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권리의 의미 및 이해
아동권리는 아동을 존엄성을 지닌 인간으로 인정하고, 그들의 기본적 욕구와 권리를 보장하여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이다. 이러한 아동권리 개념은 모든 아동이 태어나는 순간부터 누려야 할 권리로써,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주목받아왔지만 실제로는 아동에 대한 학대와 방임, 차별 등 많은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아동권리협약은 이러한 아동권리의 의미를 공고히 하고, 구체적인 권리를 제시하여 아동의 생존, 보호, 발달, 참여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국제협약이다. 협약에서는 아동의 연령, 성별, 인종, 출신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고, 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아동의 생존과 발달을 위해 특별한 보호와 지원을 제공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아동이 자신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처럼 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가지며, 차별받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선언적인 의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국 정부가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아동권리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부와 사회 전체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아동과 미디어
2.1. 키즈 유튜버 현황 및 영향
대한민국에서 유튜브 기반 키즈 콘텐츠의 성장세는 급격하다. 2015년 11월 기준 세계의 구독자 수 보유 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국내의 유튜브 채널을 조사한 결과 어린이를 주 시청자로 설정한 키즈 콘텐츠의 시청시간이 2014년에 비해 95% 상승한 것이다. 또한, 2015년 한 해 동안 가장 크게 성장한 국내 유튜브 채널 20개 중 8개가 키즈 채널이었다. 키즈 콘텐츠 내에서도 세부적으로 장르적 인기가 다양해졌다. 애니메이션, 장난감 상자 오픈, 장난감 놀이, 영어 노래, 실험, 에듀테인먼트 등 다양한 장르의 키즈 콘텐츠가 출현했다. 유튜브는 키즈 콘텐츠의 엄청난 힘을 인지하고 유해 콘텐츠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유튜브 키즈 앱을 따로 발매하기도 했다. 이러한 유튜브에서의 키즈 콘텐츠 붐은 결국 다른 플랫폼으로 번져나가며 새로운 전성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대중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키즈 콘텐츠가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끼치는 영향력은 매우 클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며 통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2. 키즈 콘텐츠의 긍정적 영향
유튜브의 키즈 콘텐츠는 아동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부정할 수 없다. 4세~6세의 유아들은 다양한 측면의 발달이 요구되는 시기에 있기에 다양한 종류의 자극이 필요하고 요구된다. 유튜브 키즈 콘텐츠는 이런 시기에 놓인 아동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훌륭한 장점이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는 다르게 유아교육에서는 '놀이'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튜브 키즈 콘텐츠들은 다양하고 방대한 콘텐츠 제공을 바탕으로 이러한 역할을 당당히 해내고 있다."
TV의 키즈 콘텐츠가 시청시간을 준수하고 편성에 따라야 했던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면, 유튜브의 키즈 콘텐츠는 자녀의 일정과 일정에 맞춰 시청할 수 있는 높은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나타나는 맞벌이 부부들에게 유튜브 키즈 콘텐츠는 하나의 대안이자 친구가 되는 것이다.
구글 에듀케이터 그룹 한국 리더인 박정철 씨는 유튜브를 교육 플랫폼을 활용하자는 의견을 냈다. 유튜브의 무궁무진한 콘텐츠들은 학교 수업에 접목되었을 때 더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