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세윤, 복음이란 무엇인가, 하나님나라, 복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하나님 나라: 구약과 신약의 핵심
1.1. 구약의 하나님 나라 사상
1.2.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
1.3.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
2. 예수의 하나님 나라와 구원
2.1. 예수의 삶과 죽음, 부활의 구원론적 의미
2.2. 예수의 죽음에 대한 성경적 해석: 제사, 화해, 구속, 새 언약
2.3. 구원의 주관적 적용: 의인됨, 화해, 하나님의 자녀됨, 새 피조물
3. 구원의 종말론적 구조
3.1. 구원의 과거, 현재, 미래
3.2. 성화와 영화
4. 예정과 지키심
본문내용
1. 하나님 나라: 구약과 신약의 핵심
1.1. 구약의 하나님 나라 사상
구약에서 '하나님 나라' 사상은 하나님이 "왕"으로서 이스라엘을 다스리시고 온 땅을 다스리신다는 사상이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곳에 의와 평화, 자유와 풍요가 있다고 믿었다. 구약에서는 하나님은 "왕이시다."라는 명사적 표현과 하나님이 "다스리시다."라는 동사적 표현이 자주 나오며, 이따금 '그의 나라'라는 말도 나온다. 특히 다니엘 2장과 7장은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에 매우 중요한 배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는 내용적으로 구약과 유대교에 배경을 두고 있다.
1.2.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는 예수가 구약과 유대교에 근거를 둔 하나님 나라의 개념을 선포한 것이다. 예수는 구약의 '하나님이 왕'이라는 사상을 계승하여 이스라엘의 메시아 사상과 묵시문학적 종말론을 결합시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였다.
예수는 하나님 나라가 곧 임박했다고 선포하였는데, 이는 구약의 하나님의 왕권 통치가 종말론적으로 실현될 것이라는 약속을 의미한다. 예수는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자 메시아로서, 하나님의 통치를 실현하기 위해 보내졌다고 선포하였다.
예수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기쁜 소식(복음)으로 선포하였고, 사람들이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도록 초대하였다. 예수는 자신의 사역을 통해 이미 하나님 나라가 도래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예수가 귀신을 쫓아내고 병자들을 치유하며 죽음을 극복하는 모습에서 드러났다.
그러나 예수는 하나님 나라가 완성되는 것은 아직 미래의 사건이라고 말하였다. 예수의 선포 속에는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예수를 통해 하나님 나라가 도래하기 시작했지만, 그 완성은 아직 미래의 사건으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결국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는 구약과 유대교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예수는 자신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 나라가 현재 시작되었음을 보여주었지만, 그 완성은 여전히 미래의 사건으로 남겨두었던 것이다.
1.3.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
하나님 나라의 성격은 크게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가장 널리 알려진 주장은 C. H. Dodd의 소위 '실현된 종말론'이다. C. H. Dodd에 따르면 예수의 사역 속에서 이미 하나님의 나라가 실현되었다는 것이다. 즉 마가복음 9장 1절과 같이 하나님 나라가 "권능으로(with power)" 이미 임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누가복음 17장 21절의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는 말씀에서 "너희 안에(within you)"를 "너희 가운데(among you)"로 강조하여 이를 '현재적 실재'(the present reality)로 보기도 한다.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이는 성경적 증거로...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