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류의 정의와 역사
1.1. 한류의 정의
한류(韓流)란 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이다. 1996년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되고, 2년 뒤에는 가요가 알려지면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된 현상을 일컫는다. 한류라는 용어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알려지면서 대만, 중국, 한국 등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풍이 일기 시작하자 2000년 2월 중국 언론에서 이러한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한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널리 알려졌다. 이후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은 중국뿐 아니라 타이완·홍콩·베트남·타이·인도네시아·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1.2. 한류의 역사
1.2.1. 한류의 시작
한류의 시작은 1990년대 MBC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부터였다. 이 드라마는 1997년 중국 CCTV에서 방영될 당시 3,900만 명이 시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큰 인기를 얻어 재방, 삼방이 이어졌다. 이는 중국에서 최초로 한류 열풍을 불러일으킨 드라마였다.
이후 1990년대 후반에는 댄스그룹 '클론'이 중화권에 진출해 예쁘고 가냘픈 남성이 인기 있던 중화권 시장에 근육질 몸매의 남성성으로 색다른 매력을 어필해 큰 열풍을 일으켰다. 중국에서 앨범을 내고 북경에서 단독 콘서트를 열만큼 뜨거운 인기를 얻었다.
또한 1998년 5월 한국 보이그룹 'HOT'가 중국에 진출해 2000년 2월에는 북경에서 단독 공연을 열기도 했다. HOT 해체 이후에도 JTL(장우혁, 토니안, 이재원)이 2002년 CCTV&MTV MMH(Mandarin Music Honors)에서 아시아 최고 팝밴드상을 수상하는 등 중화권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처럼 1990년대 드라마와 가요를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 열풍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으로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했다.
1.2.2. 한류의 확산
한류의 확산은 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시작되어 점차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1996년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되고, 2년 뒤에는 가요가 알려지면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후 한류 열풍은 중국뿐 아니라 대만·홍콩·베트남·타이·인도네시아·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에는 드라마·가요·영화 등 대중문화만이 아니라 김치·고추장·라면·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의 이상적인 선호현상까지 나타났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포괄적인 의미에서 한류라고 한다. 그리고 한류 열풍은 점차 아시아에서 전 세계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2000년대 초반 이후에는 JTL의 아시아 최고 팝밴드상 수상, 드라마 '겨울연가'의 성공에 힘입은 류시원의 일본 오리콘차트 10위 내 진입 등의 성과들을 통해 한류 열풍이 더욱 확산되었다. 2006년부터 2012년 초까지 동방신기가 일본에서 65회 전국투어 콘서트를 열어 약 68만 명을 동원하고, 일본에서 630만 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올리는 등 한류 열풍이 지속되었다.
또한 2010년대에는 소녀시대, 카라 등의 K-pop 아이돌이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장근석이 일본에서 한류스타로 급부상하는 등 한류가 더욱 확산되었다. 특히 2012년에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며 한류의 지평을 크게 넓혔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류는 1990년대 말 아시아에서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에 확산되었고,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에 동방신기, 소녀시대, 카라, 장근석, 싸이 등의 영향력 있는 한류 스타들이 등장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1.2.3. 한류의 전 세계 확산
한류의 전 세계 확산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 북중미, 아프리카 등으로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2000년대 중·후반부터는 한국 대중가요가 중국, 대만,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유럽과 북남미, 중동 지역, 일부 유럽까지 세계 각국에서 사랑을 받으며 드라마 한류 열풍을 이어갔다. 가수 보아는 2001년 일본에서 오리콘 앨범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아시아에서 한류의 성공을 이뤘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아시아권을 넘어 다양한 지역으로의 진출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가수 보아의 2008년 미국 진출, 원더걸스의 2009년 미국 진출 시도 등이 이를 보여준다. 비록 큰 성과는 거두지 못했지만, 이를 계기로 SM엔터테인먼트가 2011년에는 프랑스 파리와 미국 뉴욕에서 'SM타운 콘서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한류의 세계적 확산을 보여주었다.
특히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기존의 소수 한류 팬층을 넘어 대중사회에 한류 열풍을 일으켰다. '강남스타일'은 2012년 9월 미국 빌보드 차트 2위에 올랐고, 2014년 5월에는 유튜브 최초로 조회수 20억 건을 돌파하는 등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이에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도 자신의 딸들이 '강남스타일' 춤을 가르쳐 줬다고 언급하며 한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이어 2013년에는 방탄소년단이 데뷔하여 점차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017년 발매한 앨범을 시작으로 빌보드 차트 진입, 대상 수상 등 폭발적인 성과를 거두며 K-pop의 위상을 높였다. 2018년에는 두 장의 앨범이 빌보드 차트 200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고, 이를 통해 방탄소년단은 음악적·상업적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한류는 아시아를 시작으로 유럽, 북미, 남미 등 전 세계로 그 영향력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특히 K-pop 아티스트들의 활약이 두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