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품방어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품분야 친환경 소재 현황
1.1.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 필요성
1.1.1. 포장재 사용량 절감
1.1.2. 포장재 소재 변경
1.1.3. 포장재 소재 단순화 및 단일화 (유니소재)
1.2. 유니소재
1.2.1. 정의
1.2.2. 관련 기술
2. Active packaging : 외부 영향에 대한 차단 역할
2.1. 서론
2.2. Active Packaging의 필요성
2.3. 기능성 포장의 적용과 예
3. Smart packaging & Intelligent packaging
3.1. 서론
3.2. 지능형 포장의 적용범위
4. 생분해 포장소재
4.1. 서론
4.2. 바이오 플라스틱
4.2.1. 바이오 플라스틱의 정의
4.2.2. 바이오 플라스틱의 종류
4.2.3. 생분해 플라스틱
4.2.4. 산화생분해 플라스틱
4.2.5.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화 동향
5.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 현황
6.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6.1. 서론
6.2.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
6.2.1.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의 개념
6.2.2. 푸드아트테라피의 특징
6.3. 저소득층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6.3.1. 저소득층 아동의 특성
6.3.2. 푸드아트테라피가 저소득층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품분야 친환경 소재 현황
1.1. 차세대 식품 포장 연구 필요성
1.1.1. 포장재 사용량 절감
포장재 사용량 절감은 소재의 사용량 절감을 통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방식이다. 이 경우 포장재에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포장의 보존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 및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동원의 아이스팩 동봉 식품 배송 방식을 얼린 생수병 동봉 배송 방식으로 변경하여 포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카스 맥주의 포장에 사용되는 종이 상자의 재질을 재생용지로 변경하는 등의 방식으로 포장재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처럼 포장재 사용량을 줄이는 방식은 소재의 사용량 절감을 통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포장재에 지출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1.2. 포장재 소재 변경
포장재 소재 변경은 재활용에 용이한 소재로 변경하는 경우와 분해가 용이한 포장재로 대체하는 경우로 세분화할 수 있다.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로 변경하는 경우의 예로는 동원의 아이스팩 동봉 식품 배송 방식에서 얼린 생수병 동봉 배송 방식으로의 변화, 카스 맥주의 포장에 사용되는 종이 상자의 재질을 재생용지로 변경하는 방식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분해가 용이한 포장재로 대체하는 경우의 예로는 신세계푸드의 옥수수의 함유된 성분으로 개발한 비닐로 바나나를 포장하는 방식의 개발, 네슬레코리아의 자연분해되는 사탕수수 종이를 이용한 제품 상자 제작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포장재 소재 변경은 재활용이 용이하거나 분해가 용이한 소재로 변경함으로써 친환경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1.1.3. 포장재 소재 단순화 및 단일화 (유니소재)
포장재 소재 단순화 및 단일화(유니소재)는 자연순환을 고려한 친환경 설계로, 재질의 수를 줄이거나 제품의 구조개선을 통해 자원관리 및 자원순환을 촉진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소재의 수를 줄이는 것은 원천소재 개발 및 기존 제품의 단일화(단순화)를 의미하고, 제품의 구조개선은 제품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해체 분리가 용이하게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제품 본래의 성능과 기능은 유지하면서 제품의 설계, 생산, 단계부터 수거, 재활용 등을 고려해 유해물질 사용을 저감하고, 사용 후 제품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 제품의 재질을 단일화하거나 단순화한 것이다. 이는 통합성, 병용성, 독창성의 특징과 녹색성장 산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친환경적, 지속가능성 선순환 물질흐름이 가능한 혁신적인 개념이다. 소비자가 분리, 배출할 때 쉽게 분리하여, 각기 단일재질로 배출할 수 있게 하거나, 포장재가 재활용 공정을 저해하지 않고 포장재의 재활용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재생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니소재는 환경친화적이다.
1.2. 유니소재
1.2.1. 정의
유니소재는 자연순환을 고려한 친환경 설계로, 재질의 수를 줄이거나 제품의 구조개선을 통해 자원관리 및 자원순환을 촉진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소재의 수를 줄이는 것은 원천소재 개발 및 기존 제품의 단일화(단순화)를 의미하고, 제품의 구조개선은 제품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해체 분리가 용이하게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제품 본래의 성능과 기능은 유지하면서 제품의 설계, 생산, 단계부터 수거, 재활용 등을 고려해 유해물질 사용을 저감하고, 사용 후 제품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 제품의 재질을 단일화하거나 단순화한 것이다.
1.2.2. 관련 기술
식품 포장재 차단 특성 기술에는 산소차단 코팅, 수분차단 기술, 고차단성 필름 기술 등이 있다.
산소차단 코팅 기술은 포장재 내부에 산소 침투를 막는 코팅층을 적용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한다.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에 산소차단성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이다.
수분차단 기술은 포장재 내부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제품의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시킨다. 습식 또는 건식으로 고차단성 물질을 포장재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고차단성 필름 기술은 산소와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다층구조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다양한 소재를 조합하여 고차단 성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와 유통기한 연장에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소재와 결합하여 지속가능한 식품 포장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2. Active packaging : 외부 영향에 대한 차단 역할
2.1. 서론
제품에 대한 패키징 기술의 적용은 단순 기능의 패키징을 벗어나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기능성을 부여하며, 패키징 및 용기 그 자체가 열화요인들을 줄이거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가치를 생산 초기 수준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식품 패키징의 본래 목적은 식품을 외부미생물이나 기타오염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이며, 오염을 일으키는 물질로는 미생물 이외에도 산패를 일으키는 산소, 물 또는 수분 빛 벌레 및 기타 동물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식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존의 식품패키징에 특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징을 active packaging이라 한다. 즉 Active packaging(활성 포장)은 포장지의 기본적인 차단 기능에 추가로 기능을 더한 포장 방법이다.
2.2. Active Packaging의 필요성
패시브 배리어제의 도입에 의한 플라스틱 패키징은 내용물을 보호하고, 유통기간의 연장 및 품질유지라는 점에서 과거 20-30년간에 걸쳐 소비자용 식품메이커에 공헌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저장학적 의미의 기능성 패키징 이외에는 소비자의 편리성, 품질관리의 용이성, 그리고 환경 보존의 개...
참고 자료
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및 시장 동향, 유영선, 소규호, 한국식품과학회지 40(4), 2008, 365-374, 한국식품과학회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개발, 제품화 및 시장 동향, 유영선, 오유성, 청정기술 21(3), 2015. 141-152, 한국청정기술학회
기능성 및 지능형 포장, 이동선, 식품산업과 영양 11(1), 2005. 34-4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Smart Food Packing, 이동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산업심포지움발표집 2005. 17-50,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식품의 선도 유지를 위한 액티브 포장 연구 고찰 기능성 방출 조절 포장 중심, 이명호, 이윤석, 식품과학과 산업 50(2), 2017. 27-36, 한국식품과학회
액티브 포장기술 연구에 대한 현황, 김재능, 이윤석, 한국포장학회지 12(1), 2006. 13-20
식품포장분야 동향 보고서, 이경미, 조영진, 관순종, 2021,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김민용,김지유(2011). 푸드표현예술치료 이해와 실제. 양서원.
이정연(2006). 푸드아트테라피. 신정.
조주영(2015). 푸드아트테라피.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