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 눈 해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눈의 구조와 기능
1.1. 눈의 구조
1.1.1. 공막
1.1.2. 각막
1.1.3. 홍채
1.1.4. 동공
1.1.5. 수정체
1.1.6. 유리체
1.1.7. 망막
1.1.8. 시신경
1.1.9. 맥락막
1.1.10. 모양체
1.2. 눈의 기능
1.2.1. 빛 굴절
1.2.2. 빛 감지
1.2.3. 상 형성
1.2.4. 조절
1.3. 눈의 특수 구조
1.3.1. 황반
1.3.2. 맹점
1.3.3. 반사판
1.4. 홍채 인식 기술
1.5. 노화에 따른 눈의 변화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눈의 구조와 기능
1.1. 눈의 구조
1.1.1. 공막
공막은 눈에서 흰자로 보이는 부분을 말한다. 공막은 안구의 뒤쪽 5/6을 차지하는 섬유조직으로, 탄력성이 풍부한 콜라겐과 탄력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공막은 눈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막의 안쪽면에는 맥락막이 부착되어 있어 망막과 공급혈관을 지탱하는 역할도 한다. 공막은 혈관이 적고 대사활동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조직에 비해 질병 발생률이 낮다. 따라서 공막은 안구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1.1.2. 각막
각막은 눈 앞부분의 가장 바깥쪽 표면으로, 눈에서 가장 먼저 빛이 통과하는 곳이다. 빛의 굴절과 전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외부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쉽게 다칠 수 있고 여러 가지 질환에 걸리기 쉽다. 각막의 표면은 눈물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빛을 일정하게 통과시켜 준다. 앞에서 보면 마치 투명한 바가지 모양처럼 생겼으며, 각막은 눈에서 가장 많이 빛을 굴절시켜 모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라식이나 라섹 같은 굴절교정수술은 각막의 일부를 제거해서 눈의 굴절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1.1.3. 홍채
홍채는 맥락막의 앞쪽 끝에서 동공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 모양의 구조물이다. 홍채의 중앙에는 동공이라는 구멍이 있어 빛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홍채의 기능은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주위가 어두워지면 동공이 커져서 더 많은 빛이 망막에 도달할 수 있게 하고, 주위가 밝아지면 동공이 작아져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인다. 이러한 동공의 크기 조절은 홍채의 두 가지 근육, 즉 동공조임근과 동공확대근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공조임근은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아 수축하면 동공이 좁아지고, 동공확대근은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아 수축하면 동공이 넓어진다.
홍채의 이러한 동공 크기 조절 작용은 빛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망막에 선명한 상을 맺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홍채의 색깔과 무늬 패턴은 개인마다 고유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홍채 인식 기술이 개발되어 보안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1.1.4. 동공
동공은 홍채의 중앙에 있는 구멍으로, 이를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조절된다. 동공의 크기는 홍채의 조임근과 확대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데, 주위가 어둡거나 가까운 물체를 볼 때는 교감신경의 작용으로 동공이 확대되어 더 많은 양의 빛이 들어오게 되고, 반대로 주위가 밝거나 먼 물체를 볼 때는 부교감신경의 작용으로 동공이 축소되어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든다. 이러한 동공의 크기 조절 기능은 적정량의 빛이 망막에 도달하여 선명한 상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동공은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이 작용하여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시감도와 시야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1.1.5. 수정체
수정체는 투명한 볼록렌즈로서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수정체의 두께에 따라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이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모양체와 모양체 소대는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이 굴절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에는 모양체 근육이 이완되고 모양체 소대가 팽팽해짐에 따라 수정체의 두께가 얇아져서 빛의 굴절이 작아진다. 반대로 가까운 물체를 볼 때에는 모양체 근육이 수축하고 모양체 소대가 느슨해지기 때문에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빛의 굴절이 커진다. 이러한 작용을 조절이라 하는데 조절은 물체에 대한 거리가 변하더라도 망막에 상이 정확하게 맺히도록 해준다. 해부 실험에서 수정체는 유리체 안에 있어 분리해보니 작고 단단한 투명 구슬 느낌이었다. 또한 수정체를 글씨 위에 두고 관찰해보니 원래의 크기보다 확대되어 보여 볼록렌즈의 역할을 하고 있음...
참고 자료
위키피디아,눈, https://ko.wikipedia.org/wiki/%EB%88%88_(%ED%95%B4%EB%B6%80%ED%95%99)
Lisa A. Urry외 5명, 2017,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2판, 바이오사이언스 출판, p.810~811
지식백과, 안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79&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수정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78&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홍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82&cid=51006&categoryId=51006#TABLE_OF_CONTENT4 (2022.07.09)
지식백과, 유리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81&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망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76&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1745&cid=40942&categoryId=32318
지식백과, 각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68&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공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70&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황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83&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맹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41737&cid=47339&categoryId=47339 (2022.07.09)
지식백과, 시신경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72&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지식백과, 모양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677&cid=51006&categoryId=51006 (2022.07.09)
두산백과, 맥락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2111&cid=40942&categoryId=32318 (2022.07.09)
두산백과, 홍채인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33909&cid=40942&categoryId=32308 (2022.07.09)
위키백과, 반사판 (휘판)
https://ko.wikipedia.org/wiki/%ED%9C%98%ED%8C%90 (2022.07.09)
지식백과, 노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36&cid=51007&categoryId=51007 (2022.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