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유아들에게 스마트폰을 노출했을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유아의 전자미디어 노출과 발달
1.1. 영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
1.2. 전자미디어 노출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1.2.1. 언어발달
1.2.2. 사회성 발달
1.2.3. 신체 및 정서발달
1.3. 영유아의 전자미디어 노출 원인
1.3.1. 부모의 태도 및 양육 행동
1.3.2. 사회·기술적 환경 변화
1.4. 전자미디어 노출 예방을 위한 노력
1.4.1. 부모의 역할
1.4.2. 정부의 정책적 지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유아의 전자미디어 노출과 발달
1.1. 영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
영유아의 전자미디어 사용 실태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기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실태를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미디어 사용 연령이 점점 빨라지고 있다. 응답자인 부모의 59%가 자녀가 스마트 미디어를 이용한다고 응답했고, 이들 중 45%가 12~24개월 미만에 이미 스마트 미디어를 최초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2개월 미만 시기에 처음 시작한 응답도 7%에 이르렀다. 따라서 코로나 이전에 실시되었던 만 3~5세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최초 노출 시기가 보통 2.3세로 나타난 연구보고보다 연령대가 빨라진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 연구 결과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연령이 낮아진다는 것은 모든 연구 결과에서 강조되고 있다.
또한 36개월 미만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6%가 자녀가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응답했고, 0~5세 대상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유아의 경우 스마트폰 최초 이용 시기가 2.8세이고, 영아는 0.8세로 빨라졌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영아들의 일주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일주일 평균 2~4시간 정도이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영아가 15%가 넘었으며, 5시간 이상인 경우도 7%가 넘어서 오랜 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영아가 있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 장소는 집과 식당 및 카페 그리고 차 안 등의 순으로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보통 부모에 의해 노출되므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는 중요하다. 연구조사에 따르면 36개월 미만의 영아들에 대해 부모가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인지발달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잘못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허용하는 이유에 대해 시간 때우기와 아이들의 재미를 위해서라는 결과에 대해 부모가 아이들과 상호작용...
참고 자료
영유아보육법, 저자 박용호, 출판 진원사, 2014.05.26.
전인옥 외 1/영아발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21
김진경 외 2/유아발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