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웬의다세대가족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세대 가족치료
1.1. 다세대 가족치료의 개념
1.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1.3. 다세대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1.3.1. 자기분화(differentiation of self)
1.3.2. 만성불안(chronic anxiety)
1.3.3. 삼각관계(triangles)
1.3.4. 핵가족 정서체계(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
1.3.5. 가족투사과정(family projection process)
1.4. 다세대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
1.5. 다세대 가족치료의 치료 기법
1.5.1. 가계도
1.5.2. 치료적 삼각관계(탈삼각화)
1.5.3. 나 입장 취하기(I-Position)
1.5.4. 과정질문
1.5.5. 코칭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세대 가족치료
1.1. 다세대 가족치료의 개념
다세대 가족치료는 가족을 정서적 단일체(emotional unit)로 보고,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이라는 정서적 장(emotional field)에서 반응하는 정서적 자극의 복합체로 간주한다.
보웬(Bowen)은 가족의 정서과정이 대물림되기 때문에 이전 세대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 다음 세대에서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다세대 가족치료는 특정 개인이나 핵가족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 체계와 역동에 주목한다.
다세대 가족치료는 가족의 문제를 개인의 병리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세대에 걸쳐 전수되는 가족 내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패턴에서 찾는다. 따라서 이 접근은 가족체계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며, 가족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포괄적으로 고려한다.
1.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은 가족을 유기체처럼 긴밀하게 연결된 정서적 공동체로 파악한다. 보웬은 자신의 원가족(family of origin)으로부터 가족 구성원이 심리적으로 분리하지 못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다세대 가족치료의 목표는 가족 구성원을 이러한 정서체계에서 분리해 자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웬 이론의 핵심인 자기분화(differentiation of self)는 정신내적 측면과 대인관계적 측면에서 개인의 분화 수준을 의미한다. 정신내적으로 분화가 높은 사람은 객관적 사고와 주관적 감정을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지만, 분화가 낮은 사람은 감정에 지배받기 쉽다. 대인관계적으로 분화가 높은 사람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분화가 낮은 사람은 자기 확신이 약해 타인에게 쉽게 융합된다. 보웬은 미분화 가족 자아군(undifferentiated family ego mass) 개념을 통해 가족 구성원 간 과도한 정서적 융합을 설명했다.
보웬 이론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 간 만성불안(chronic anxiety)은 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증가한다. 미분화된 가족일수록 개인의 자율성을 허용하지 않고 연합에 대한 압력이 강해 만성불안이 높아진다. 삼각관계(triangle)는 가족 내 두 사람의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제3자를 개입시키는 정서적 역동이다. 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삼각관계를 만들려는 노력이 강해지며, 오히려 특정 가족원의 미분화를 지속시킬 수 있다.
핵가족 정서체계(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는 개인이 원가족으로부터 학습한 관계 방식으로 결혼 생활을 영위하며, 이것이 다세대에 걸쳐 반복되는 개념이다. 부부의 분화 수준이 높으면 정서적 융합이 낮아 관계가 안정되지만, 분화 수준이 낮으면 감정적 의존과 갈등이 반복된다. 이는 배우자 역기능, 만성 결혼갈등, 자녀 역기능 등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가족투사과정(family projection process)은 미성숙한 부모가 가족체계 안정을 위해 자녀 중 가장 취약한 이를 투사 대상으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의 융합 정도가 클수록 투사과정에 의존하게 되며, 부모의 미숙함에 노출된 자녀일수록 정서적 손상을 받기 쉽다.
이처럼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은 가족 내 정서체계와 역동을 다각도로 설명하며, 세대 간 전이되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1.3. 다세대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1.3.1. 자기분화(differentiation of self)
자기분화(differe...
참고 자료
하혜숙․강지현,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고병인, 「보웬(Murrey Bowen)의 가족치료이론으로 본 S부부의 사례 연구」, 『한세대학교 교수논총』, 제16호, 2000, pp.98~125.
경기대학교 원격교육원, 가족복지론, 10주차 17차시/18차시
http://www.ekgu.ac.kr/course/5388
네이버 지식백과 / 상담학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707&cid=62841&categoryId=62841
랑이v
https://cocofamilytogether.tistory.com/244
상담 및 정보공유 블로그
https://tistory1-2017.tistory.com/
네이버 지식백과 / 사회복지학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68444&cid=50298&categoryId=5029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68441&cid=42120&categoryId=42120
보웬(Bowen)의 가족치료이론-(4)다세대전수과정
https://blog.naver.com/talmud-life/222101406713
가족은 하나의 체계다(5)-다세대전수, 들소리신문, 2018.07.04
http://www.deulsori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055
≪심리학에게 묻다≫, 하혜숙·강지현 공저, KNOUPRESS, 2017·2020.
위숙희, 「보웬이론을 통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