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신장이식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신장 이식에 대한 문헌 고찰
2.1. 정의 및 종류
2.2. 원인 및 증상
2.3. 진단과 검사
2.4. 치료 및 간호 중재
2.5. 합병증 및 예후
3. 신장 이식 환자 사례 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 중심정맥압 측정
4.1. 정의 및 임상적 의의
4.2. 측정방법
4.3. 정상치
4.4. 비정상 시 관리방법
5. 결론 및 성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장은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 및 전해질, 산염기 균형을 맞추어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장이 당뇨, 고혈압, 사구체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적으로 손상을 받게 되면 신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콩팥병이 되고, 이가 더욱 진행하여 신기능이 정상에 비해 15% 미만으로 감소하게 되면 생활 습관의 개선 및 약물 치료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는 말기 신부전 상태가 된다. 말기 신부전 환자는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는 치료인 '신 대체 요법'을 받지 못하게 되면 우리 몸의 항상성이 유지되지 못하면서 생명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시점에 신 대체 요법을 결정하여 앞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신장학회에서 발표된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7명 중 1명은 신장질환을 앓고 있으며, 65세 이상 환자의 비율은 1990년과 비교했을 때 10년 사이 무려 26배나 급증했다고 한다. 또한 암과 말기 신장질환의 최근 5년 평균생존율를 두고 봤을 때 암은 59.5%지만 말기 신장질환은 39.3%밖에 되지 않는다. 콩팥은 한번 망가지면 완전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사람들의 관심과 인식은 현저히 낮아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신장 이식 케이스를 통해 신장을 이식 받았을 때 환자의 진단 검사적 변화, 대상자의 반응 그리고 신장이식 환자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습 기간 중 접할 수 있었던 신장 이식 케이스를 바탕으로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신장 이식 환자의 간호과정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2. 신장 이식에 대한 문헌 고찰
2.1. 정의 및 종류
신장 이식은 정상 기능을 할 수 없는 신장을 대신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에게서 기증받은 건강한 신장을 환자의 동맥, 정맥 및 방광에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수술하는 치료 방법이다. 신장 이식의 종류를 얘기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기증받는 조직의 유전형에 따라서 자가 이식(autologous transplantation), 동계 이식(syngeneic or isogenieic transplantation), 동종 이식(allogeneic transplantation), 이종 이식(xenotransplantation)의 네가지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 동종 이식이 가장 일반적인 신장 이식의 형태이다.""
2.2. 원인 및 증상
우리 몸은 매일 생명에 필요한 물질을 생산해 내고, 부산물로 노폐물을 만들어 냅니다. 신장은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 및 전해질, 산염기 균형을 맞추어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이러한 신장이 당뇨, 고혈압, 사구체 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적으로 손상을 받게 되면 신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콩팥병이 되고, 만성 콩팥병이 더욱 진행하여 신기능이 정상에 비해 15% 미만으로 감소하게 되면 생활 습관의 개선 및 약물 치료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각종 합병증이 발생하는 말기 신부전 상태가 된다. 말기 신부전 환자는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는 치료인 '신 대체 요법'을 받지 못하게 되면 우리 몸의 항상성이 유지되지 못하면서 생명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점에 신 대체 요법을 결정하여 앞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질병으로는 말기 신부전증, 만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신병증, 고혈압성 신병증, 만성 사구체신염, 다낭성 신질환들이 있다.
만성 콩팥병의 원인 질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소변 색이 검붉게 변...
참고 자료
전시자 외 4 (2009). 성인간호학(5판), 현문사
Donna D. Ignatavicius, M. Linda Workman (2009). 성인간호학Ⅰ, 엘스비어코리아
성미혜 외 4 (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박기일(2004). 신장이식-이론과 실제-, 의학문화사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399-40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