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정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방정환 연구의 필요성
1.2. 방정환의 생애와 업적
2. 방정환의 아동교육사상
2.1. 아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2.2. 아동의 자율성과 창의성 강조
2.3. 예술을 통한 아동교육
3. 방정환의 아동운동 및 문화운동
3.1. 어린이날 제정 및 어린이잡지 창간
3.2. 세계아동예술전람회 개최
3.3. 동화구연운동 및 동요 보급
4. 방정환의 민족운동과 사상
4.1. 천도교 사상의 영향
4.2. 식민지 하에서의 독립운동
4.3. 약자를 위한 노력
5. 방정환의 평가와 유산
5.1. 아동교육사상의 의의
5.2. 근대 민족운동가로서의 역할
5.3. 현대 사회에 대한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방정환 연구의 필요성
방정환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정환은 우리나라 아동문학과 아동운동의 선구자로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한국 최초의 순수 아동잡지 『어린이』를 창간하고, 어린이날을 제정하는 등 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그의 업적은 당시 어린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시기에 이뤄낸 것으로, 아동교육과 문화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정환의 삶과 사상을 조명해보는 것은 우리나라 아동교육사와 아동문화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방정환은 단순한 아동문화운동가가 아니라 민족운동가이자 천도교 사상가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었다. 그는 3·1운동에 참여하는 등 일제 치하에서 독립운동에 앞장섰으며, 천도교 사상에 기반한 평등사상을 바탕으로 약자인 여성과 아동의 인권 신장에 힘썼다. 이처럼 방정환의 생애와 활동은 단순히 아동교육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근대 민족운동사와 사상사 전반에 걸쳐 있다. 따라서 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당시 역사적 상황과 그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방정환의 아동관과 교육사상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는 아동을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하고, 아동 중심의 자율적인 교육을 주장했다. 또한 예술과 문화적 접근을 통한 아동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여전히 현대 아동교육의 이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를 연구함으로써 오늘날 아동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하면, 방정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단순히 그 자체로서의 의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아동교육사와 근대사 전반에 걸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현대 아동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2. 방정환의 생애와 업적
방정환은 1899년 11월 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경제적으로 풍족한 편이었지만, 1907년을 기점으로 갑작스럽게 몰락하기 시작했다. 이후 어린 방정환은 배고픔과 싸우며 견디기 힘든 시기를 보냈다.
10살의 소년 방정환은 독립운동가이자 천도교 핵심인물이었던 권병덕이 조직한 '소년입지회'에서 활동했다. 소년입지회에서 동화구연과 토론회 등을 하며 정신세계를 가다듬어 나갔다.
상업고등학교를 중퇴한 방정환은 조선총독부 토지조사국에서 서류를 필사하는 사자생(寫字生) 생활을 하며 독학했다. 이후 천도교 3대 교주인 손병희의 딸과 결혼하면서 인생의 큰 전환점을 맞았다. 토지조사국 사자생 일을 그만두고 공부하며 청년회를 조직하며 지냈다.
1919년에 방정환은 『청년』이라는 잡지를 창간하고, 민족운동에 뜻을 둔 18, 19세의 소년들로 이루어진 비밀클럽인 경성청년구락부를 조직했다. 천도교의 정신적·물질적·조직적 뒷받침을 받으며 청년문화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수많은 순회강연을 통해 민족계몽운동에 앞장섰고, 소설과 수필, 시 등을 발표하기도 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방정환은 3월 1일 자를 마지막으로 못 나오게 된 『청년』을 오일철과 함께 배부하고, 독립선언서를 돌리다가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1주일 만에 풀려났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20년에 방정환은 천도교에서 발행한 종합잡지 『개벽』의 도쿄 특파원으로 임명받았고, 천도교청년회 도쿄지회 창립을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후 1922년 5월 1일 처음으로 '어린이의 날'을 제정하고, 1923년 3월 우리나라 최초의 순수 아동잡지 『어린이』를 창간했다.
방정환은 1931년 3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아동문화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였으며, 번안 및 개작작가·동화작가·동화구연가·아동잡지 편집인으로도 활약했다.
2. 방정환의 아동교육사상
2.1. 아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정환은 아동에 대해 기존의 성인 중심적 관점에서 벗어나 아동을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로 새롭게 인식하였다. 그는 아동을 단순히 어른의 축소판이나 종속물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비판하고, 아동 고유의 세계와 특성을 인정하였다.
방정환은 아동을 인...
참고 자료
조화태, 박종배 / 2010 / 교육사 / KNOU Press
김희태, 정석환 / 2015 /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 KNOU Press
홍순정, 이기숙 / 2013 / 유아교육과정 / KNOU Press
김자영 / 2006 / 소파 방정환 아동관의 교육적 함의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원호영 / 2006 / 소파 방정환의 아동교육론 연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승호 / 2005 / 초등교육의 이해 / 교육과학사
조화태, 박종배 공저 / 2010 / 교육사 / KNOU PRESS
박영애 / 2005 / 소파 방정환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이현철 / 2005 / 방정환과 페스탈로찌의 아동교육사상 비교 연구 / 창원대학교 대학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2016 / 방정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양민아, 「방정환 문학에 나타난 ‘어린이’ 연구」, 울산대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류동일, 「방정환 문학의 아동·여성 담론 연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신정아, 「방정환의 민족주의와 어린이 문학교육 –일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46, 2019.3, 237-265, 2019.
민윤기, 「방정환의 사상과 생애」, 문예운동사, 2019.2, 67-86, 2019.
김대용, 「방정환의 소년운동 연구 –천도교 신파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지, 2011. 8, Vol. 33, No, 2, 2011.
명지원, 「방정환의 아동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2011.
염희경, 「소파(小波) 방정환(方定煥) 연구」,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