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감염 사례 대처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HIV와 AIDS의 개념
2.1. HIV의 정의
2.2. AIDS의 정의
3. HIV와 AIDS의 역사
3.1. AIDS 발견의 역사
3.2. HIV의 형태 및 유형
4. HIV의 증식과정
5. AIDS의 병태생리
5.1. 단계별 증상
5.2. AIDS 정의 질환
6. HIV의 감염경로
6.1. 성 관계를 통한 감염
6.2. 오염된 혈액이나 혈액제제에의 노출
6.3. 수직감염
6.4. 오염된 주사기의 공동 사용
7. HIV 감염관리
7.1. 성 관계에 의한 감염 예방
7.2. 수혈 및 혈액제제를 통한 감염 예방
7.3. 수직감염의 예방
7.4. 직업적인 노출의 예방
8. HIV 진단 검사의 종류 및 방법
9. AIDS 치료 방법
9.1. 치료의 원칙
9.2. 초기 평가 및 관찰
10. AIDS의 질병 현황
10.1. 세계 현황
10.2. 국내 현황
11. AIDS교육을 위한 노력
1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에이즈는 WHO를 비롯한 각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거의 전 세계에 걸쳐 확산되고 있고, 이제까지는 상대적으로 안전지대라고 생각되었던 아시아 지역도 감염자 및 환자 수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5년 이래 에이즈 환자와 HIV감염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내국인간의 성 접촉으로 인해 감염자 수가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중대한 보건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완치 가능한 치료제나 예방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지만 에이즈 감염은 올바른 지식과 건전한 생활습관만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가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에이즈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2. HIV와 AIDS의 개념
2.1. HIV의 정의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란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일컫는 말로, 영어 명칭인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머리글자를 딴 명칭으로 우리말로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라고 부른다. HIV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말해 주듯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되며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와서 면역세포를 파괴시키는 바이러스이다.
2.2. AIDS의 정의
"에이즈(AIDS)란 우리말로 '후천성면역결핍증'이라고 부르며,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일련의 증상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후천성'이란 '선천성'과 대비되는 말로 유전이 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면역결핍증'은 우리 몸의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면역 세포가 파괴되어 면역기능이 부족한 상태를 뜻한다. 그러나 질병명으로서 후천성면역결핍증은 면역의 정도와 관계없이 에이즈를 전염시키는 바이러스인 HIV에 감염된 상태 모두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에이즈란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건강한 인체 내에서는 활동이 억제되어 병을 유발하지 못하던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병원체로 재활하거나 새로운 균이 외부로부터 침입, 증식함으로써 발병하는 일련의 모든 증상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3. HIV와 AIDS의 역사
3.1. AIDS 발견의 역사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에이즈)는 1981년 미국 질병통제예방 센터(CDC)가 동성애자 집단에서 폐포자충폐렴과 카포시 육종과 같은 질환이 현저하게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고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사실 미국에서 확인된 첫 번째 에이즈 환자는 동성애자가 아니었다. 1975년부터 1981년 사이 발견된 면역저하 환자들은 모두 이성애 여성이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보고는 1982년 10월까지 이루어지지 않았고 1981년에 미국 질병통제센터에서 보고된 사례들과 이를 인용한 미국 일간지의 기사로 인해 에이즈는 동성애자에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초기에 에이즈는 주로 남성 동성애자, 특히 많은 성상대자를 가진 사람에게서 나타나면서 에이즈를 유발하는 원인체가 성행위를 통해 전달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1982년 수혈을 받은 혈우병 환자와 주사용 마약 사용자에게서 에이즈 사례가 보고되면서 혈액이나 정액과 같은 체액을 통해 에이즈의 원인체가 전달되는 것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1983년에는 주사용 마약 사용자의 여성 성상대자에게서 에이즈 발생 사례가 2건 보고되면서 에이즈의 원인체가 남성에서 남성뿐 아니라 남성에서 여성으로도 전파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1983년 중앙아프리카에서 보고된 대다수의 에이즈 사례도 이성애자에서 발생한 사례였다.
에이즈의 정확한 원인체가 규명되기 전 에이즈의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과 루머가 존재했다. 거대세포바이러스가 원인일 것이라는 학설, poppers라 불리는 환각제와 관련이 있다는 학설, 남성의 장 내에 정액이 노출될 때 에이즈를 유발한다는 학설, 그리고 동성애나 매매춘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는 이야기 등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1984년 Montagnier 등이 환자의 림프절에서 레트로바이러스를 분리함으로써 원인 바이러스가 규명되었으며 이 바이러스는 국제바이러스분류학회에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라고 명명되었다.
3.2. HIV의 형태 및 유형
HIV는 인간레트로바이러스과의 렌티바이러스아과에 속하며, single-stranded, positive sense, enveloped RNA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 입자는 외피 단백질인 gp120과 gp41로 구성된 외부돌기들을 표면에 갖고 있는 20면체 모양이다. 바이러스 외피의 안쪽은 기질단백인 p17로 덮여 있고 더 안쪽은 p24가 핵심 단백질로 뉴클레오캡시드를 형성하고 있다. 뉴클레오캡시드로 둘러싸인 바이러스입자의 핵심부에는 역전사효소, 통합효소, 단백분해효소 등 바이러스 효소들이 바이러스 유전체와 연합되어 있다.
HIV는 HIV-1과 HIV-2의 두 가지가 있다. HIV-1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주된 바이러스이며 M(major) 그룹, O(outlier) 그룹, N 그룹의 세 그룹으로 분류된다. M그룹이 주로 발견되는 그룹이며 env유전자의 염기서열에 따라 9개의 아형(A, B, C, D, F, G, H, J, K)으로 나누어진다. 국내에서는 B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V-2는 서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HIV-1과 약 40% 정도의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이며 HIV-1의 vpu 대신 vpx라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HIV-2는 HIV-1과 동일한 증상,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나 HIV-1에 비해 느리게 전파되고 진행 또한 느리다.
4. HIV의 증식과정
HIV의 증식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HIV가 표적세포에 결합하고 바이러스의 막과 표적세포의 막이 서로 융합한다. 현재 사용 중인 HIV 항바이러스제 중 융합 억제제는 이 단계를 차단한다.
둘째, HIV가 세포 내로 침입하면서 바이러스의 RNA가 세포질로 방출된다.
셋째, 바이러스의 역전사효소가 바이러스 RNA를 주형으로 DNA를 만든다. 현재 사용중인 HIV 항바이러스제 중 역전사효소 억제제는 이 단계를 차단한다.
넷째, 바이러스 DNA는 표적세포의 핵 내로 들어가서 통합효소에 의해 숙주 세포의 염색체 DNA에 끼어들어간다.
다섯째, 표적세포의 염색체에 끼어들어간 바이러스 DNA는 세포가 활성화되면 R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mRNA로 전사되고 바이러스의 단백으로 번역된다.
여섯째, 생산된 바이러스 단백은 단백분해효소에 의해 절단되어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이 된다. 현재 사용 중인 HIV 항바이러스제 중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는 이 단계를 차단한다.
일곱째, ...
참고 자료
박찬웅, ‘간호사를 위한 감염 이야기’, 의학서원, 2013
이문호, ‘AIDS : 정체와 실태에서 예방법까지’, 서음출판사, 1996
서울아산병원 감염관리실, ‘감염관리와 예방지침’, 군자출판사, 2009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지침서,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한미의학, 2006
김경혜, ‘AIDS에 대한 간호사의 예방적 감염관리와 취약성 인지정도’,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1
에이즈(HIV,AIDS) 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2016
에이즈 예방 포스터, 질병관리본부, 2016
에이즈 검사 포스터, 질병관리본부, 2016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HIV/AIDS의 기초, 질병관리본부, 2011
국내 HIV 감염인의 HIV/AIDS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권고안, 질병관리본부, 2014
한국 에이즈 퇴치연맹(http://www.kaids.or.kr/?r=main)
UNAIDS (http://www.unaids.org/en/resources/fact-sheet)
iSHAP (http://www.ishap.org/)
KHAP (http://www.khap.org/)
한국성교육센터(http://www.ksec.or.kr/)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549783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2108000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11945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7752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37257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000299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5&aid=000001726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2&aid=0000043118
https://www.youtube.com/watch?v=9yC7R5P-HtA
http://www.kaids.or.kr/?c=2/38/45
이영준, 『간호미생물학』, 앨스비어코리아, 2016
의학교육 편집부, 『for nurse review book』, 의학교육, 2014
국제신문 뉴스기사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61209.22006193747)
뉴스타운 뉴스기사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850)