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산업혁명과 교육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사회 변화
1.1. 정치·행정적 측면
1.2. 경제적 측면
1.3. 사회·문화적 측면
1.4. 사상적 측면
2.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 쟁점
2.1. 학생과 교사
2.2. 교육내용
2.3. 학교 체제
2.4. 학교의 사회적 기능
3.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과제
3.1. 유연한 학교제도로의 전환
3.2.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도입
3.3. 교원제도 및 교육지원시스템의 혁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과 사회 변화
1.1. 정치·행정적 측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치·행정적 측면에서의 변화는 정부의 역할 변화와 참여 민주주의와 대의 민주주의의 변화로 나타난다.
먼저 정부의 역할 변화를 살펴보면, 4차 산업혁명은 급격한 기술 변화와 속도, 그리고 넓고 깊은 변화의 폭을 동반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법과 접근법이 필요하다. 단기적인 관점을 넘어 중장기적 차원에서 꾸준히 혁신을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특정 부처 영역을 넘어 국가 차원에서 부처 간은 물론 기업, 민간단체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환경에서 실패를 용인하고 실패도 귀중한 자산이라고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정책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의 컨트롤타워인 '제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권한과 법적 근거의 한계로 인해 역할이 제한적이다. 또한 부처 간 협력과 조정이 원활하지 않은 정부 구조의 한계로 인해 혁신 정책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새로운 국가 조직 체계에 대한 고민과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참여 민주주의와 대의 민주주의의 변화를 살펴보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생산, 전달,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시민사회의 정치 참여가 활성화되고 있다. 사회적 현안에 대한 대응이 개별적인 형태가 아니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광범위한 논쟁과 토론을 거쳐 공동체의 동조자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등 새로운 형태의 참여 민주주의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 전통적인 대의 민주주의 기구인 정당과 의회 등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고 있다. 정치적 의사 표현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면서 대의제 민주주의의 여러 기구들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참여 민주주의와 대의 민주주의의 조화를 통한 성숙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개인의 정치적 신념을 타인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능력과 인내심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2. 경제적 측면
4차 산업혁명은 산업구조와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인 초 융합, 초 연결, 초 결합은 기존의 산업 간 경계를 허물고 전혀 새로운 기술과 생산구조,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무너지고 있으며, 이는 경제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한국 경제는 인구 고령화, 생산가능인구 축소, 노동시간 감소 등의 부정적인 요인들이 중첩되면서 저성장 기조가 고착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라본 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은 과거와 같은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성장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생존을 위해 도태되지 않고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이 경제 성장 둔화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 발전이 경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이론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과학기술과 다양한 경제 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규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기술 혁신이 경제 발달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융·복합기술 발전, 제조업의 플랫폼 비즈니스 확대, 혁신적인 산업 구조적 변화 등 파괴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가져올 미래에 대비하는 핵심 키워드는 바로 "유연성"이다. 유연성이 바탕이 될 때, 생물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영역의 기술들이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발전할 수 있으며, 혁명적이고 지능적인 상용 기술이 등장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디지털 1인 공정방식의 확산, 제조업과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의 결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등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와 더불어 온 디맨드(on-demand) 기반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도 주목받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필요할 때 즉시 거래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유연성이 전제된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노동 시장의 변화를 촉발할 것이며, 임시 계약직 노동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 발전이 경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기술 발전은 신산업 창출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제가 확장·재생산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부가가치를 가진 제품을 개척함으로써 산업의 발달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경제적 변화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가장 큰 우려는 노동시장의 축소와 고용의 불안정성 증폭, 그리고 소득 격차의 심화 등이다.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존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전문 직종으로 귀속되는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부와 권력의 편중, 빈곤의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술 발전이 경제 발달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하지만,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명확한 이론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과학기술과 다양한 경제 변수의 관계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1.3. 사회·문화적 측면
4차 산업혁명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고용 불안정에 따른 사회 불안, 소득 재분배 문제와 불평등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미디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모바일과 SNS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콘텐츠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미디어 콘텐츠 스모그" 시대를 열 것이다. 최근 많은 연예인들이 공중파에서 벗어나 유튜브에서 활동 비중을 높이고 있는데, 이는 연예인들이 자신의 끼를 발산하고 팬들과 인간적인 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유튜브가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홍보·마케팅 수단으로 가치가 높아지면서 글로벌 스타가 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 발전은 현재 고용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면서 시장이 자본 집약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노동시장 구조에 큰 변화가 일어나, 소수의 개발자와 전문가를 제외한 다수의 근로자들이 실직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사회적 불안감을 초래하고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은 소득 재분배 문제와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자산과 자본이 삶의 척도라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득 불평등의 발생은 필연적이며, 기술 발전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편리함이 소수에게 집중되면서 부의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보와 데이터의 공정한 분배, 고용 불안정 해소,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4. 사상적 측면
4차 산업혁명의 사상적 측면은 융합·연결·결합의 중요성, 총체적 역량을 키우는 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개인의 자유와 다원주의 사회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은 정치, 경제, 산업, 교육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는 과학기술의 유례없는 발전 속도로 인해 촉발되는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변화를 동반하는데,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바로 융합·연결·결합에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다양한 영역의 기술들이 융합·복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국가들은 이를 미래 주력 산업으로 주목하고 있다. 즉,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한 기술 혁명을 넘어 인간과 사회에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올 통합적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융합·연결·결합의 특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감성 중심, 탈권위주의, 양성평등, 소비자 중심의 on-demand 등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과 같은 총체적 역량을 키우는 교육이 필요하다. 기존의 지식 중심적 교육방식으로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참고 자료
강성종(2021).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태중, 강태훈, 류성창, 정제영(2016).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교육 발전 전략구상.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경근(2019). 변화의 시대에 한국 교육은 미래 세대를 적절히 준비시키고 있는가?. 교육학연구, 57(1), 221-252.
김병길(2011). “인성교육과 창의성 교육의 현실과 과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한국교육철학회, 2011 하계 학술대회 자료집, 3-14.
김주환(2017). 4차 산업혁명시대 소프트웨어 교사 역량강화방안에 관한 이론적 고찰.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순영(2018). 미래 사회의 교육 가치에 관한 연구. 원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류태호(2017).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박남기(2017).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교육학연구, 55, 211-240.
배용호, 김병우, 하태정, 장병열(2006). “성장과 고용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6(5), 2006, 1-24.
신득렬(2018). 교양교육. 인천 겨리
신현석, 정용주(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행정의 미래. 교육문제연구, 30(2), 103-147.
심진보, 최병철, 노유나, 하영욱,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 대한민국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콘텐츠하다.
심진보(2017). 대한민국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미래를 위한 통찰, IDX. 서울:콘텐츠하다.
양선이(2017).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 상상력과 공감에 기반한 감수성”.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26(86), 495-517.
윤기영(2016).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논의의 전환 필요성. 미래연구, 1, 29-54.
이상오(2013).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육 방안.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윤미(2012). 동아시아 모델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색. 비교교육연구, 22(5), 1-32.
이장재(2018). 제4차 산업혁명의 현상과 분석틀.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361-380.
장이순(2016).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철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14.
장필성(2016). 2016 다보스포럼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STEPI 해외 혁신동향.
조상식(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152-185.
쿠반, 래리(Cuban, L.). (1997). 교사와 기계: 1920년대 이래 교실에서의 기계 이용. 박승배 역. 양서원. [Teachers and Machines: The Classroom of Technology Since 1920.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86.]
하원규, 최남희(2015).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콘텐츠하다.
4차 산업혁명 위원회(2017).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
강성종(2021).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현석(2016). 한국 중등 교육과정의 현실과 교육과정의 과제: Speculative Essay Approach. 2016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육학회.
곽기영(2016). 4차 산업혁명 Industry. 전기저널. 대한전기협회.
김경애 외(2015).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 조성 방안. (연구보고 RR 2015-04). 한국교육개발원.
김병찬(2000).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원교육연구, 17(3), 113-141.
김승현(2017).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주요국의 혁신정책. Entrepreneurship Korea.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영지(2019). 4차산업혁명 시대의 중등수학 교수·학습방법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필성・강현석(2015).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토대로서의 삶의 내러티브에 대한 탐구. 교육학연구, 53(3), 195-227.
나권수·김영주(2017). 4차 산업혁명과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송성수(2017). 역사에서 배우는 산업혁명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STEPI Insight.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열관 외(2014).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편성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과정.
소경희 외(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온정덕(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개정 내용. (CP 2015-01-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이슈페이퍼7.
이주호(201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한반도선진화재단.
이형빈(2015). 교육과정-수업-평가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서울: 맘에 드림.
임호(2017).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적 대응 방향. 부산발전포럼. 부산발전연구원.
장슬기(2016). 한국의 교육현장 속에서, 미래학교를 찾다 -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한국 학교교육의 전망과 해법. 경기도교육연구원 개원3주년 기념 심포지엄. 70-93.
조난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최계영(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크리스티안 루더, 이가영 역(2015). ‘빅데이터 인간을 해석하다.’ 서울: 다른.
홍영교(2016).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지성 인재육성 방안. 알파고와 포켓몬고 시대의 창의지성교육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 2016 제1회 화성창의지성교육 정책포럼 세미나 자료집.
Schwab, Klaus 저(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enguin Random House.
Schwab, Klaus 저(2018), 김민주, 이엽 역(2018).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NEXT). 서울: 메가스터다트(주).
강성종(2020).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원택(2007). “인터넷과 정치참여 정당정치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 정책연구, 14(2), 101-114.
고영주(2018). 제4차 산업혁명의 본질.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381-417.
구본권(2018). 로봇시대, 인간의 일. 변미리 등. 2040 서울을 묻다 (pp.23-46). 서울연구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2016). 글로벌평생교육동향. 6월호, 2호.
김두환(2017).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론 비판. 사회사상과 문화, 20(4), 197-236.
김재춘(2018).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학교의 미래, 미래의 학교. 서울: 미래앤.
김종길(2008).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33, 201-247.
김진수, 김한별, 박상영, 이태욱(2019). 4차 산업혁명과 교육. 서울 공감북스
나미혜(2011). 참여는 대의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용호, 김병우, 하태정, 장병열(2006). “성장과 고용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6(5), 2006, 1-24.
브라운, 필립・로더, 휴・애쉬턴, 데이비드(Brown, P., Lauder, H., & Ashton, D.) (2013). 더 많이 공부하면 더 많이 벌게 될까. 이혜진・정유직 역. 개마고원. [The global auction: The broken promises of education, jobs, and inco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성태제(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교육학연구, 55(2), 1-21.
송성수(2017). 역사에서 배우는 산업혁명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207, 1-39.
신미식(2019).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 평생교육: 역할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4(1), 145-163.
안상희, 이민화(2016).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344-2363.
안종배(2017).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인재상.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 보고서. 서울: 광문각.
오인탁(2017).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24, 417-445.
이선영(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심리학: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학의 혁신. 안암교육학회 2016 동계학술자료집. 231-260.
이주호(201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2017(2), 158-189.
이재욱, 정윤우, 송지아, 유성균(2017).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141-164.
이호성(2017). 현장중심형 스마트 팩토리. KMAC.
우이구(2015).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방향 및 내용.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
이상오(2013).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육 방안.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재걸(2012). 동양교육사상의 관점에서 본 가르치기 어려운 시대의 교육. 교육철학, 46, 23-44.
정제영(2017a).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제도 개선 방안: 개인별 학습 시스템구축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4(3), 53-72.
정제영(2017b).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전망과 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조난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39, 330-347.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Future Horizon, 33, 32-35.
최항섭(2017). 4차 산업혁명과 인간, 사회. 미디어와 교육, 7(1), 35-40.
허원회, 신광철(2018). 4차 산업혁명과 융합교육의 방향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집, 8(12), 63-70.
Harari, Yuval Noah(2018), 전병근 역(2019).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21 Lessons for 21st Century). 파주시: 김영사.
Harari, Yuval Noah(2011), 조현욱 역(2015). 사피언스(Sapiens). 파주시: 김영사.
Schwab, Klaus 저(2016), 송경진 역(2016).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서울: 메가스터다트(주).
Schwab, Klaus 저(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enguin Random House.
Schwab, Klaus 저(2018), 김민주, 이엽 역(2018).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NEXT). 서울: 메가스터다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