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약성경 개론
1.1. 구약성경의 구분과 특징
구약성경의 구분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약성경은 크게 오경, 역사서, 지혜서, 예언서의 4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오경에는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가 속하며, 역사서에는 여호수아기,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 역대상하, 에스라-느헤미야, 에스더기가 속한다. 지혜서에는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가 분류되며, 예언서에는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다니엘과 12소선지서가 포함된다.
구약성경 역사서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역사서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의 관계 역사를 다룬다. 그들의 시련과 실패, 회개와 구원의 과정을 다루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구속 계획을 보여준다. 둘째, 역사서는 사건의 발생 시간 순서대로 기록되어 있지만, 단순한 연대기적 서술이 아닌 신학적 관점에서 해석된 역사이다. 셋째, 역사서는 내러티브 양식으로 서술되어 있어 단순한 사실 나열이 아닌 플롯, 인물, 배경, 어조 등의 문학적 요소를 통해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처럼 구약성경 역사서는 단순한 역사 기록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 계획과 인간의 반응이라는 신학적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1.2. 역사서의 구성과 주제
역사서의 구성과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구약성경 역사서는 여호수아기,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 역대상하 등의 책들로 구성된다. 이 역사서들은 대체로 연대기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역사서의 주요 주제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와 선민 이스라엘의 역사이다. 이 책들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하시고 그들을 통해 역사 속에서 구원의 역사를 펼치시는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을 통해 하나님의 언약과 섭리가 어떻게 실현되어 갔는지를 보여준다.
이 역사서들은 하나님의 선민 이스라엘의 역사를 기록하면서도, 동시에 이스라엘의 실패와 타락, 그에 따른 심판과 징벌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거룩성과 그의 백성에 대한 공의로운 다스림을 보여준다. 또한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도 드러나는데, 이스라엘이 회개하면 다시금 용서와 회복의 기회를 받는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구약 역사서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와 그의 백성 이스라엘의 역사를 기록하면서, 하나님의 섭리와 함께 그의 백성의 실패와 회개, 징벌과 구원의 과정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창세기
창세기는 구약성경의 첫 번째 책으로, "시작"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베레쉬트"에서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 이 책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타락, 노아 홍수, 아브라함부터 시작된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창세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부분은 1장~11장까지로 원 역사라고 불리며, 천지 창조, 인간의 타락, 노아 홍수, 바벨탑 사건 등을 다루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12장~50장으로 족장 사 또는 열두 지파의 기원을 다루고 있다.
먼저 창세기 1장~2:3에서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는 과정이 묘사된다. 하나님께서는 말씀으로 천지와 만물을 창조하셨으며, 6일간의 창조 사역 끝에 7일째 되는 날 안식하셨다. 이는 인간에게 안식의 모델을 제시하시는 것이다.
이어서 2장~3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에덴동산과 첫 사람 아담과 그의 아내 하와의 이야기가 나온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에게 에덴동산을 돌보게 하시고, 하와를 만들어주셨다. 그러나 뱀의 유혹으로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게 되면서 죄악에 물들게 된다. 이에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에덴동산에서 쫓아내시며, 죽음을 선언하신다.
4장~5장에서는 아담의 자손들인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가 나온다. 가인이 아벨을 죽이는 장면은 인류 최초의 살인 사건이다. 이후 아담의 자손들이 점점 번성하지만, 하나님을 멀리하게 된다.
6장~9장에서는 노아 홍수 사건이 나온다. 인간들이 악행에 물들자 하나님께서는 세상을 심판하시고자 홍수를 일으키셨다. 그러나 의로운 노아와 그의 가족을 구원하셨다. 노아는 방주에서 내려와 제단을 쌓고 하나님께 제사를 드린다. 이에 하나님께서는 노아와 언약을 맺으시며, 다시는 홍수로 세상을 멸하지 않으시겠다고 약속하신다.
마지막으로 창세기 11장에서는 바벨탑 사건이 나온다. 인간들이 하늘까지 탑을 쌓아 오만해지자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셔서 흩어지게 하신다. 이로써 인류는 흩어져 각자의 언어와 문화를 가지게 되었다.
이처럼 창세기 1장~11장은 하나님 중심의 역사, 즉 원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성경은 인간에게 창조, 타락, 심판, 구원과 같은 근본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사건들은 이후의 구속사를 위한 예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12장 이후에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 등의 족장 사를 다룬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을 택하여 큰 민족을 이루게 하시고, 그의 자손들을 통해 메시아를 보내시겠다고 약속하신다. 이는 인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핵심이 된다.
창세기는 이처럼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 인간의 타락과 심판, 그리고 구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창세기는 구약성경의 기초를 이루며, 신약성경으로 이어지는 구속사의 시작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4. 출애굽기
출애굽기는 히브리어로 '엑소더스(Exodus)'라 불리며,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탈출하여 시내 산으로 가는 과정을 다룬다. 이 책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하시어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시는 것을 보여준다.
출애굽기의 주요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애굽에 살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박해를 받고 탈출하게 되는 과정(1장~15장 21절)이다. 모세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바로 왕을 설득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을 내보내도록 하며, 이들이 마침내 홍해를 통과하여 도착한다. 둘째, 시내 산에서 이루어진 하나님과의 언약 체결과 율법 수여 과정(15장 22절~31장)이다.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친다. 셋째, 금송아지 사건 이후 하나님의 임재를 회복하려는 이스라엘의 노력(32장~40장)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섬기자 하나님께서 분노하시지만, 모세의 중재로 언약이 다시 체결된다.
출애굽기의 저자는 전통적으로 모세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학자들 사이에서는 오경이 모세의 저작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출애굽기의 경우 모세가 자신의 생애를 전하는 1인칭 서술이 나타나지 않으며, 모세가 죽은 후의 사건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애굽기는 모세 시대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며, 모세의 열렬한 추종자들에 의해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애굽기의 핵심 주제는 하나님의 구원과 언약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구해내시어 자신의 백성으로 세우신다. 그리고 시내 산에서 이스라엘과 새로운 언약을 체결하신다. 이 언약을 통해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하나님의 율법을 받아 그에 따라 살아가게 된다. 이처럼 출애굽기의 핵심 메시지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구원하시고 그들과 언약을 맺으심으로써 하나님과 백성 간의 관계가 회복되는 것이다.
출애굽기의 역사적 배경은 대략 주전 13세기로 여겨진다. 이 시기는 후기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며,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이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출애굽기의 주요 사건들이 일어난 장소는 주로 애굽, 시내 반도, 가나안 등이다. 이 지역들은 고대 근동 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출애굽기는 구약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책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이스라엘 민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