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성혼수,치매 섬망 구분하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섬망의 정의
3. 섬망의 병태생리
4. 섬망의 원인
5. 섬망의 증상
6. 섬망의 진단
7. 섬망의 치료
7.1. 약물치료
7.2. 비약물치료
8. 섬망의 간호방법
8.1. 일반적인 간호중재
8.2. 섬망 선별도구 개발
8.3. 요양병원 노인환자 섬망예방 프로그램
8.4. 약물 중재에 대한 효과
8.5. COVID-19 상황의 섬망 관리
9. 결론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실습 도중 치매환자가 많다는 것을 알았다. 그런데 차트를 보던 중 치매인줄 알았던 환자가 섬망이라고 진단이 내려져 있는 것을 보고 섬망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다. 섬망에 대한 정확한 정의, 병태생리, 진단, 증상, 치료와 간호 등을 살펴보고 최근 국내외 논문을 통한 간호방법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2. 섬망의 정의
섬망은 "의식의 혼탁, 착란, 지남력 장애, 착각과 환각, 근심이나 공포, 지각연상 장애(망상이나 환상 동반)가 특징인 급격한 혼란상태를 말한다"" 섬망이라는 용어이외에도 급성 혼돈, 급성 뇌증후군, 급성 뇌부전, 독성 정신증 등으로 불리우며 과다불면증에서 혼수상태에 이르기까지 의식상태가 변화되는 특징이 있다. 병적인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현상이기에 모집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10~20% 정도가 섬망상태를 경험하고 대부분 노인에게 발생한다.
3. 섬망의 병태생리
섬망에 대한 병태생리 연구에 따르면, 노인 환자에서 기저핵이나 피질하 백질의 병변은 섬망 발생의 소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내측 시상 또는 후부 두정엽 피질에 뇌졸중이 있는 환자는 심한 섬망을 나타냈다. 또한 우울증 환자와 파킨슨병 환자에서도 섬망 발생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전전두부 피질, 우측 뇌반구, 피질하 핵이 섬망 발생에 중요한 뇌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 신경전달물질의 변동이나 결핍이 섬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그중 아세틸콜린 결핍이 대표적인데, 아세틸콜린은 의식 정도와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소 시 섬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파민 과다 활성도 섬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 활성은 아세틸콜린 활성과 상반관계에 있으며, 항콜린성 섬망에서 도파민 과다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도파민 과다 활성은 세포손상을 초래하고 섬망의 정신병적 증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섬망의 원인
섬망은 심각한 내과적, 외과적, 또는 신경학적 질환이나, 약물 중독 또는 약물 금단 상태에서 나타난다"". 주로 감염, 열병, 저산소증, 저혈당증, 약물 중독, 약물 금단, 간성뇌증 등과 같은 대사 장애와 뇌종양,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이 있을 때 흔하게 나타난다"". 노인의 경우 뇌혈관 질환과 심혈관 질환에서 섬망이 생길 수 있으며, 고령 자체도 섬망을 쉽게 일으키는 위험 인자가 될 수 있다"". 고령자가 골절, 외상 등으로 수술을 받게 되는 경우 섬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5. 섬망의 증상
섬망은 자율신경의 항진을 보이며 초조 및 불안상태가 동반되거나 망상 또는 환각 증세를 보인다. 주로 밤에 불면 증상이 나타나는 수면장애, 환시, 날짜 개념이 없어지고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하는 지남력 저하, 최근 기억이 특히 악화되고 실어증 등의 언어장애, 어떤 일을 시켜도 집중하지 못하는 집중력 저하, 비논리적 사고를 포함한 피해망상과 의심이 나타나는 사고 장애, 과다 각성을 포함한 초조와 과민성이 나타나는 정신 운동 장애, 적절한 판단을 하지 못하여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돌발 행동, 밤에 심해지고 낮에 호전되는 증상의 변동이 있다.
6. 섬망의 진단
섬망의 진단은 DSM-5와 ICD-10에 규정되어 있다. 주의의 장애(즉, 주의를 기울이고, 집중, 유지 및 전환하는 능력 감소)와 의식의 장애(환경에 대한 지남력 감소)가 있어야 하며, 이 장애는 단기간에 걸쳐 발생하고(대개 몇 시간이나 며칠), 기저 상태의 주의와 의식으로부터 변화를 보이며, 하루 경과 중 심각도가 변동하는 경향이 있어야 한다. 또한 부가적 인지장애(예: 기억 결속...
참고 자료
박명화 외(2004).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송미순 외(1998), 노인간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http:// www.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terms.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박명화 외(2004).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송미순 외(1998), 노인간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http:// www.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terms.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366&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섬망
https://cafe.naver.com/liverdaegu/51 섬망의 병태생리
김휘중, 김철진, 원승희 (1999). 섬망의 병태생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vol 5. no.1 pp. 65-77
남애리나, 박지원 (2016).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1), 149-158
황혜정, 신영희, 김가은 (2017).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9), 203-215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4911 국외논문 기사
Kotfis K, Williams Roberson S, Wilson JE, Dabrowski W, Pun BT, Ely EW.(2020),
COVID-19: ICU delirium management during SARS-CoV-2 pandemic.
Min Seo Kim, Hye Chang Rhim, Ariel Park, Hanna Kim, Kyu-Man Han, Ashwin A Patkar, Chi-Un Pae, Changsu Han.(2020), Comparative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