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방의 구조와 기능
1.1. 유두
유두는 유방의 중앙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원통 모양의 융기부이다. 일반적으로 유두는 4번째 늑골 부근에 위치하며, 약간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유두는 모유가 나오는 곳으로, 표면에는 주름이 많고 피지선과 아포크린선이 발달해있다. 유두의 길이와 크기는 개인차가 심한데, 그사이의 갈라진 틈에 15~25개의 유관 개구부, 즉 유공이 열려있다. 유두 내부에는 탄력성과 근육성을 가진 격자상 조직이 관통하고 있어, 유아가 물기 좋게 유두를 기립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1.2. 유륜
유륜은 유방의 중앙에 위치한 원형의 짙게 착색된 피부 부위이다. 유륜의 지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1.5~6cm 정도 된다. 피부색에 따라 분홍빛을 띠기도 하고 짙은 색을 띠기도 하다. 임신 시에는 색소침착이 현저하게 되어 흑갈색을 나타내며, 출산 후에도 그 색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유륜은 유두를 감싸고 있어 젖병이나 젖꼭지에 대한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유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유아가 유방을 물기 쉽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유륜은 유방 구조의 일부분으로써 유방의 기능을 보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1.3. 섬유조직
섬유조직은 유방의 둘레를 싸며 유방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 섬유조직이 잘 발달하고 많을수록 유방은 탄력있게 느껴진다. 유방의 섬유조직은 유방의 복잡한 선조직, 유관, 지방조직, 림프관, 혈관, 근막, 결체조직 등으로 이루어진 망상조직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섬유조직은 유방의 선조직을 지지하고 유방의 형태를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4. 지방조직
유방의 지방조직은 유방 전체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개인차에 따라 그 양이 다르다. 지방조직이 많을수록 유방은 더욱 부드럽고 탄력있게 느껴지지만, 나이가 들어 유선조직이 퇴화하고 지방조직만 남게 되면 유방은 탄력을 잃고 아래로 처지게 된다. 유방의 지방조직은 유방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며, 유방암 치료 시 유방 재건술에도 활용되는 등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5. 가슴근육(대흉근)
가슴근육(대흉근)은 흉곽을 감싸고 있으면서 어깨운동과 팔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며, 유선이 이 근육에 붙어있어 유방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유방성형수술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대흉근은 두 개의 갈래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늑골 상부에 있는 대흉근 상부두,다른 하나는 늑골 하부에 있는 대흉근 하부두이다. 대흉근 상부두는 쇄골 내측 1/3,흉골 앞쪽,앞 겨드랑선에 걸쳐 부착하며, 상완골 결절에 삽입한다. 대흉근 하부두는 제5-7늑골에 부착하여,상완골 결절에 삽입한다. 이 두 근육은 팔을 내전/내회전시키고 전방으로 모아주는 동작에 관여한다. 또한 유방의 형태와 위치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6. 유방뒤쪽 지방조직
유방뒤쪽 지방조직은 흉근막과 유방을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유방의 복잡한 구조를 이루는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유방을 둘러싸고 있는 지방조직이다. 이 지방조직은 유방을 보호하고 유방의 형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유방암이 발생할 경우 암세포가 침투하거나 전이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시 이 부위에 대한 세밀한 검사와 관찰이 필요하다.
2. 유방암의 정의
유방암은 여성의 가장 흔한 암종으로, 서양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발생빈도는 상대적으로 적어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위암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지만, 최근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