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국가 모자 보건 수준 지표
국가 모자 보건 수준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는 모성사망비와 주산기 사망률이 있다. 국내의 모성 사망비는 2007년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며, 반대로 주산기 사망률은 1996년도 이후 급감하는 추세이다. 이는 낮은 분만수가로 인한 분만 기피와 전공의 부족, 농촌지역의 분만가능 병원의 감소로 분만 취약지역 증가, 늦은 결혼으로 인한 고령 임산부의 증가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단편적 연구 결과에 의한 추정으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유의해야 한다. 해외의 경우 모성 사망의 대부분이 고위험 임신·합병증에 의한 것으로, 위험을 조기예측 하고 진단·치료하는 것이 모성 사망감소에 매우 중요하다는 견해를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서는 국내 고위험 임신부 관리 현황과 고위험 산모 신생아 통합 치료센터의 현황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 임신 및 출산 등록 사업을 통해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관리하여 모성 사망비 감소를 위한 정책의 제안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1.2. 국내 모성사망비 및 주산기 사망률 추세
국내 모성사망비 및 주산기 사망률 추세는 다음과 같다.
국내의 모성 사망비는 2007년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도 이후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주산기 사망률은 1996년도 이후 급감하는 추세이다. 증가하는 모성 사망비의 주요 원인은 낮은 분만수가로 인한 분만 기피, 전공의 부족, 농촌지역의 분만가능 병원 감소로 인한 분만 취약지역 증가, 늦은 결혼으로 인한 고령 임산부의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단편적인 연구 결과에 의한 추정으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한 한계를 지닌다. 해외의 경우 모성 사망의 대부분이 고위험 임신·합병증에 의한 것으로, 조기 예측과 진단·치료가 모성 사망감소에 매우 중요하다는 견해를 보인다.
1.3. 연구 목적 및 방향
본 연구서는 국내 고위험 임신부 관리 현황과 고위험 산모 신생아 통합 치료센터의 현황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 임신 및 출산 등록 사업을 통해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관리하여 모성 사망비 감소를 위한 정책의 제안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2. 고위험 임신의 정의 및 중요성
2.1. 고위험 임신의 정의
고위험 임신의 정의는 임신 기간 중 임신부 및 태아에 질환이 발생하여 전문 의료진의 적극적 진료가 필요한 경우를 말한다. 이는 임신출혈성 질환, 자간전증과 같은 직접적 원인과, 고령임신과 같이 고위험 임신의 위험 요인이 다른 합병증 임신의 유발인자로 작용하여 모성사망의 결과로 이어지는 간접적 원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또한 고위험 분만은 질식 분만 시 태아와 임신부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만을 의미한다. 국내의 사례를 보면, 10년 간 35세 이상의 모성사망비가 28.2, 40세 이상일 경우 86.1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월등히 높은데, 이는 만성 고혈압,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동반될 확률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위험 임신은 임신수와 비율 모두 지속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는 개인노력 수준에서는 해결이 어려운 사회적 흐름에 의한 것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2.2. 고위험 임신과 모성사망의 관련성
고위험 임신은 임신출혈성 질환과 자간전증과 같은 직접적인 원인과, 고령임신과 같이 고위험 임신의 위험 요인이 다른 합병증 임신의 유발인자로 작용하여 모성사망의 결과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원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국내의 사례를 보면, 95년도부터 10년 간 35세 이상의 모성사망비가 28.2, 40세 이상일 경우 86.1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월등히 높고 이는 만성 고혈압,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동반될 확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0년 간 가임기 여성의 비율의 변동 없이 고령임신의 증가 양상만이 특징적인 것은 늦은 결혼과 출산연령의 증가가 원인임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국내의 고위험 임신은 임신 수와 비율 모두 지속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이는 개인노력 수준에서는 해결이 어려운 사회적 흐름에 의한 것으로, 정부는 고위험 임신으로 인한 모성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 고위험 임신 및 합병증 임신 관련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령 임신의 경우 임신 중 합병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