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전통음식의 브랜드화
1.1. 전통음식 브랜드화에 대한 고려 사항
1.1.1. SWOT 분석을 통한 전통음식 브랜드 도입의 정당성
시장 환경 분석을 통해 패밀리 레스토랑 같은 외식산업이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T.G.I나 베니건스와 같은 외국 브랜드가 국내 브랜드에 비해 매출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의 입맛과 라이프스타일이 서구화되었으며, 국내 전통외식 브랜드가 취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브랜드 스톰에서는 전통음식이 종류면에서 다양하고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건강지향 음식에 부합하는 등 여러 가지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전통음식이 현재 외식 브랜드에 밀리고 있지만, 조직화되고 체계적인 브랜드 전략을 통해 강력한 브랜드를 형성한다면 외국외식 브랜드에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전통음식의 강점으로는 첫째, 맛이 다양하고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한다는 점, 둘째, 모든 음식이 건강비결과 직결되어있다는 점, 셋째, 모양보다는 맛과 정성이 중요하다는 점, 넷째, 명절과 시식마다 만들어 먹는 음식이 다양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약점으로는 주고객인 청소년층과 청년층이 웨스턴스타일이나 브랜드 선호의식이 강하다는 점, 이들이 이국적인 정취, 재미거리, 이야기거리를 선호한다는 점, 그리고 외국외식업체들의 막대한 자금력과 우수한 인력채용, 지속적인 교육훈련, 연계마케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SWOT 분석을 통해 전통음식 브랜드 도입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통음식이 건강지향적이며 다양한 맛과 정성이 있다는 강점은 성장하는 외식산업 내에서 경쟁력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고 자긍심도 강한 편이라는 점에서 브랜드 구축의 기회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젊은 층의 선호도가 낮고 외국 브랜드의 자금력과 마케팅 역량에 밀리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브랜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1.1.2. 전통음식 브랜드의 현 실태와 문제점
전통음식 브랜드의 현 실태와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주고객인 청소년층과 청년층이 웨스턴 스타일이나 브랜드를 선호하는 의식이 강하다는 점이 전통음식 브랜드의 취약점이다. 이들은 이국적인 정취와 재미거리, 새로운 체험을 추구하며, 특히 이들은 상대적으로 우월의식을 느끼게 해주고 시스템을 구축한 외국 외식 브랜드를 선호한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전통음식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또한 외국 외식 브랜드들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잠식하고 있어, 국내 전통음식 브랜드들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통음식 브랜드들이 우수한 인력 확보와 지속적인 교육훈련, 연계 마케팅 등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오히려 검증된 외국 브랜드를 들여와 손쉽게 사업을 운영하려는 국내 사업주들의 안일한 태도로 인해 국내 전통음식 브랜드의 취약성이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전통음식 브랜드는 주고객층의 선호도가 낮고, 외국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통음식 브랜드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1.1.3. 전통음식 브랜드 도입의 필요성
전통음식 브랜드 도입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음식은 다양한 맛과 향신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건강에 유익하다. 우리나라 일상음식에는 한약재로 사용되는 재료들이 첨가되어 건강한 맛을 더한다. 이는 최근 건강과 영양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사와 부합한다. 둘째, 전통음식은 정성을 담아 만든다는 특징이 있다. 외양보다는 맛과 정성이 중요하며, 명절이나 시식마다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전통의 멋과 풍요로운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셋째, 전통음식 브랜드 도입을 통해 국내 외식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최근 외국 외식 브랜드의 성장으로 인해 국내 전통음식 브랜드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 체계적인 브랜드 전략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통음식의 우수성을 알리고 국내 외식 브랜드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다.
2. 만들어진 전통
2.1.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전통을 바라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전통을 조상들로부터 내려오는 고대로부터의 관습이나 제도로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