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줄이 다른 종이컵 전화기 만들기
1.1. 실험 개요
실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이 소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리가 공기 중에서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이에 따라 유아들이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구체적이고 직접 활동해볼 수 있는 종이컵 전화기 만들기를 구상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재료 중 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어떤 실이 적절할지 논의하였고, 실에 따라 소리 전달에 차이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 실험은 종이컵 전화기의 줄에 따른 소리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 문제와 목적
종이컵 전화기의 줄에 따라 소리의 차이가 있을까?가 연구 문제이다. 이를 통해 실이 소리를 잘 전달하는 이유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유아들이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구체적이고, 직접 활동해 볼 수 있는 종이컵 전화기 만들기를 통해 실에 따라 소리의 차이가 있는지 실험을 해보고자 한다.
1.3. 가설 및 재료
실험에 사용된 줄의 종류에 따라 소리의 전달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가는 면실은 소리가 잘 전달되겠지만, 굵은 털실은 소리가 약간 울리게 들릴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반면에 고무줄은 소리가 전달이 잘 되지 않을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종이컵 4개, 가는 면실, 굵은 털실, 고무줄, 리본 테이프, 가위, 줄자, 스키치 테이프, 송곳, 카세트, 음악이 녹음된 테이프 등이다. 이 중에서 변인이 되는 것은 종이컵을 연결하는 줄이며, 고정시킨 것은 줄의 길이와 전화기를 사용할 때 줄의 팽팽한 정도, 거리 등이다.
1.4. 실험 설계 및 절차
종이컵 전화기의 줄에 따라 소리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 설계 및 절차를 거쳤다.
먼저 종이컵 4개, 가는 면실, 굵은 털실, 고무줄, 리본 테이프 등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줄자를 이용하여 종이컵과의 거리를 약 2m로 정하였다. 자른 줄들을 종이컵에 연결하여 각각의 종이컵 전화기 4개를 만든 후, 한 쪽은 카세트 스피커에 대고 다른 한 쪽은 귀에 댔다. 줄이 서로 팽팽하게 되는 거리를 정해 같은 음악을 7초 정도 듣고 잘 들리는 정도와 서로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각각의 종이컵 전화기로 같은 음악을 듣고 가장 소리가 크게 들린 것부터 4개의 도장을 찍었고, 선명하게 들리는 정도도 번호로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줄의 재질에 따른 소리의 전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5. 자료 수집 및 결과
각각의 종이컵 전화기로 같은 음악을 7초 정도 듣는다. 잘 듣고 그 차이를 알 수 있도록 조용한 곳에서 하며, 다 들은 후 제일 소리가 크게 들린 것은 4개의 도장을 찍고, 그 다음은 3개의 도장을 찍으며, 세 번째로 크고 선명하게 들리는 것은 2개의 도장을 찍고, 가장 작고 선명하지 않게 들리는 것은 1개의 도장을 찍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다음과 같다. 굵은 실로 연결된 종이컵 전화기에서 가장 크고 선명한 소리가 들렸다. 그 다음으로는 가는 실, 리본, 고무줄 순으로 소리가 작고 선명하지 않게 들렸다. 이는 실의 굵기에 따라 소리가 전달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굵은 실은 소리가 튀어나올 수 있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소리가 잘 전달되지만, 가는 실은 소리가 전달되는 공간이 좁아 소리가 작게 들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리본과 고무줄은 굵기도 얇고 탄성이 있어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6. 결과 분석 및 결론
종이컵 전화기의 줄에 따른 소리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가장 크고 선명하게 들리는 소리는 굵은 실로 연결한 전화기였고, 그 다음으로 가는 실, 리본, 고무줄 순으로 들렸다. 이는 소리 전달에 있어 줄의 굵기와 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굵은 실의 경우 내부에서 소리가 잘 전달되고,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 소리가 선명하게 들릴 수 있었다. 반면 고무줄이나 리본은 탄성이 있어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았으며, 가는 실은 물성이 약해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물성과 굵기, 장력 등의 특성이 소리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의 재질과 굵기에 따라 소리가 전달되는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유아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이는 소리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실험 활동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 및 창의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2. 개정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교육계획안 작성
2.1. 교육계획안 작성의 필요성과 목적
왜 교육계획안을 작성해야 하는가? 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