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투약오류 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투약오류와 간호의 질 향상
1.1. 투약오류의 정의 및 유형
1.2. 투약오류가 환자안전과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2.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접근
2.1. 환자안전간호의 개념과 근거이론
2.2. 투약오류 발생 요인
3. 투약오류 감소를 위한 실무 전략
3.1. 모바일 투약 시스템 구축
3.2. 투약오류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3.3. 조직 의사소통 및 안전 분위기 조성
3.4. 환자 교육 프로세스 개선
3.5.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향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투약오류와 간호의 질 향상
1.1. 투약오류의 정의 및 유형
투약오류란 의사의 처방, 약사의 조제, 간호사의 투약카드 작성 및 건강소비자에게 투약 중 발생하는 오류이다. 미국의 병원약사협회는 투약오류의 유형을 9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첫째, 투약 불이행의 경우 환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 경우이다. 둘째, 처방에 의하지 않는 투약의 경우 처방전과 다르게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이다. 셋째, 투여용량이 부정확한 경우 처방된 용량보다 과다 또는 과소하게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이다. 넷째, 처방과 다른 경로의 투약의 경우 처방된 투여경로와 다르게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이다. 다섯째, 정맥주입 속도가 부정확한 경우 처방된 정맥주입 속도와 다르게 투여하는 경우이다. 여섯째, 처방과 다른 형태로 변형된 약물 투여의 경우 약물의 제형을 변형시켜 투여하는 경우이다. 일곱째, 불규칙한 투약시간의 경우 처방된 투약 시간과 다르게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이다. 여덟째, 투약 준비 과정에서의 오류의 경우 약물을 잘못 준비하여 투여하는 경우이다. 아홉째, 투여기술이 옳지 않은 경우 약물 투여 시 잘못된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1.2. 투약오류가 환자안전과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투약오류가 환자안전과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투약오류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경우 매년 150만 명의 환자가 투약오류로 인한 상해를 입고, 이 가운데 7,000명이 사망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영국 보건부 또한 위해사건으로 인한 사망의 20%가 투약오류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처럼 투약오류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요인이다.
둘째, 투약오류로 인해 환자의 입원기간이 연장되고 추가적인 의료비용이 발생한다. 전체 입원 환자의 6.7%가 투약오류로 인한 환자의 상해나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실제 보고되는 경우는 전체 투약오류의 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약오류로 인한 막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투약오류는 간호사 개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투약오류를 경험한 간호사는 환자에게 해가 되지 않았어도 자기 자신을 비난하며 지식과 기술에 대한 자신감이 감소하게 된다. 이들은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간호사의 업무 생산성이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간호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투약오류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재정적 손실을 초래하고 간호사 개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투약오류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접근
2.1. 환자안전간호의 개념과 근거이론
환자안전이란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예방 가능한 위해가 없고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허용 가능한 최소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의료분야 모든 조직이 추구해야 할 목표 중 하나이다.
환자안전간호의 근거이론인 스위스 치즈 모델에 따르면, 복잡한 시스템은 일련의 장벽들이 있어 인명 피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장벽에는 의도하지 않은 약점 또는 구멍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
참고 자료
Institute of Medicine (2003). Patient safety: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NW: Author.
Milch, C. E., Salem, D. N., Pauker, S. G., Lundquist, T. G., Kumar, S., Chen, J.
(2006). Voluntary electronic reporting of medication errors and adverse
even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1, 165-170.
Paradis, A. R., Stewart, V. T., Bayley, K. B., Brown, A., Bennett, A. J. (2009). Excess
cost and length of stay associated with voluntary patient safety event
reports in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4(1), 53-60.
Lisby, M., Nielsen, L, P., Mainz, J. (2005). Errors in the medication process:
Frequency, type, and potential,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 Health
Care, 17, 15-22.
Leape, L. L. (1995). Out of darkness: Hospitals begin to take mistakes seriously,
Health Systems Review, 28, 24-27.
박진희, 이은남.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과 결과”. J Korean Acad Nurs (간호행정학회지). Vol 49 No 5, 631. (2019)
유미, 김은영, 김종경, 이영진. “환자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투약오류를 중심으로”. J Korean Acad Nurs (간호행정학회지). Vol 27 No 2, 107-117. (2021)
송숙희, 백주원, 한인성, 김은혜, 변년임, 조은미, 안태사, 홍의정. “모바일 투약 시스템 적용과 투약오류 경고 관련 특성”. J Korean Acad Fundam Nurs (기본간호학회지). Vol 28 No 2, 149-155. (2021)
송가람, 김옥수. “임상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만족과 안전분위기가 투약안전 역량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Acad Nurs (간호행정학회지). Vol 28 No 3, 297-306. (2022)
손언정, 이규영. “신규간호사의 항암 투약 간호지식, 수행도 및 교육 요구도가 항암 투약 오류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Vol 29 No 2, 115-123. (2023)
투약오류 유형 분석 및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 - 백영심(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과 석사)
투약 교육프로그램이 투약간호, 투약오류 및 투약지식에 미치는 효과 - 이은경(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원 지역사회간호 석사)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 이순영(성모병원간호사), 김은경(충북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신규 간호사의 투약오류 인지 및 경험에 대한 조사연구 - 오춘애(인천의료원 간호사), 윤혜상(가천의과학 대학교 간호학부 교수)
간호사의 투약오류 보고 및 장애요인 - 성연희, 권인각, 정연이
간호사의 투약오류 분석 및 개선방안 - 이순영(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