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인 탈시설화 현황과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탈시설화의 개념 및 배경
2.1. 탈시설화의 정의
2.2. 탈시설화의 역사적 배경
2.3. 탈시설화의 철학적 기반
3. 탈시설화의 현황
3.1. 글로벌 탈시설화 현황
3.1.1. 유럽 사례
3.1.2. 북미 사례
3.2. 한국의 탈시설화 현황
3.2.1. 정책적 변화
3.2.2. 사회적 인식
3.3. 성공적 탈시설화 사례 분석
3.3.1. 스웨덴 사례
3.3.2. 미국 사례
4. 탈시설화의 전망
4.1. 정책적 지원
4.1.1. 법적 제도
4.1.2. 재정적 지원
4.2. 사회적 인식 변화
4.2.1. 교육 프로그램
4.2.2. 홍보 활동
4.3. 향후 과제
4.3.1. 주거 지원
4.3.2. 고용 기회 확대
4.3.3. 의료 및 복지 서비스의 질 향상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탈시설화는 현대 장애인 복지의 중심적인 변화 중 하나로, 이는 시설 중심의 복지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내에서 장애인이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변화는 장애인의 인권을 존중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전통적인 시설 중심의 장애인 복지는 장애인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며, 사회로부터의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을 도모하기 위해 탈시설화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탈시설화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2. 탈시설화의 개념 및 배경
2.1. 탈시설화의 정의
탈시설화는 장애인이 더 이상 대규모 수용시설에서 생활하지 않고, 개인의 필요와 선호에 맞춰 지원받으며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인 거주 공간의 변화를 넘어, 장애인의 생활 전반에 걸친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은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가며,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2.2. 탈시설화의 역사적 배경
탈시설화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영국에서는 사회에 방치되어 있던 발달장애인들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가해, 가족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비참한 삶을 살아가는 모습에 대한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 것은 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반이었다. 1896년에 '전국 정신박약자 돌봄연합회'가 출범하였고, Mental Deficiency Act가 1913년 입안되어 항구적인 격리보호의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시설보호가 탈시설화의 흐름으로 전환하게 된 계기는 1959년 정신보건법(The Mental Health Act)의 제정이라고 볼 수 있다. 동법에서 정신질환자를 정신적인 핸디캡(Mental Handicap)을 가진 자들로부터 분리하면서 예전에 정신적 장애를 한 묶음으로 간주하던 관행에서 탈피하여 발달장애를 별도로 고려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이 조성되어 정신장애와 달리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 가능성을 정책적으로 염두에 두기 시작하였다.
그 이유는 기존의 시설은 규율과 통제, 수용과 감금, 배제의 공간이었으며, 이러한 시설에서의 생활은 '발가벗겨진 삶(barley life), 혹은 날생명(just life)'으로 표현될 정도로 반인간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집단생활에서의 익명성, 집단적 통제, 획일적인 규율 등은 개개인의 발달을 저해하며, 사회로부터 분리되고 배제된 장기간의 시설생활은 장애인들 스스로를 무기력하고 무가치한 존재로 인식하는 시설증후군 내지 시설병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1960년대 이후 서구에서의 탈시설화는 다음과 같은 세 시기를 거치며 점차 확장되어 갔다. 우선 첫 번째 시기는 대규모 시설이 폐쇄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탈시설화는 대규모 거주시설 보호에서 지역사회 거주로 이전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역사회 내 서비스가 부재하여 대규모 시설에 거주하였던 일부 장애인들이 홈리스가 되거나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특정 장애인들은 탈시설화된 생활에 적합하지 않기에 탈시설화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초기의 결론을 이끌어 내는데 기여하기도 하였으나, 물리적 위치의 변화와 생활환경의 개선은 시설보호의 재등장을 회피하게 하는데 충분하였다. 1970년대 거주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이전한 장애인들에게 대안적인 형태의 지원을 하였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서비스들이 발전되었다.
2.3. 탈시설화의 철학적 기반
탈시설화는 모든 인간이 존엄성과 자율성을 지닌 존재라는 철학적 기반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으며, 사회는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신념에서 출발한다. 장애인은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가며,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탈시설화의 철학적 기반이다. 이러한 철학적 기반은 탈시설화의 목표와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3. 탈시설화의 현황
3.1. 글로벌 탈시설화 현황
3.1.1. 유...
...
참고 자료
오정화. 장애인복지론. 경기도: 양서원, 2022.
칼럼니스트 유석영(2020), “장애인 탈 시설화, 더 많은 공감이 필요하다”, 에이블 뉴스, 2월 7일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978
김규철 기자(2021),“정부 장애인 탈 시설화 계획 발표 … 실효성은 글쎄“, 내일신문, 8월 3일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94681
백민 기자(2022), “탈 시설 시범사업 속 장애인 ‘고립’ 대안 시급, 에이블뉴스, 11월 22일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862
이명우, 장애인 탈 시설화 : 한눈에 보기, 국회도서관, 2022
김문근, 2019 “우리나라 정신장애인복지의 탈가족화 기반에 관한검토”「 비판사회정책」.
송미영 2010 ‘장애인 가족지원 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 매뉴얼개발’「충청남도여성정책개발원 연구보고서.
김성희 외. (2013).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방안 :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소.
성명진. (2019). 「발달장애인 탈시설과정」. 석사학위논문,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김문근, 2019 “우리나라 정신장애인복지의 탈가족화 기반에 관한검토”「 비판사회정책」.
김정현, 2019 “장애인 탈시설 지원법 제정에 따를 장애인거주시설이용인 가족대상 탈시설과 자립생활 인식에 대한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
손병돈, 2020 “탈시설 지적장애여성의 지역사회 거주 경로에 관한 연구”「평택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학위청구논문.
오현성, 2019 “탈시설화 시대의 치료연속성과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을 핵심원리; 미숙애리조나주의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