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습득론과목에서 언어교수 이론의 흐름을 정리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여 제시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과 교재 개발 배경
1.2. 교수법 변화와 교재 개발의 목적
1.3.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교수법 선택의 필요성
2. 본론
2.1.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
2.1.1. 발아기(1960년대~1970년대)
2.1.2. 모색기(1980년대)
2.1.3. 성립기(1990년대)
2.1.4. 발전기(2000년 이후)
2.2.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
2.2.1. ?1900년대 초기 ~ 1958년
2.2.2. 1959년 ~ 1985년
2.2.3. 1986년 ~ 1997년
2.2.4. 1998년 ~ 현재
2.3. 교수법 변화에 따른 말하기 수업 적용 사례
2.3.1. 도입 단계
2.3.2. 제시 단계
2.3.3. 연습 단계
2.3.4. 활용 단계
2.3.5. 마무리 단계
3. 결론
3.1. 전반적인 교수법 변천 과정 요약
3.2. 미래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
3.3.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과 교재 개발 배경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과 교재 개발 배경은 다음과 같다""
먼저 1940년대까지의 대표적인 언어 교수법은 문법-번역식 교수법이었다. 문법 규칙과 어휘 교육을 통한 문어 능력, 학문적 능력 배양이 교육의 목표였지만 의사소통 능력으로 전이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 한국어 교재에 이 교수법이 반영되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주로 받아들여졌다. 이 교수법은 행동주의 심리학과 구조주의 언어학 이론을 토대로 정확한 발음과 구조 습득을 중시하였다. 1990년대 초까지의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었다"".
1980년대에는 침묵교수법, 전신반응식 교수법 등 새로운 외국어 교수법이 소개되었고 한국어 교육에 적용되기도 하였다. 침묵교수법은 교사는 안내자,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방식이었고, 전신반응 교수법은 신체적 반응으로 목표어를 습득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1990년대에는 의사소통식 접근법 이론 연구와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하는 절충식 교수법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접근법은 1990년대 후반 개발된 교재에 반영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의사소통식 접근법 위주의 절충식 교수법을 바람직한 한국어 교수법으로 제시하고, 내용 중심 교수법과 과제 기반 교수법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과제 기반 교수법은 실제 의사소통 과제 수행을 통한 언어 습득을, 내용 중심 교수법은 전공 내용과 언어 통합 학습을 강조하였다"".
1.2. 교수법 변화와 교재 개발의 목적
교수법의 변화와 한국어 교재 개발의 목적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수법의 변화는 교재 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과거 문법-번역 교수법은 정확성을 중시하고 문법 규칙 습득을 교육의 목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교재는 문법과 어휘를 위주로 구성되었으며, 번역 연습 등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외국어 교육의 주된 목표로 부상하면서,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재 개발의 목적도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었다.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을 중시하며,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교재 개발에 있어서도 기능별, 주제별 구성을 통해 실제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기능과 내용을 다루게 되었다.
또한 과제중심 교수법과 내용중심 교수법이 등장하면서, 교재 개발의 목적은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과제를 수행하거나 특정 내용을 학습하면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재는 다양한 과제와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에 맞추어 개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어 교수법의 변화는 교재 개발의 목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교수법의 발전은 교재 개발에 반영되어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구성으로 이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1.3.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교수법 선택의 필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의 주목적은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통합적 언어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해영역(듣기, 읽기)의 능력 향상 없이 표현영역(말하기, 쓰기)의 능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균형 있게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교사, 학습자, 교재가 3대 요소로 작용한다. 학습자의 요구와 목표에 따라 교사가 적절한 교수 방법을 선택하여 교재를 활용하게 된다. 이때 교재에는 이미 효과적인 교수법이 내포되어 있어 교사와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교수법을...
참고 자료
이미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교안
서종학․이미향(2007),한국어 교재론,태학사.
박영순(200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재욱․김지형․김현진․박동호․허용(2016). 한국어 교수법. 형설출판사.
한재영 외(2005),『한국어교수법』, 태학사
갈문군(2017),“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수업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정세란(2012),“시청각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말하기 교수 방안: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유니텔원격연수원, 한국어교원자격과정 part2 <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법의 실제>, http://www.teacher.co.kr
한재영 외(2005),『한국어교수법』,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