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부노화에 영향을 미치는요인과 피부미용적 에방및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피부노화의 개념
3. 피부노화의 특성
3.1. 표피와 진피의 변화
3.2. 피부 구성 요소의 변화
3.3. 임상적 변화
4. 피부노화의 요인
4.1. 자외선에 의한 노화
4.2. 호르몬 변화에 의한 노화
4.3. 흡연에 의한 노화
4.4. 알코올 섭취에 의한 노화
4.5. 약물과 화장품에 의한 노화
4.6.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
4.7. 기타 요인
5. 피부노화 예방 및 관리방법
5.1. 수분 섭취와 보습
5.2. 자외선 차단
5.3. 건강한 생활습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의 피부는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서 점점 그 두께는 얇아지고 탄력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더하여, 피부와 피하 지방 사이의 부착력이 약해지며, 피부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길게 늘어지고 처지게 된다. 피지가 분비되는 양은 점차 감소하고 이에 따라 피부는 점점 더 건조해지고 윤기를 잃는 모습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현상을 포괄하여 피부 노화라고 하는데, 피부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요소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것은 아직까지도 인간에게 주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피부가 노화되는 현상은 30세 초반부터 점차 진행되며, 처음에는 윗눈꺼풀 피부에서부터 시작하여 나중에는 눈꼬리, 이마 등 점차 넓은 부위의 주름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한다. 최종적으로 피부 노화는 입술, 목 주위에 주름이 지는 형태를 띠게 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이러한 인간의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피부 미용적으로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방법 및 피부를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피부노화의 개념
피부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피부가 쇠퇴하는 현상을 뜻한다.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는 윤택성과 탄력성을 잃게 된다.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고, 피부가 얇아져 주름이 잡히며 전체적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건강한 젊음을 유지하며 오래 살기를 바라지만, 신체의 경계를 이루는 피부는 가장 즉각적으로 보이는 젊음의 척도이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피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피부노화 개선·방지에 효과적인 성분을 활용하는 등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방법들을 확인할 수 있다.
3. 피부노화의 특성
3.1. 표피와 진피의 변화
표피와 진피의 변화는 피부 노화의 대표적인 특성이다. 먼저 표피의 변화를 살펴보면,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표피는 점차 얇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표피 내 각질형성세포의 수가 줄어들고 세포 분열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멜라닌 세포와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도 감소하여 표피의 기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피부 장벽 기능이 약해지고 건조해지며, 색소침착이나 주름 생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진피의 변화를 살펴보면,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진피 내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한다. 교원섬유는 양적으로 감소하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며, 탄력섬유는 변성되어 파괴된다. 이에 따라 피부의 탄력과 탄성이 저하되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진피 내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처럼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표피와 진피에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피부의 생리적 기능 저하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피부 건강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노화에 따른 표피와 진피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를 예방,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2. 피부 구성 요소의 변화
피부 구성 요소의 변화는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첫째, 표피와 진피의 경계면이 점차 편평해지는데, 이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저층 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상피-결합조직 경계가 평평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피부가 얇아지고 윤택성을 잃게 된다.
둘째, 멜라닌 생성 세포와 랑게르한스 세포가 점차 감소한다. 멜라닌 세포의 감소로 피부의 색소침착이 불균일해지고 멜라닌 침착으로 인한 기미와 색소 침착 등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랑게르한스 세포의 감소로 면역기능이 떨어져 외부 자극에 취약해진다.
셋째, 진피의 구성 요소인 세포외기질, 탄력섬유, 콜라겐 섬유 등이 변화한다. 세포외기질의 ...
참고 자료
김효철, 오경동.(2011).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예방, 치료의 연구 진전.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9(1),1-9.
정재홍, 「Inhibitory effect of brown rice extract on extrinsic aging and vitamin C on intrinsic aging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airless mic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곽윤진 외 3인, 「각종 약용 식물로부터 피부노화 억제 관련 elastase 저해물질의 탐색 및 추출조건」,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5.
김수진 외 3인, 『미용학 개론』, 아티오, 2016.
최희진 외, 피부미용전문상담사, 좋은땅, 2019.
황동균, 피부 항노화에 관한 문헌고찰,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15.
김귀미, 피부노화의 인식정도 및 관리습관에 관한연구 : 대전광역시 여성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9.
이해나 기자, 또 한 살 먹었네… '피부 노화' 방지법, 헬스조선, 202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