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식거래소의 등장과 발전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탄생
최근 인터넷 상에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네이버, 엠파스, 야후 등의 검색사이트들은 이제 더 이상 단순히 사용자로 하여금 사이버스페이스 내의 지식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역할만이 아닌, 사용자들을 이어주어서 이들 간에 지식을 주고받게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곳에서 활발한 활동, 질 높은 대답을 한 사용자는 포인트를 얻어서 이 것으로 메일용량을 늘리거나 복권 등을 살 수 있는 혜택을 얻는다. 이러한 지식의 공유는 단순한 질문-답변 식의 1회성 묻고 답하기에서 그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서로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의 교환, 그리고 이후에도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에서는 웬만한 문제에 대한 답변은 주제어를 검색함으로서 찾아 낼 수 있다. 만일 커뮤니티 내에 등록되지 않은 지식이 있을지라도 질문만 한다면 빠르면 몇 분, 늦어도 하루 이틀 이내에 반드시 그 대답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나온 대답들에 대해서 질문자는 질문에 대한 답 중에서 가장 유용한 답을 골라 포인트를 주는 식으로 그 지식의 가치를 계량화한다. 이렇게 소비된 지식은 그대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 축적되고 이후에도 여전히 참고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님으로서, 역사가 오래 되고 구성원들의 수가 많은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가히 살아있는 지식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도 있다.
1.2. 해피캠퍼스와 지식거래소의 특징
해피캠퍼스와 지식거래소의 특징이다. 해피캠퍼스는 2000년에 설립된 지식거래소로, 대학생 이상의 고급인력이 주요 회원이며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는 해피캠퍼스 내에서 원하는 주제의 리포트를 검색하고 평가와 가격 등을 종합하여 구입한다. 구입하고자 하는 리포트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 같은 방식으로 문의를 하면 며칠 내에 자료를 받을 수 있다. 이는 마치 패스트푸드를 주문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또한 해피캠퍼스는 제품의 다운로드 횟수가 많을수록 가격이 높아지도록 설계되어 소비자들이 제품의 질을 쉽게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생산자 입장에서도 해피캠퍼스는 저작권 등록이나 상표 등록, 광고 없이도 자신이 만든 자료를 등록하고 판매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중개 수단이다.이처럼 해피캠퍼스는 대학생 이상의 고급인력이 주요 회원이며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지는 지식거래소의 특징을 갖고 있다. 소비자와 생산자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