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존 교수법과 비교를 바탕으로 과제 중심 교수법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해 설명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교수법의 발전
1.1. 문법 번역식 교수법
1.2. 직접 교수법
1.3. 청화식 교수법
1.4. 침묵식 교수법
1.5. 공동체 언어 학습법
1.6. 전신 반응 교수법
1.7. 암시 교수법
1.8. 의사소통식 교수법
1.9. 과제 중심 교수법
2. 언어 교수법의 특징 비교
2.1. 교사의 역할
2.2. 문법 학습
2.3. 언어 사용 양상
2.4. 오류 수정
3. 교수법 선택과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교수법의 발전
1.1. 문법 번역식 교수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19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전통적인 제2언어 교수법으로, 문법에 대한 설명과 번역 활동에 초점을 맞추는 교수법이다"" 이 교수법은 언어를 분절된 요소(문법 규칙, 어휘, 문장 구조 등)로 보고, 학습자가 이러한 언어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습득하여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는 문법 규칙과 어휘를 먼저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번역 연습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모국어를 사용하여 문법 규칙을 설명하고, 목표어와 모국어 간 번역 연습을 하는 것이 주된 학습 활동이다"" 따라서 말하기와 듣기보다는 읽기와 쓰기 기능이 중요시되며, 발음 연습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교사는 권위적인 존재로서 학습자는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전 작품을 이용한 수업이 일반적이어서 학습 내용이 교양 중심이고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이러한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수업 시간의 경제성, 수업 준비의 용이성, 평가의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어렵고, 듣기와 말하기 기능이 소홀히 되어 실제 언어 사용 능력 배양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1.2. 직접 교수법
직접 교수법은 크라센(1981)의 입력가설을 바탕으로 한 언어 학습 접근법이다. 이는 어린이가 모국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것처럼 학습자들이 이해 가능한 입력에 충분히 노출되면 자연스럽게 제2언어를 습득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학습자는 반복적인 이해 가능한 입력을 통하여 언어를 우연적이고 암묵적으로 배우게 된다.
직접 교수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의 의미를 중시하고 의사소통을 목표로 듣기와 읽기 즉, 이해 기능을 강조한다. 둘째, 교사는 학습자의 불안감이나 스트레스 등의 감정적 여과를 낮추어 언어 습득의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문법은 암시적으로 제시되며, 명시적인 문법 설명은 자제된다. 넷째, 교사의 즉각적 오류 수정은 자제되며,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습득 과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섯째, 모국어 사용이 허용되지만 점차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목표어 전용의 수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직접 교수법은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으로, 언어의 의미와 의사소통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학습자의 감정적 여과를 낮추어 자연스러운 습득 과정을 중시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해 가능한 입력이라는 것의 모호성을 해결하지 못했고, 언어의 정확성 향상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1.3. 청화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은 2차 세계대전 중 군사적 목적으로 단기간에 외국어를 잘할 수 있어야 했던 상황에서 등장한 교수법이다. 구조주의 언어학의 관점과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언어의 일차적인 매개체는 문자가 아닌 구어라고 보았다. 따라서 반복적이고 통제된 문형연습을 통한 습관형성과 모방에 의한 발음 습득, 구어적 유형 연습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화식 교수법은 언어 형태를 먼저 학습한 후 발화하는 연역적 접근법이다. 구조주의 언어학을 바탕으로 언어를 분절된 것으로 보고, 문법 규칙이 명시적으로 제시된다.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쉬운 문법과 단순한 어휘에서 어려운 문법과 복잡한 어휘를 순차적으로 제시한다. 모방과 반복의 기계적인 연습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며, 교사는 즉각적인 피드백과 오류 수정으로 학습자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주력한다. 이는 교수 중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 방식으로 학습자는 수동적인 존재가 되어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또한 언어 지식의 습득만으로는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기에 부족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1.4. 침묵식 교수법
침묵식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인지주의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교수법이다. 이 교수법은 학습자의 인지 능력을 활용하고, 학습자가 독립성, 자율성, 책임감을 갖고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는 스스로 자각하고 학습 내용을 발견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다.
교사는 침묵을 지키며 학습을 촉진하고 수업 환경을 조성하는 보조자 역할을 한다. 다양한 수업 도구(막대, 지시봉, 음색표와 음가표, ...
참고 자료
김인옥 외(2020), 한국어 교육능력 검정시험 대비, 한올
민현식 외(2005) 한국어 교육론1;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전망, 한국문화사
박수진 외(2022),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형태 초점과 과제 중심의 절충적 수업, 교양교육연구 16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외(2017),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안용준(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설계, 진흥원격평생교육원
Long, M., & Robinson, P.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15-4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unan, D. (989) Designing Tasks for the Cornrnunitive Classroom, Cambridge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