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제보건 이슈와 세계보건기구(WHO)의 노력
1.1.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은 사람들의 건강에 다양한 방식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첫째, 대기 오염은 폐질환, 심혈관질환, 뇌졸중, 암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매년 약 700만 명이 대기 오염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대기 온도 상승, 강수량 변화, 오존과 미세먼지 농도 증가 등을 초래하여 대기 오염을 악화시킨다. 둘째,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 홍수, 가뭄, 태풍 등의 극端 기상 현상은 사망, 부상, 감염성 질병, 정신건강 문제 등을 야기한다. 셋째, 해수면 상승과 해양 산성화는 해안 지역의 침수와 토지 상실을 유발하고 어업에 타격을 주어 생계에 위협을 가하며 이주와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넷째, 기후 변화는 식물과 동물의 분포 및 행동을 변화시키고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의 범위와 위험성을 증가시키며 식량 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는 식수 자원의 양과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수인성 질병의 위험을 높인다. 이처럼 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건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1.2. WHO의 기후 변화와 건강에 관한 노력
1.2.1. 기후 변화와 건강에 관한 특별 보고서 작성
WHO는 2018년에 기후 변화와 건강에 관한 특별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WHO는 기후 변화가 전염병, 영양부족, 공기오염, 심장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경고하였다. 또한 기후 변화 대응 조치를 취하면 매년 수백만 명의 사망을 예방하고 수조 달러의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이 특별 보고서를 통해 WHO는 기후 변화가 인류의 건강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전 세계에 알리고, 기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1.2.2. 기후 변화와 건강 행동 계획 수립
WHO는 2019년에 기후 변화와 건강 행동 계획을 수립하여, 2030년까지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위협을 감소시키고, 기후 변화 대응 조치의 건강상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계획은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의 건강 적응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기후 변화와 건강에 관한 과학적 증거와 모니터링 강화, 기후 변화 대응 조치의 건강상 영향 평가 및 통합, 기후 변화와 건강에 관한 의사결정과 협력 강화 등 네 가지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이다.
1.2.3. 공기오염과 건강에 관한 세계 회의 개최
WHO는 2018년에 공기오염과 건강에 관한 세계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WHO는 공기오염이 매년 700만 명 이상의 사망과 수조 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정부, 시민사회, 비즈니스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공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현할 수 있는 행동들을 발표하고, 공기오염 감소를 위한 글로벌 캠페인인 '숨쉬기 좋은 공기(BreatheLife)'를 홍보하였다.
2. 원헬스 접근법의 활용
2.1. 원헬스 접근법의 개념 및 원칙
원헬스 접근법의 개념 및 원칙은 다음과 같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원헬스를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해 여러 분야가 협동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