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떡의 개념과 역사
1.1. 떡의 정의
떡은 곡식가루를 찌거나 삶아 익힌 음식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떡을 만들어 먹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원시 농경의 시작과 함께 행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곡물요리는 곡물을 연석에 갈아 분쇄한 다음 옹배기에 담고 물을 부어 가열한 죽이었으나, 당시의 토기는 단단하지 못해 장시간 가열하면 토기의 흙냄새가 죽에 옮겨져 맛이 나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시루가 생겨나면서 곡물을 시루에 찌게 되었다. 낙랑유적에서는 청동제의 시루와 토기로 된 시루가 발견되고 있어, 당시의 대표적 곡물인 피·기장·조·보리·밀 등으로 가루를 만들어 시루에 찐 지금의 시루떡과 같은 음식을 만들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콩, 팥 등도 함께 넣어 고사떡이나 수수팥경단과 같은 음식도 만들었을 것이다.
1.2. 떡의 역사
떡의 역사는 농경을 주업으로 하는 우리 민족이 곡물을 익혀먹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떡의 역사는 상고시대 출토물인 시루나 벽화, 또한 옛 문헌의 기록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떡이 가장 발달하였던 때는 조선시대이다. 이 시대의 문헌에 수록된 떡의 종류를 보면 찌는 떡인 시루떡과 백설기, 치는 떡인 인절미와 가래떡, 절편, 빚는 떡인 송편과 경단, 단자, 그리고 지지는 떡인 화전과 전병 등이 있다. 이처럼 떡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점차 떡은 제천의식과 제사상, 혼례와 같은 의례에 필수적인 음식이 되었다.
중국에서도 떡의 역사가 오래되어, 밀가루 보급의 경계가 되는 한나라 이전과 이후에 떡을 가리키는 글자가 달랐다. 한나라 이전에는 쌀, 기장, 조, 콩 등으로 만든 떡을 '이(餌)'라 표기했으나, 밀가루가 보급된 이후에는 밀가루로 만든 떡을 '병(餠)'이라 따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떡은 주로 쌀을 이용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餌)'라 표기해야 마땅하나, 현재 떡 전체를 통칭하여 '병이류'라고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떡은 농경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조상 숭배와 의례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발전해왔다.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제사와 잔치 등 중요한 의식에 필수적인 음식이 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떡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처럼 떡의 역사는 우리나라의 농경사회와 문화적 변천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절기별 떡의 종류와 의미
2.1. 절기와 절식
기후와 계절에 영향을 많이 받는 농경 위주의 생활을 해 온 우리나라는 예부터 세시풍속이 매우 발달하였는데, 이는 농경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종교적으로 불교와 유교의 영향을 받아 조상들에게 예를 다하는 정신문화와도 관계가 깊다. 세시가 뚜렷한 우리나라에는 절기에 따라 조상숭배, 농사의례, 정서순화 등의 의미를 갖는 여러 행사나 놀이를 하였으며, 액을 면하고자 하는 풍속이 있어 계절에 맞추어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에 멋을 더하여 자연과 더불어 음식을 즐기던 풍속을 세시음식을 통해 알 수 있다. 세시음식은 절식과 시식으로 나뉘는데, 특히 절식은 4계절의 영향을 받고 역사의 변천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전통적인 식생활문화의 한 단면으로서 상시의 음식에 계절이나 지방의 독특한 색채가 덧입혀진 풍속이다. 절식이란 다달이 있는 명절에 차려먹는 음식이고, 시식은 계절에 따라 나는 다양한 식재료로 만든 음식을 말한다.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라 즐기는 절식이 발달되면서도 떡도 계절에 맞추어 만들어 먹는 풍속이 있었다.
2.2. 주요 절기별 떡
2.2.1. 설날
설날은 음력 1월 1일로 음력 새해를 맞이하는 가장 큰 명절이다. 설날에는 가래떡을 만들어 먹는데, 이는 한 해의 무사안녕과 재물이 넘쳐나길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특히 가래떡을 원형그대로 둥글게 썰어 떡국을 끓여 먹는다. 개성지방에서는 누에고치 모양의 조랭이 떡국을 먹기도 했다. 이처럼 설날 떡은 한 해의 풍요와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2.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에는 무사 안녕과 다음 해의 풍년을 기원하며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그중에서도 잡곡밥과 송편은 가장 대표적인 음식이었다. 잡곡밥은 멥쌀에 팥·검정콩·기장·조·밤 등 여러 곡식과 나물을 섞어 지은 것으로, 오곡밥이라고도 불렀다. 이는 오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