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홍길동전 오늘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홍길동전 작품 분석
2.1. 홍길동의 성격
2.1.1. 출생과 성장 배경에 따른 성격 형성
2.1.2. 감성적인 성격과 목표지향적 성격
2.2. 홍길동전의 주제의식
2.2.1. 신분제도의 모순 고발
2.2.2. 사회구조의 문제점 지적
2.3. 홍길동전의 소설사적 의의
2.3.1. 최초의 한글 소설
2.3.2. 민중 소설의 시초
2.3.3. 이후 소설에 끼친 영향
2.4. 작가 허균의 생애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홍길동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로, 조선시대 중기 광해군 때의 정치가이면서 학자인 허균이 서술한 책이다. 홍길동전은 당대의 사회 문제를 고발하고 이를 개혁하는 과정을 기본적인 줄거리로 하고 있다. 비범한 능력을 갖고 태어나지만 신분적 한계를 가진 인물인 홍길동을 주인공으로, 그가 겪게 되는 사회의 차별을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후 활빈당 활동을 하며 탐관오리를 숙청하고 가난한 백성들을 돕는 의적 활동을 하면서 극적인 서사가 진행되고, 이후 나라의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이상향인 율도국으로 가게 되고, 그곳에서 새로운 세상과 희망을 펼쳐가는 내용의 소설이다. 홍길동전은 또한 최초의 한글 소설로 일반 대중에게 다가간 소설이다. 지식인을 중심으로 문예활동이 이루어졌던 시대에서 일반 대중이 읽을 수 있도록 한글을 쓰여졌고, 대중들은 소설을 통해 사회 구조의 모순을 깨닫고, 홍길동의 생애 과정을 보면서 희로애락을 느낄 수 있었다.
2. 홍길동전 작품 분석
2.1. 홍길동의 성격
2.1.1. 출생과 성장 배경에 따른 성격 형성
홍길동은 부친의 용몽으로 태어났고, 정실에게서 태어나지 못한 시비 춘섬의 몸에서 태어났다. 용몽은 홍길동이 비범한 능력을 가질 것이라는 암시를 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용은 왕을 상징하기 때문에 홍길동의 출생이 비범한 면모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홍길동은 정실에게서 태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조선시대는 적서차별이 매우 심했기 때문에 시비의 몸에서 태어난 홍길동은 이후 살아가면서 많은 차별과 억압을 받게 된다. 아무리 노력해도 입신양명의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은 홍길동의 삶의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지 암시하고 있다.
홍길동은 호부호형할 수 없고 천대를 받으며 성장하게 된다. 이것은 홍길동의 고뇌와 괴로움의 근원이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만의 방법을 추구하게 된다. 홍길동은 이러한 고뇌를 부친에게 털어놓지만, 부친은 홍길동에게 꾸지람을 하였고 홍길동은 더욱 고뇌에 빠지게 된다. 홍길동은 이러한 괴로움을 사회에서 해소하려 했으나 사회의 현실은 더욱 비참했다. 서자라는 신분 때문에 입신양명의 기회를 얻을 수 없었고 사람들로부터 천대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홍길동은 심한 내면적 상처를 갖게 된다.
따라서 홍길동의 출생과 성장 배경은 그의 성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비범한 능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서자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고뇌하고 괴로워하는 모습이 드러나는데, 이것이 그의 감성적이고 고민하는 성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2.1.2. 감성적인 성격과 목표지향적 성격
홍길동은 출생과 성장 배경에 따라 복합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먼저 홍길동의 감성적인 성격이 드러난다. 홍길동은 아버지에게 자신의 신분에 대해 한탄하고 울분을 토로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신의 현실에 대해 인식하고 감정적으로 호소함으로써...
참고 자료
허균, 구인환 엮음, 『홍길동전』, 신원문화사, 2003.
이상우 외 2,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2.
윤경수, 「홍길동전의 전기적 성격과 신화의식」, 『비교민속학 16』, 비교민속학회, 1999.
이동철, 「벼리:건국신화에 수용된 용의 의미」, 『한민족문화연구 7권』, 한민족문화학회, 2000.
수취 제도의 문란,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50_0030_0020_0050.
고전소설강독 교재
홍길동의 인물형상으로 본 <홍길동전>의 의미, 서울시립대학교, 이문규,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