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니멀리즘 작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술
2.1. 회화와 조각
2.2. 미니멀리즘 미술의 선구자
3. 음악
3.1. 미니멀 음악의 특징
3.2. 대표 작곡가
4. 건축
4.1. 미니멀리즘의 건축적 특성
4.2. 대표 건축가
5. 패션
5.1. 미니멀리즘의 패션적 표현
5.2. 대표 디자이너
6. 무용
6.1. 미니멀리즘 무용의 특징
6.2. 대표 안무가
7. 미니멀리즘의 확장과 영향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미니멀리즘(minimalism)이란 전통적인 미술에서 벗어나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하고 본질에 충실한 최소한의 요소만을 남기는 방식을 채택하는 미술 사조이다. 전통미술은 이성(reason)을 기초로 하므로 정확하고 구체적인 형상을 표현했지만, 이런 구체성은 예술의 본질을 저해하고 독자의 상상력을 저해할 수 있다. 그래서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미술의 모습이라고 주장한다. 1960년대 제3차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모든 예술 장르(음악, 건축, 철학, 패션)는 다양성을 가지게 되는데, 그중 하나의 사조인 미니멀리즘은 '최소한도의, 최소의, 극미의'라는 뜻의 '미니멀(minimal)'을 지향한다. 하지만 단순히 작고 간소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부피가 커도 간결할 수 있고 부피가 작아도 복잡할 수 있다. 미니멀리즘은 예술적 기교와 각색, 편집을 최소화하고 오브제의 근원, 근본, 기초, 사상 등을 현실의 오브제 형상과 최대한 밀접하게 연결하여 진정한 리얼리티가 완성된다고 말한다. 반면에, 미니멀리즘을 반대하는 세력도 있었는데, 그들은 최소화하는 것은 철학과 사상을 담기 어려우며 급진적인 합리화 차원이라고 주장한다.
2. 미술
2.1. 회화와 조각
미술에서 미니멀리즘은 회화와 조각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최소한의 색상, 기하학적인 뼈대만을 표현하는 미술 작품들이 대거 등장했으며, 단순함에 의존하는 작품들이 즐비했다. 미술 이론가인 도널드 주드(Donald Judd)는 미니멀리즘의 주요 작가이다. 도널드 주드는 추상화로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나, 이론에 근거한 작품활동이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공간 구조를 통해 검증된 내용을 단순 명쾌한 물체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도널드 주드는 미니멀리즘에 멈추지 않고 작고 간결한 오브제에 새로운 표현을 연구했다. 그는 비평가이기도 했으므로 자신의 작품에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여 평론했다.
2.2. 미니멀리즘 미술의 선구자
도널드 주드(Donald Judd)는 미니멀리즘 미술의 대표적인 선구자라 할 수 있다. 그는 추상화로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나, 이론에 근거한 작품활동의 한계를 인지하고 공간 구조를 통해 검증된 내용을 단순 명쾌한 물체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주드는 미니멀리즘에 머물지 않고 작고 간결한 오브제에 새로운 표현을 연구했다. 그는 비평가이기도 했으므로 자신의 작품에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여 평론했다.
또한 미니멀리즘 미술의 선구자로 손꼽히는 인물은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이다. 그는 195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예술 활동을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미니멀 아트 분야의 대표적인 작가로 인정받고 있다. 모리스는 흩어져있는 미니멀리즘 이론을 정리하고 정립했으며, 전통적인 작품 중에서 미니멀리즘 요소를 갖춘 작품들을 선별하고 정리했다. 그가 선보인 최초의 미니멀리...
참고 자료
홍임실, 현대 문명에 대한 경고: 로버트 모리스의 <무제>에 나타난 폐허, 숙명여자대학교, 2017.
전휘연, 미니멀리즘 조각의 비환영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전영백, 『현대미술의 결정적 순간들』, 한길사, 2019
김효영, 「엘레나 알메이다의 신체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이현지, 「미니멀리즘 성향을 나타낸 현대 춤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임영매, 「초미학과 현대미술」, 경성대학교, 문화학박사 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