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양파표피세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양파 표피세포 관찰
1.1. 실험 목적
1.2. 실험 준비물
1.3. 실험 방법
1.4. 실험 과정
1.5. 실험 결과
1.6. 고찰
2. 현미경을 이용한 양파 표피세포의 관찰
2.1. 서론
2.2. 방법
2.3. 결과
2.4. 고찰
3. 세포의 관찰
3.1. 서론
3.2. 방법
3.3. 결과
3.4.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양파 표피세포 관찰
1.1. 실험 목적
현미경을 실제 활용하여 양파의 표피세포 관찰을 해 본다. 이를 통해 식물세포의 구조와 형태를 알고, 원형질 분리현상을 눈으로 확인한다.
1.2. 실험 준비물
실험 준비물에는 광학 현미경, 양파, 핀셋, 면도칼,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증류수, 20% NaCl 용액, 아세트산카민 용액, 스포이트 3개가 포함된다.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양파의 표피세포를 관찰하고, 다양한 용액 처리를 통해 세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준비물들이다. 면도칼과 핀셋은 양파 표피 세포층을 채취하는 데 사용되며,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 글라스는 세포 관찰을 위한 프레파라트를 만드는 데 필요하다. 증류수, NaCl 용액, 아세트산카민 용액은 각각 세포 관찰, 원형질 분리 현상 관찰, 핵 염색 등의 실험 과정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준비물들을 활용하여 양파 표피세포의 구조와 특성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1.3.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파라트 만들기: 양파 속껍질에 칼금을 내고 핀셋으로 표피세포 층을 벗겨낸 다음,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증류수 한 방울과 함께 올려놓는다.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글라스의 한 변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대고 약 45도 기운 상태로 비스듬히 덮는다. 페이퍼 타올로 주변의 물기를 제거한다.
둘째, 현미경 관찰: 저배율로 초점을 맞추고 프레파라트를 재물대에 올려놓은 다음, 광원을 켜고 조동나사로 상을 찾는다. 미동나사로 정확한 초점을 맞춘 후 관찰한다. 이때, 점차 배율을 높여가며 관찰한다(X4 → X10 → X40).
셋째, NaCl 용액 처리: 첫 번째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파라트를 만든다. 프레파라트의 커버글라스 가장자리에 20% NaCl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려 스며들게 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른 세포의 변화를 관찰한다.
넷째, 아세트산카민 처리: 첫 번째와 같은 방법으로 또 하나의 프레파라트를 만드는데, 이때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의 양파 표피에 한 방울 떨어뜨린 후 커버글라스를 덮는다. 약 5분이 지난 뒤 처음 관찰했던 세포와 비교해가며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1.4. 실험 과정
양파 표피세포 관찰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프레파라트 만들기: 양파 속껍질에 칼금을 내고 핀셋으로 표피세포층을 벗겨낸 다음,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증류수 한 방울과 함께 올려놓는다.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글라스의 한 변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대고 약 45도 기운 상태로 비스듬히 덮는다. 주변의 물기를 페이퍼 타올로 제거한다.
② 저배율로 초점을 맞추고 프레파라트를 재물대에 올려놓은 다음, 광원을 켜고 조동나사로 상을 찾는다. 미동나사로 정확한 초점을 맞춘 후 점차 배율을 높여가며 관찰한다. (X4 → X10 → X40)...
참고 자료
권혁빈 외 9명, 지코사이언스,『일반생물학실험』, 2008, pp97~99
김옥용 외 3명, 바이오사이언스(주),『기초 생물학 실험서(11판)』, 2009, pp28~31
네이버지식백과, 두산백과, ‘원형질분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1390&cid=40942&categoryId=32322
네이버지식백과, 비주얼백과, ‘식물세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43349&cid=49003&categoryId=49003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아세토카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1160&cid=40942&categoryId=32280)
전상학, 캠벨 생명과학9판, 바이오사이언스출판(2012), 101p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아세토카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1160&cid=40942&categoryId=32280
전상학, 캠벨 생명과학9판, 바이오사이언스출판(2012), 95(그림6.2), 100, 101p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메틸렌블루 용액”[methylene blu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2841&cid=40942&categoryId=32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