss 보고 시스템 확립 및 교육
2.4.3. 다빈도 약품 매뉴얼과 약품 정보지 제작
2.4.4. 투약간호 Checklist 작성
2.4.5. 약물 오ㆍ남용 방지 홍보물 제작 및 병동 내 부착
2.5. 활동의 효과
2.5.1. 투약 Near-miss 발생건수
2.5.2. 투약 Near-miss 보고율
2.5.3. 간호사의 투약간호와 약물에 대한 지식정도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목적 및 필요성
투약오류는 환자의 생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의료사고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투약 Near-miss의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개선 전략을 모색하여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투약 오류는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다양한 의료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된 요인으로는 환자, 간호사,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이러한 투약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료진 개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의 개선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약 Near-miss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각도의 개선 전략을 수립하여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투약오류 발생 건수를 감소시키고, 투약 Near-miss 보고율을 높임으로써 환자안전을 도모하고 간호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1.2. 문헌고찰
문헌고찰에 따르면, 우리나라 간호사들은 매년 평균 1.98회 투약오류를 경험하며, 투약오류 중 간호사의 오류가 38%를 차지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투약오류의 원인으로는 '투약 시 5right를 지키지 않아서(83.3%)', '부정확한 의사소통(81.8%)', '제품의 모양이 비슷해서(79.9%)', '교육 또는 훈련이 안된 상황에서의 투약으로(73.9%)' 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의 참여 과정에서 가장 큰 실수는 환자의 정보를 알려주고 확인하는 것이다. 많은 환자들이 잘 듣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여 그냥 '예'라고 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개방형 질문을 통하여 환자가 직접 자신의 정보를 말하고 이를 의료진이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간호사가 환자를 잘 알고 있는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명시적인 환자확인 행동을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는 무엇보다 안전에 대한 인식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투약 바코드 시스템 적용 시 투약오류가 감소하고 의료진 간 의사소통이 개선되며 약물투여 스케줄의 완결성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호사가 제시하는 투약오류의 개선방안으로는 '정확한 의사소통의 도구 마련이 필요(99.0%)', '표준화된 지침의 필요(98.3%)', '약품에 대한 신속한 정보의 제공(98.3%)', '비슷한 약품의 별도 보관(98.1%)', '투약 시 5right 강화(97.8%)' 등이 도출되었다.
2. 본론
2.1. 투약 Near-miss의 요인별 구분
① 오류 주체별 Near-miss 발생 건수 1차 조사기간 동안 투약 Near-miss는 총 40건으로, 간호사 측면이 32건(80%)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 측면 3건(7.5%), 약사 측면 4건(10%), 기타 1건(2.5%)으로 나타났다.
② 간호사의 근무 형태별 Near-miss 발생건수는 Day 근무가 44%, Evening 근무가 34%, Night 근무가 22% 순으로 나타났다.
③ 간호사의 임상 경력별 Near-miss 발생건수는 근무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가 59.4%로 가장 많았다.
④ 투약 Near-miss의 유형별 발생건수를 보면, 간호사 측면에서는 '다른 환자에게 약물투여'가 21.8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부적당한 약물'과 '투약시간 오류'가 각 18.75%로 나타났다. 의사 측면은 처방 오류로 인해, 약사 측면은 조제 오류 등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투약 Near-miss 발생은 주로 간호사 측면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근무 경력이 낮은 간호사들과 근무 시간대(Day 근무)에 많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5Right' 준수와 관련된 다양한 미흡 사항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투약 관련 지식과 기술 향상, 근무 환경 개선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참고 자료
염호기(2015), 환자안전을 위한 환자확인의 개념과 중요성, J Korean Med Assoc, 58(2), 93-99.
김영미, 강승완, 김세영(2014).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 관련 요인 및 개인-조직 가치일치 분위기의 상호작용 효과, J Korean Acad Nurs, 44(2), 198-208
이순영(2008), 간호사의 투약오류 분석 및 개선방안, 2-15
박현진(2017), 간호사들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협동과정, 20-29
김민정(2018), 정확한 환자확인과 표준주의 인식도, 낙상예방활동 건강신념,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관리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응급실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2-13
조명숙, 송미라, 장미라(2012),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 적용 평가, J Korean Acad Nurs Admin, 18(1), 23-32
Benjamin DM. Reducing medication errors and increasing patient safety: Case studies in clinical pharmacology.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003;43(7):768-783.
손행미(2007), 간호사와 환자의 투약대화의 구조와 전개과정, J Korean Acad Nurs, 37(1), 52-63
김명수 외(2015),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 p8
Manojlovich & DeCicco (2007). Healthy work environment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patients’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 (6), 536-543.
조용애, 김미경, 조명숙, 남은영(2013). 간호사의 의료인 간 의사소통에 대한
조사연구,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19(1), 20-32
신미옥 외(2008), 투약오류 개선활동, 한국의료QA학회, Vol.2008 No.2, 144-146
http://m.medicaltimes.com/newsView.html (부산대병원, 실시간 환자 정보 확인 시스템 구축)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56455&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의료기관평가인증원-환자확인)
http://hnews.kr/news/view.php?no=40784 (Speak Up 캠페인)
박인숙 외. (2021). 간호관리학 임상실습 지침서(학생용). 퍼시픽북스.
환자안전 통계연보. (2019). 보건복지부. p.144-146
신미자 외. (2020). 간호관리학. 수문사. p.532-539
건국대학교병원 QI팀. (2009). 건국대학교병원 질향상 활동 소개. 대한병원협회지. p.103-112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간호5팀 조광자 팀장, 이선희UM, 문난숙HN 외 13명. (2004). 간호단위 중심의 투약오류 예방 프로그램 개발. 대한병원 협회지. p.86-95
이은경. (2006). 투약교육 프로그램이 투약간호 투약오류 및 투약지식에 미치는 효과.
정선영, 김영혜, 강인순, & 손현미. (2013). 일 대학병원의 간호사와 의사의 투약오류와 투약오류 보고에 대한 인식. 글로벌 건강과 간호, 3(2), p.5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