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출생 시에 일어날 수 있는 골절 중 쇄골의 골절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아동간호학 시간에 배웠다. 단 4일 뿐인 실습이어서 이런 케이스를 내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마침 한 신생아가 쇄골 골절을 가지고 태어나 출생 시 일어날 수 있는 손상을 주제로 공부를 해 보고 싶어서 clavicle fracture 라는 케이스를 가지고 연구를 해 보았다.
1.2. 문헌고찰
1.2.1. 병태생리 및 원인
쇄골 골절은 가장 흔한 출생 시 손상 중 하나이다. 이는 재태기간에 비해 큰 태아의 질식분만시 두정분만이 어렵거나 또는 둔위 시 팔분만이 어려울 때 잘 나타난다. 신생아의 몸무게가 증가할수록 쇄골골절의 빈도가 증가한다. 재태기간에 비해 큰 태아나 초산모의 골반이 좁은 경우, 그리고 둔위 분만 등은 출산 도중 태아의 쇄골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여 쇄골 골절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임신성 당뇨가 있는 임산부의 경우 거대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아 쇄골 골절의 위험이 증가한다."
1.2.2. 빈도
쇄골 골절은 출생 시 신생아 골절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전체 분만의 0.3~1.8%에서 발생한다"". 이는 재태기간에 비해 큰 태아의 질식분만 시 두정분만이 어렵거나 또는 둔위 시 팔분만이 어려울 때 잘 나타난다. 또한 신생아의 몸무게가 증가할수록 쇄골골절의 빈도가 증가한다"".
1.2.3. 진단 및 검사
쇄골 골절의 진단 및 검사에 대해 살펴보면, 분만 시 발생하는 신생아 골절은 산부인과 의사가 분만을 할 때 직접 소리를 느끼는 경우가 많고, 분만 후 신생아의 팔을 포함한 움직임을 세심하게 관찰하면 골절부위가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진단에 어려움이 없다"" 또한 추후 검사에서 마찰음이 직접 만져지거나 들을 수 있는데, 이 마찰음은 신생아가 복위를 취하고 있을 때 더 잘 들린다"" 정확한 진단은 신생아 chest X-ray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방사선 사진에서 골편이 겹쳐진 완전 골절을 볼 수 있다""
1.2.4. 증상 및 징후
쇄골 골절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쇄골 골절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징후로는 부드럽게 만져지는 덩어리, 국소적 부종과 혈종이 있을 수 있다. 영아는 골절된 팔을 움직이기 어렵고 모로반사가 비대칭이다. 또한 팔을 움직일 때 영아의 울음도 쇄골 골절의 징후 중 하나이다.
쇄골 골절이 심한 경우에는 골절부위의 마찰음과 통증이 관찰될 수 있다. 쇄골의 튀어나온 부분도 관찰될 수 있는데, 이는 쇄골뼈의 가골이며 치유의 징후이다.
""
1.2.5. 합병증
특별한 합병증 없이 낫는다.""쇄골 골절은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합병증 없이 잘 낫는다. 신생아의 쇄골이 분만 과정 중 압력에 의해 골절되는 경우가 있지만, 대체로 추가적인 처치 없이도 2주에서 1달 사이에 자연스럽게 골절부위가 붙어 회복된다. 단, 심한 골절의 경우 동통을 완화시키고 고정을 위해 팔을 몸통에 붙여 고정하는 처치가 필요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신생아 쇄골 골절은 특별한 후유증 없이 완전히 치유되며, 예후가 양호한 편이다.
1.2.6. 치료 및 간호
치료 및 간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적절한 신체정렬을 유지하고, 영아의 옷을 입히거나 벗길 때 조심스럽게 다루면서 이동 시 골절된 뼈를 지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영아를 팔로 끌어올리기보다는 등을 지지하여 들어 올리고 영아를 골절된 쪽을 밑으로 하여 옆으로 눕히는 자세는 피한다. 특히 쇄골골절 의심 시 영아의 팔을 가슴 부위를 넘어 반대쪽 어깨까지 당기는 'Scarf Sign 검사'는 피하도록 한다. 간혹 심한 골절일 경우 동통의 완화와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