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일반
1.1. 실험 목적
물의 밀도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부피 측정 기구의 오차를 구하는 것이 실험 목적이다. 즉, 실험을 통해 부피 측정에 있어서 메니스커스 측정의 정확도와 유효숫자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부피 측정 기구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밀도는 물체의 단위 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된다"" 고체나 액체의 밀도는 보통 세제곱센티미터당 그램(g/㎤) 또는 밀리리터당 그램(g/㎖)으로 나타낸다"" 물의 밀도가 1.00g/㎖인 것은 우연이 아니라 1그램의 처음 정의가 특정 온도에서 물 1㎖의 질량이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물질은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하기 때문에 밀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밀도를 기록할 때는 반드시 온도도 기록해야 한다"" 만약 온도를 기록하지 않으면 상온에 가까운 25℃에서의 측정값이라고 가정한다"" 밀도와 무게는 가끔 혼동되기도 하는데, 철이 공기보다 무겁다고 말하는 것은 철의 밀도가 공기의 밀도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1㎏은 철 1㎏과 같은 질량이지만 철의 부피가 더 작으므로 더 큰 밀도를 갖는다"" 섞이지 않는 두 액체를 한 용기에 넣으면 밀도가 작은 것이 큰 것 위에 뜬다""측정의 불확실성이란 모든 측정에 항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밀도는 측정값들이 서로 얼마나 잘 일치하는가를 나타내며, 표준편차로 나타낸다"" 정확도는 측정값이 실제의 참값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나타낸다""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번 실험을 진행하고 그 평균값을 결과로 내놓는데, 이때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밀한 측정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잘못 보정된 민감한 저울을 사용하면 실제보다 더 크거나 작게 측정될 수 있다""
1.3. 실험 기구 및 시약
실험 기구 및 시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험 재료로는 10㎖ 눈금 실린더, 증류수, 알루미늄 호일, 자, 버니어 캘리퍼스, 동전(10원), 칼이 사용되었다.
물(Water)의 분자량은 18.02g/㏖이고, 끓는점은 100℃, 녹는점은 0℃, 분자식은 H2O, pH는 7, 비중은 1이다. 물의 밀도는 3.98℃에서 1.00g/㎖이며, 이 온도에서 물의 밀도가 가장 높다. 물의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지만, 25℃까지는 1.00g/㎖를 사용해도 될 정도로 아주 조금씩 변화한다.
알루미늄(Aluminium)의 분자량은 26.98g/㏖, 끓는점은 2519℃, 녹는점/어는점은 660℃, 분자식은 Al, 비중은 2.7이다. 알루미늄의 밀도는 2.70g/㎤(실온)이다.
동전(10원 구권)의 경우 구리(Cu) 65%, 아연(Zn) 35%로 구성되어 있으며, 밀도는 8.23g/㎤이다.
1.4.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물의 밀도 측정에서는 먼저 10mL 눈금실린더를 건조한 후 질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실린더에 물 8mL를 부어 넣고 부피와 질량을 측정하여 물의 밀도를 계산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평균 밀도를 구한다.
알루미늄 포일의 밀도 측정을 위해서는 칼날을 눕혀 커팅매트에 대고 가로와 세로 길이가 10~15cm인 사각형으로 포일을 자른다. 포일을 닦아 정제한 후 질량을 측정하고, 밀도식 V=A×t를 이용하여 두께를 계산한다. 이를 반복 측정한다.
동전의 밀도 측정에서는 버니어캘리퍼스로 동전의 지름을 측정하고, 질량을 측정한 뒤 부피공식 V=πr²t를 이용하여 두께를 계산한다. 이 과정도 반복 측정한다.
2. 밀도 측정
2.1. 물의 밀도 측정
물의 밀도는 부피와 질량의 비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에서 g/㎤ 또는 g/㎖로 표현된다. 물의 밀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에서 최대 밀도를 나타낸다. 실험에서는 눈금실린더를 이용하여 물의 부피를 측정하고, 저울을 사용하여 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측정에서 물의 부피는 ㎖, 질량은 g로, 밀도는 g/㎖로 계산되었다. 두 번째 측정에서 물의 부피는 ㎖, 질량은 g로, 밀도는 g/㎖로 계산되었다. 세 번째 측정에서 물의 부피는 ㎖, 질량은 g로, 밀도는 g/㎖로 계산되었다. 이를 통해 물의 평균 밀도는 g/㎖로 나타났다.
측정 과정에서 메니스커스의 위치를 정확히 읽는 것이 중요했다. 메니스커스는 액체 표면의 특징으로, 내연장법을 통해 메니스커스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변화를 고려하여, 실험실의 온도 조건을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정확한 물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물의 밀도 측정 방법과 메니스커스 및 내연장법의 중요성, 온도 요인 등을 학습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향후 다양한 물질의 밀도 측정 및 정량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2. 알루미늄 포일의 밀도 측정
알루미늄 포일의 밀도 측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서는 칼날을 최대한 눕혀 커팅매트에 대고 알루미늄 포일을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0∼15㎝인 사각형으로 자른 후, 휴지로 포일을 닦아 손의 기름때를 제거하였다. 이후 포일을 두 번 접어서 칭량하기에 좋은 형태로 만든 다음 질량을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포일의 밀도가 2.70g/㎤인 것을 이용하여 V=A×t 공식으로 두께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를 반복하여 한 번 더 측정한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포일의 한 변의 길이가 15.00㎝이고 질량이 0.968g으로, 두께는 0.00159㎝로 계산되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포일의 한 변의 길이가 20.00㎝이고 질량이 1.627g으로, 두께는 0.00150㎝로 계산되었다. 두 실험의 측정 결과를 평균하면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약 0.00155㎝임을 알 수 있었다.
2.3. 동전의 밀도 측정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해 동전의 지름을 재는 과정에서 측정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